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09/14
이전 글들에서 세상이 어떻게 좁아지는지, 매개자를 통한 고속도로 효과를 통해 설명했다. 즉, 매개자들이 집단 사이를 연결하며, 집단 구성원들이 세상을 접하는 거리가 급격히 좁아지는 현상에 대한 설명이었다.
그런데 실제 세상의 다양한 네트워크를 살펴보면, 이것만으로는 설명할 수 없는 좁은 반경의 네트워크가 존재한다. 그리고 그 힌트는 수많은 연결점을 지닌 허브에 있다.
잠깐 복습하는 의미에서 좁은 세상 네트워크를 설명했던 #3의 와츠-스트로가츠 모델을 떠올려보자. 모든 노드들은 주변에 정해진 개수의 연결을 가지고 시작해서, 임의의 노드와의 재연결을 통해 변화가 발생한다. 그러니까 노드가 지닌 링크의 수를 6개로 설정했다면, 모든 재연결이 끝난 네트워크 상태에서도 대부분의 노드가 대략 6 부근의 링크 수를 지닌다.
그런데 실제 네트워크에서는 이런 평균적인 링크 수로는 특징이 잡히지 않는 링크 수의 분포가 관찰된다. 그러니까 엄청나게 많은 링크 수를 지닌 노드가 적지 않은 수로 존재하는 네트워크인 것이다. 이런 네트워크를 특정 척도에 대한 특징이 없다고 하여 척도 없는 네트워크(scale-free network)라고도 부른다.
흥미롭게도 이러한 네트워크에서 노드가 갖는 링크 수의 분포는 무작위적인 연결이 설명하는 분포와 단 몇 개의 노드에 모든 노드가 연결된 비정상적인 연결(별 모양) 사이에 위치한다. 그러니까, 멋대로 생겨난 네트워크도 아니고, 단 몇 명의 스타가 모든 대중을 장악한 구조도 아닌, 어떤 규칙이란 게 있는 구조라는 것이다.
이 구조적 특징을 설명하기 위한 모델이 참 많지만 그 뿌리격의 모델로 바라바시-알버트 모델이 있다. 모델 자체는 참 쉬운데, 다음 조건을 만족하면 된다.
그런데 실제 세상의 다양한 네트워크를 살펴보면, 이것만으로는 설명할 수 없는 좁은 반경의 네트워크가 존재한다. 그리고 그 힌트는 수많은 연결점을 지닌 허브에 있다.
잠깐 복습하는 의미에서 좁은 세상 네트워크를 설명했던 #3의 와츠-스트로가츠 모델을 떠올려보자. 모든 노드들은 주변에 정해진 개수의 연결을 가지고 시작해서, 임의의 노드와의 재연결을 통해 변화가 발생한다. 그러니까 노드가 지닌 링크의 수를 6개로 설정했다면, 모든 재연결이 끝난 네트워크 상태에서도 대부분의 노드가 대략 6 부근의 링크 수를 지닌다.
그런데 실제 네트워크에서는 이런 평균적인 링크 수로는 특징이 잡히지 않는 링크 수의 분포가 관찰된다. 그러니까 엄청나게 많은 링크 수를 지닌 노드가 적지 않은 수로 존재하는 네트워크인 것이다. 이런 네트워크를 특정 척도에 대한 특징이 없다고 하여 척도 없는 네트워크(scale-free network)라고도 부른다.
흥미롭게도 이러한 네트워크에서 노드가 갖는 링크 수의 분포는 무작위적인 연결이 설명하는 분포와 단 몇 개의 노드에 모든 노드가 연결된 비정상적인 연결(별 모양) 사이에 위치한다. 그러니까, 멋대로 생겨난 네트워크도 아니고, 단 몇 명의 스타가 모든 대중을 장악한 구조도 아닌, 어떤 규칙이란 게 있는 구조라는 것이다.
이 구조적 특징을 설명하기 위한 모델이 참 많지만 그 뿌리격의 모델로 바라바시-알버트 모델이 있다. 모델 자체는 참 쉬운데, 다음 조건을 만족하면 된다.
- 네트워크에 새로운 노드가 계속해서 유입한다
- 새로운 노드는 기존 노드에 연결을 형성한다.
- 그 확률은 기존 노드가 지닌 링크 수에 비례한다.
몬스 님의 전문성을 살린 흥미로운 글이었습니다. 지난주 얼룩소 테크 뉴스레터에서 소개했는데, 소식 들려 드린다고 했다 놓쳤던 게 지금 생각인 났습니다. ^^; 좋은 글과 늘 진지하고 활발한 참여 감사합니다. 글 또 선보여 주세요! :>
https://stibee.com/api/v1.0/emails/share/EozuL0nLMU1lSbGO4uGdO6HCKdyF8WM
@박현안 시리즈 아닌 것처럼 시작해서, 시리즈인척 하다가 뜬금 다른 시리즈를 여는 반복중입니다.. 겨우 하나 닫았네요ㅎㅎ
원고 전달 얘기도 흥미롭네요! 다른 점이라면 버스 타는 사람에게 줬다는건데.. 모빌리티의 특성일까요 소셜 네트워크의 특성일까요ㅎㅎ 소셜네트워킹 만큼이나, 이동거리의 척도불변성도 꽤나 핫한 분야에요. 사람은 꽤 자주 먼 거리를 이동한다는..!
인터뷰 섭외와 영화제 이야기 읽으면서 제도 왠지 짜릿했어요! 정말 생각보다 더 작은 사회고, 생각 외로 더 넓은 사회인 게 소셜네트워킹의 아이러니이자 묘미인 것 같습니다ㅎㅎ
오 아니 언제 이런 시리즈를! 몰아서 봤지만 잘 봤습니다. 반가운 이름 바라바시도 나오고!! ㅋㅋ
전 이걸 읽는데 조정래 작가가 예전에 지방 어디에서든 버스 타는 사람한테 원고를 주면, 단 한 번도 실수없이 원고가 신문사에 들어갔다는 이야기가 생각났어요. 손에 손으로 전해진 원고가 제대로 투고되기까지. 초반에 쓰신 실험 과정이 그거랑 비슷하게 느껴졌네요.
최근에 인터뷰이 섭외를 하면서 사실 작은 세상을 실감하고 있거든요. 전 발이 넓은 사람이 아닌데도 어떻게 연결해서 새로운 사람들을 인터뷰 하고 있어요. 정말 생각보다 더 작은 사회를 우리가 살아가고 있네요. 질적인 측면과 지속가능성이라.. 많은 생각을 하게 하는 부분이네요. 좋은 시리즈 넘 잘 봤습니다!
@청자몽 후련하다는 말이 딱 맞습니다. 열어둔 건 많은데 바쁘다는 핑계로 닫지도 않고 계속 새로운 것만 열었더니.. 닫을 건 닫아야겠다는 생각에 여유가 생기자마자 부랴부랴 써내려갔네요ㅎㅎ
저도 제가 좋아하는 분야지만, 가끔은 그래서 무얼 봐야할까 왜 봐야할까에 쉽게 답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모호한 영역일수록 질문을 잘 던져야할텐데 말이죠..ㅎㅎ
먼 분야의 이야기 읽어주시고 심정적으로도 가까워지셨다고 하시니, 조금 (많이) 뿌듯합니다. 더 쉽고 흥미롭게 쓰고 싶은데, 아직은 내공이 부족한듯 해요..ㅠ
전산학의 노드와 트리도 네트워크죠! 이 네트워크의 특징도 많이 연구된 분야 중 하나인데, 언젠가 한 번 글로 써볼날이 오겠죠..?ㅎㅎ
따님 분의 질문이 인상적입니다. 작다면서 넓게 느껴진다. 어쩌면 그 인상이 인간에게 좋은 풍경이 아닐까 싶어요!
시리즈물! 4번째 글이군요. 작은 세상에 관한 글.
(끝)이라는 단어가 왠지 "휴! 끝냈어! 후련하다"로 보이네요 ^^.
고생하셨어요. 어쩌다가 시리즈물을 쓰게 되면;; 쉽지 않더라구요. 저도 그냥 쓰다가 멈춘게 있거든요. 집 이사 땜에 마음과 몸이 저쪽으로 가있어서요.
딸아이가 물어본 질문 중에 답을 못한게 있는데..
"엄마! 우리나라는 작다면서, 왜? 아주 넓게 느껴져요?"
에요. 땅덩이는 작은데, 서울에서 해남까지만 가도 힘에 부치더라구요. 좁고도 넓은 곳에 사는거 맞는거 같아요. 엄마도 그건 답을 못할거 같아. 미안. 하고 기권했거든요.
.....
'마음의 거리'라는게 있더라구요.
아무리 멀리 살아도 가깝게 느껴지는 사람이 있고, 바로 옆에 살아도 남극 사는 사람보다 더 멀게 느껴지는 사람이 있고.
이런 줄글로 된 감정을 이론적으로 체계화하고 연구, 결론에 이르게 하는게 연구자들의 몫이겠죠?
제가 잘 모르는 분야라, 알듯 모를듯 가물거리기는 한데. 처음 몬스님 글 봤던 때보다는 심정적으로 조금 이해가 가는 느낌이에요. 뭔가를 계속 들여다보다보면 조금씩 가까워지는 모양입니다. 나중에 몬스님이 졸업축사를 하신다면, 허준이 교수님의 축사와 비슷한 느낌이 들거 같다는 생각을 뜬금없이 했어요 ^^.
좋은 글 잘 읽고 갑니다.
저도 덕분에 네트워크에 대해 조금 더 가까워진 느낌이에요. 아! 노드나 트리 등등은 정보처리 기사 시험볼 때던가? 전산학개론 시간이었던가? 에 시험보느라고 읽고 문제 풀었던게 생각나서 낯이 익네요.
@청자몽 후련하다는 말이 딱 맞습니다. 열어둔 건 많은데 바쁘다는 핑계로 닫지도 않고 계속 새로운 것만 열었더니.. 닫을 건 닫아야겠다는 생각에 여유가 생기자마자 부랴부랴 써내려갔네요ㅎㅎ
저도 제가 좋아하는 분야지만, 가끔은 그래서 무얼 봐야할까 왜 봐야할까에 쉽게 답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모호한 영역일수록 질문을 잘 던져야할텐데 말이죠..ㅎㅎ
먼 분야의 이야기 읽어주시고 심정적으로도 가까워지셨다고 하시니, 조금 (많이) 뿌듯합니다. 더 쉽고 흥미롭게 쓰고 싶은데, 아직은 내공이 부족한듯 해요..ㅠ
전산학의 노드와 트리도 네트워크죠! 이 네트워크의 특징도 많이 연구된 분야 중 하나인데, 언젠가 한 번 글로 써볼날이 오겠죠..?ㅎㅎ
따님 분의 질문이 인상적입니다. 작다면서 넓게 느껴진다. 어쩌면 그 인상이 인간에게 좋은 풍경이 아닐까 싶어요!
시리즈물! 4번째 글이군요. 작은 세상에 관한 글.
(끝)이라는 단어가 왠지 "휴! 끝냈어! 후련하다"로 보이네요 ^^.
고생하셨어요. 어쩌다가 시리즈물을 쓰게 되면;; 쉽지 않더라구요. 저도 그냥 쓰다가 멈춘게 있거든요. 집 이사 땜에 마음과 몸이 저쪽으로 가있어서요.
딸아이가 물어본 질문 중에 답을 못한게 있는데..
"엄마! 우리나라는 작다면서, 왜? 아주 넓게 느껴져요?"
에요. 땅덩이는 작은데, 서울에서 해남까지만 가도 힘에 부치더라구요. 좁고도 넓은 곳에 사는거 맞는거 같아요. 엄마도 그건 답을 못할거 같아. 미안. 하고 기권했거든요.
.....
'마음의 거리'라는게 있더라구요.
아무리 멀리 살아도 가깝게 느껴지는 사람이 있고, 바로 옆에 살아도 남극 사는 사람보다 더 멀게 느껴지는 사람이 있고.
이런 줄글로 된 감정을 이론적으로 체계화하고 연구, 결론에 이르게 하는게 연구자들의 몫이겠죠?
제가 잘 모르는 분야라, 알듯 모를듯 가물거리기는 한데. 처음 몬스님 글 봤던 때보다는 심정적으로 조금 이해가 가는 느낌이에요. 뭔가를 계속 들여다보다보면 조금씩 가까워지는 모양입니다. 나중에 몬스님이 졸업축사를 하신다면, 허준이 교수님의 축사와 비슷한 느낌이 들거 같다는 생각을 뜬금없이 했어요 ^^.
좋은 글 잘 읽고 갑니다.
저도 덕분에 네트워크에 대해 조금 더 가까워진 느낌이에요. 아! 노드나 트리 등등은 정보처리 기사 시험볼 때던가? 전산학개론 시간이었던가? 에 시험보느라고 읽고 문제 풀었던게 생각나서 낯이 익네요.
몬스 님의 전문성을 살린 흥미로운 글이었습니다. 지난주 얼룩소 테크 뉴스레터에서 소개했는데, 소식 들려 드린다고 했다 놓쳤던 게 지금 생각인 났습니다. ^^; 좋은 글과 늘 진지하고 활발한 참여 감사합니다. 글 또 선보여 주세요! :>
https://stibee.com/api/v1.0/emails/share/EozuL0nLMU1lSbGO4uGdO6HCKdyF8WM
@박현안 시리즈 아닌 것처럼 시작해서, 시리즈인척 하다가 뜬금 다른 시리즈를 여는 반복중입니다.. 겨우 하나 닫았네요ㅎㅎ
원고 전달 얘기도 흥미롭네요! 다른 점이라면 버스 타는 사람에게 줬다는건데.. 모빌리티의 특성일까요 소셜 네트워크의 특성일까요ㅎㅎ 소셜네트워킹 만큼이나, 이동거리의 척도불변성도 꽤나 핫한 분야에요. 사람은 꽤 자주 먼 거리를 이동한다는..!
인터뷰 섭외와 영화제 이야기 읽으면서 제도 왠지 짜릿했어요! 정말 생각보다 더 작은 사회고, 생각 외로 더 넓은 사회인 게 소셜네트워킹의 아이러니이자 묘미인 것 같습니다ㅎㅎ
오 아니 언제 이런 시리즈를! 몰아서 봤지만 잘 봤습니다. 반가운 이름 바라바시도 나오고!! ㅋㅋ
전 이걸 읽는데 조정래 작가가 예전에 지방 어디에서든 버스 타는 사람한테 원고를 주면, 단 한 번도 실수없이 원고가 신문사에 들어갔다는 이야기가 생각났어요. 손에 손으로 전해진 원고가 제대로 투고되기까지. 초반에 쓰신 실험 과정이 그거랑 비슷하게 느껴졌네요.
최근에 인터뷰이 섭외를 하면서 사실 작은 세상을 실감하고 있거든요. 전 발이 넓은 사람이 아닌데도 어떻게 연결해서 새로운 사람들을 인터뷰 하고 있어요. 정말 생각보다 더 작은 사회를 우리가 살아가고 있네요. 질적인 측면과 지속가능성이라.. 많은 생각을 하게 하는 부분이네요. 좋은 시리즈 넘 잘 봤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