한국 무속은 왜 '무교(巫敎)'가 되지 못했을까?

steinsein
steinsein · 종교학 공부인과 연구인을 방황하는 자
2024/09/19
한국의 전통 신앙 체계로 여겨지는 한국 샤머니즘을 지칭하는 용어로 '무속(巫俗)'과 '무교(巫敎)'가 있지만, '무속'이 더 널리 사용되고 있습니다. '종교'라는 개념에 비추어 볼 때, '무교'가 적절하지 않게 여겨지는 측면이 있기 때문입니다. '무속'은 '무당의 풍속' 또는 '샤먼의 관습'을 의미하는 반면, '무교'는 '무당의 가르침' 또는 '샤머니즘 종교'를 뜻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집니다.
https://www.unipress.co.kr/news/articleView.html?idxno=10787
 
'무속'이라는 명칭은 생각보다 오래된 것은 아닙니다. 조선 시대 기록에서는 '무속'이라는 표현을 찾아 볼 수 없습니다. '무풍(巫風)', '무격(巫覡)' 등으로 불렸습니다. 지금의 '무속'과는 함의도 달랐습니다. 종교라는 맥락에서 생각된 것이기보다는 음사(잘못된 의례)로 무지한 백성들의 퇴폐적 습속 같은 것으로 취급되었습니다.

영조실록에서 이런 내용을 볼 수 있습니다.

"여염(閭閻)에 무속(巫俗)이 날로 성하니, 풍속이 무너지고 어지러워지는 것과 재산의 손실이 여기에서 말미암지 않는다고 기필할 수가 없습니다. 청컨대 한성부(漢城府)로 하여금 무녀(巫女)로서 성중(城中)에 있는 자를 조사해 내어 모조리 성 밖으로 내쫓도록 하소서."(홍용조가 세자에게 한 말, 숙종 46년 1월 25일 임진 2번째기사)

번역문에는 '무속'으로 되어 있지만, 원문에는 '巫風'으로 쓰여있습니다.
https://sillok.history.go.kr/id/ksa_14601025_002
무속은 19세기 말, 선교사에 의해서 한국인의 '종교적 활동'으로 포착되었습니다('종교'로 여겨지지는 않았습니다. cf. "초기 한국 선교사들은 무속신앙을 어떻게 봤을까?"). 좋은 의미에서는 아니었죠. 미신이나 악한 귀신에 대한 숭배로 여겨졌습니다. ...
얼룩패스
지금 가입하고
얼룩소의 모든 글을 만나보세요.
이미 회원이신가요? 로그인
종교(문화)에 대한 과학적 연구를 모색하는 공부인입니다. 종교보다 종교적 인간, 종교문화, 미신 등 인간의 종교적 특성을 볼 수 있는 현상에 관심을 가지고 공부하고 있습니다. 비종교 현상에서 종교적 특성을 읽어내기를 좋아합니다.
127
팔로워 633
팔로잉 2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