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10/11
🔍 지난 쏘프라이즈 선정작입니다.
안녕하세요.
안녕하세요.
한국의 2030년 탄소배출량 감축 목표를 제안하기 위해 데이터를 살펴봤습니다. 글 내용은 크게 2가지입니다.
- [상태 점검] 우선 전반적인 탄소배출량 지표와 인구/경제 성장 면에서 한국과 가장 비슷한 위치에 있는 다른 국가들은 어디인지 찾아보고, 그들과 한국의 감축 목표를 비교해 봅니다.
- [목표 제안] 탄소배출량 감축이라는 공동의 과제에서 국가별 의무를 수치화하여 이 수치에 적합한 한국의 감축 목표를 제안합니다.
최종 제안은 2030년에는 2017년 대비 탄소 배출량의 33.6% 감축하는 것으로 감축률을 상향하는 것입니다! (*현재 목표 24.4%)
들어가기 전, 사용한 데이터 출처
모든 데이터는 동일 출처입니다. 월드뱅크의 데이터뱅크(World Bank Open Data)에서 각 주제별로 전세계 각 국가의 1960년 이후 연도별 데이터를 다운받았습니다. 탄소배출량이나 GDP 등은 매우 중요한 주제이니 만큼 데이터가 여기저기 많지만, 많은 수의 국가의 전체 데이터를 한번에 받을 수 있어서 월드뱅크가 편했습니다.
한국과 비슷한 나라들은 어떤 목표를 설정했을까요?
전세계 배출량의 대다수(95.7%)를 차지하는 189개 국가들 모두가 2015년 말에서 2016년 상반기 사이에 각 국가의 자발적 기여(NDC), 즉 각자의 감축 목표를 제출했기 때문에, 우선 2015년 기준으로 한번 살펴보겠습니다. 물론 일부 국가들은 그 이후로 목표를 업데이트하긴 했습니다.
우선 가장 간단하게 탄소배출량과 GDP라는 지표에서 한국이 어느 정도의 위치에 있는지 봅니다.
앗! 미국과 중국이 너무 어마어마한 나머지 다른 국가들이 아래 귀퉁이에 몰려서 보이질 않습니다. 미안하지만 잠시 상위 5개의 국가(미국, 중국, 러시아, 인도, 일본)을 제외해 보겠습니다.
기후위기와 탄소배출 관련해서 항상 싸우는(?) 지점이 존재하는 것 같습니다. 그 중 하나가 1)탄소저감이 먼저니 화석연료를 줄이기 위해 원전은 일단 두고 가야한다. 원전 해결은 그 다음이다. 2)아니다. 발전의 친환경도 중요하기 때문에 원전을 줄여나가며 탄소저감을 해야한다.
저도 비전문가라 잘 모르겠지만 이 부분을 놓고 갑론을박이 많아 보였습니다.
글을 읽다 보니 유사 그룹 a, b의 에너지 발전 유형에서 원전이 차지하는 비중을 변수로 쓰면 어떤 결과가 나올지 갑자기 궁금해지네요.
정리해주신 바에 따르면 원전을 하네마네보다 발전 유형이 무엇이든 최우선적으로 탄소배출량 급격하게 줄여야겠다는 쪽으로 생각이 기울기는 합니다. 심각하네요.
산업발달의 역사적 관점에서 누적탄소배출량을 변수로 adjusting한 점이 인상적입니다.
좋은 글 감사합니다.
와... 진짜 대단하신거 같습니다. 이런걸 이제야 봤다니 왜 몰랐지..?
기후위기와 탄소배출 관련해서 항상 싸우는(?) 지점이 존재하는 것 같습니다. 그 중 하나가 1)탄소저감이 먼저니 화석연료를 줄이기 위해 원전은 일단 두고 가야한다. 원전 해결은 그 다음이다. 2)아니다. 발전의 친환경도 중요하기 때문에 원전을 줄여나가며 탄소저감을 해야한다.
저도 비전문가라 잘 모르겠지만 이 부분을 놓고 갑론을박이 많아 보였습니다.
글을 읽다 보니 유사 그룹 a, b의 에너지 발전 유형에서 원전이 차지하는 비중을 변수로 쓰면 어떤 결과가 나올지 갑자기 궁금해지네요.
정리해주신 바에 따르면 원전을 하네마네보다 발전 유형이 무엇이든 최우선적으로 탄소배출량 급격하게 줄여야겠다는 쪽으로 생각이 기울기는 합니다. 심각하네요.
산업발달의 역사적 관점에서 누적탄소배출량을 변수로 adjusting한 점이 인상적입니다.
좋은 글 감사합니다.
와... 진짜 대단하신거 같습니다. 이런걸 이제야 봤다니 왜 몰랐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