붓다의 중도와 중국의 중용은 다르다 [백성욱 박사의 철학과 사상 해설: 문화 예술 철학]

나반의 정원
나반의 정원 · 정치학과 국제 관계 및 불교에 관심
2023/03/03
즁도-강과 섬, pixabay 무료이미지

백성욱은 1) 세계는 유한하다, 2) 세계는 무한하다. 3) 세계는 유한하지도 않고 무한하지도 않다는 판단의 예를 든다. 앞서 평등 불평등의 논리 방식이다. 그는 특히 모든 현상의 상대적 관점을 강조하면서 그 예로 앞서 말한 평등과 불평등을 들었다. 이는 중간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다. 


그는 중간을 취하는 중국의 노자나 공자의 중용 등은 이유가 1점이고 결과도 1점이라는 의미보다 더 적어지는 논리라 보았다. 그는 따라서 ”중국철학이 불교 철학이 되지 못한다,“ 고 하였다. 중간을 취하면서 양극단을 베제하며 자기 것, 가까운 것부터 사랑하라는 중국의 중용철학이 모든 중생을 구제한다는 불교의 보편적 사랑에 미치지 못함을 지적한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사실 유교나 아리스토텔레스가 말하는 중용과 불교의 중도는 비슷한 점도 있다. 그래서 ”유교와 불교에는 결코 본질적인 차이가 있는 것이 아니다. 유교와 불교는 천리(天理)와 일심이라는 방법상의 차이만을 보여줄 뿐, 그 속에서 인간의 본래성과 평등성을 긍정하고 추구하는 ...
얼룩패스
지금 가입하고
얼룩소의 모든 글을 만나보세요.
이미 회원이신가요? 로그인
대학에서 국제 정치학과 정치 철학, 그리고 남북한 관계와 중국 문제를 연구하고 강의하였으며 대학 총장을 역임하였다. 금강경 연구, 원효와 백성욱 박사에 관한 논문을 쓴 불교 연구자이다. 본명은 정천구 이다.
267
팔로워 91
팔로잉 3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