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컬 젠트리파이어 전성시대
2023/08/07
로컬 전성시대
로컬 전성시대라고 한다. 전국 곳곳 골목길과 낙후된 상권에 로컬 크리에이터들이 들어가 홍대나 이태원 같은 로컬 브랜드 상권을 만들면 지방소멸도 막을 수 있다고 한다.
지난 정부에서 도시재생 사업에 많은 예산을 들인 것처럼 이번 정부에서는 로컬 크리에이터 지원사업이 쏟아지고 있다. 국토교통부 도시재생 이론 및 실무특강으로 ‘골목 상권 현상과 지역재생’이라는 강연이 줌으로 진행되기에 무슨 내용인지 궁금해서 들어가 봤다.
전국 수많은 지자체 행사에서 로컬 브랜드 상권으로 골목길을 살려야 한다는 강연과 활동을 하고 있는 교수의 강연이었다.
강연자가 홍대 피카소거리와 경주 황리단 길이 전국 골목 상권이 나아가야 할 모델처럼 이야기하길래 채팅창으로 이런 질문을 해봤다.
“로컬 특성이 강한 원도심 저층 주거지들이 저렴한 임대료로 인해 청년, 예술인들을 불러 모으지만 저층 주거지가 뜨면서 상업지가 되고 나면 오른 임대료를 감당하기 힘든 청년, 예술인들은 밀려나고, 객단가가 높고 회전율이 좋은 업종으로 단순화되고 편중되는 현상이 발생합니다.
서두에 말씀하신 홍대 피카소 거리의 지금의 모습은 여느 유흥가와 다를 바 없고요. 홍대에서 밀려난 예술가들이 자리를 잡았던 홍대 주변 망원 상수 연남 등의 상권도 이미 홍대 중심 상권처럼 프랜차이즈가 장악한 상업지로 변해가고 있습니다.
이들 지역이 청년, 예술가, 소상공인들이 창조적인 일들을 할 수 없는 지역으로 변해가는 모습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는지 궁금합니다.
황리단길에 가보면 골목안쪽까지 주거근린생활시설이 대폭 감소하고 프랜차이즈 업체들이 골목 주거지 안쪽까지 침범한 상태입니다. 남아있는 거주민들도 붐비는 관광객들로 사생활을 침해당하고 있습니다.
아시다시피 황리단길의 최근 몇 년간 지가 상승폭과 개 폐업률이 높고 1년 생존율을 낮다고 나옵니다.
몇 년 전에는 황리단길 이름을 직접 작명하며...
로컬 젠트리파이어 전성시대 저자 http://aladin.kr/p/Pqya3
파티51 연출
http://movie.naver.com/movie/bi/mi/basic.nhn?code=106296
@단단 미력한 글을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젠트리피케이션이 일어나서 경제적 이익을 얻는 주체들은 다양한 것 같습니다.
기존에 젠트리피케이션으로 이익을 얻은 주체들은 건물주들(주로 외지에서 들어온) 연예인 건물주들, 건물주들 관리해 주는 대형 부동산 컨설팅 업체, 건물주들에게 대출을 해주고 이자 수익을 챙기는 은행, 세금을 더 걷어들이게 된 지자체 등일 것 같습니다.
기존 방식이 투기로 지탄받는 방식이었다고 보는데요. 지금은 도시재생이나 로컬브랜드 상권 등으로 젠트리피케이션을 일으키는 일을 재생· 보존 등 좋은 일로 세련되게 포장하는 이데올로그 교수들, 도시재생 회사, 로컬크리에이터 회사, 그 뒤에 숨어있는 부동산 자본 등이 추가된 것 같습니다.
저도 이 부분은 세세하게 모르지만 한 번 정리할 필요는 있을 것 같습니다.
로컬 젠트리파이어로 인해 로컬이 위협을 겪고 있는 서울 홍대상권과 경주 황리단길 이야기를 세세하게 들려주셔서 감사합니다.
로컬 크리에이터가 젠트리피케이션을 일으켜 발생되는 경제적 이익을 과연 누가 누리고 있는지도 조명해 보면 좋겠습니다.
후속 기대됩니다.
@artnshare 네 재생을 하면서도 지역의 고유한 정체성을 지키기 위한 노력을 하는 것이 중요한 것 같습니다. 자본을 가진 외지인들만을 위해서 로컬이 이용되는 건 막아야겠지요.
@이광호 감사합니다. 후속 글도 곧 올리겠습니다.
@middletter 감사합니다. 계속 이어서 써보겠습니다.
‘로컬 젠트리파이어’ 때문에 지역의 고유한 정체성들이 살라져가고 있는 거 같습니다.
로컬을 위한 길이 무엇인지 고민해볼 글이네요. 후속 글도 기대하겠습니다.
잘 읽었습니다. 후속 글도 기대합니다.
공감합니다. 앞으로 계속 연재 부탁드립니다.
@단단 미력한 글을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젠트리피케이션이 일어나서 경제적 이익을 얻는 주체들은 다양한 것 같습니다.
기존에 젠트리피케이션으로 이익을 얻은 주체들은 건물주들(주로 외지에서 들어온) 연예인 건물주들, 건물주들 관리해 주는 대형 부동산 컨설팅 업체, 건물주들에게 대출을 해주고 이자 수익을 챙기는 은행, 세금을 더 걷어들이게 된 지자체 등일 것 같습니다.
기존 방식이 투기로 지탄받는 방식이었다고 보는데요. 지금은 도시재생이나 로컬브랜드 상권 등으로 젠트리피케이션을 일으키는 일을 재생· 보존 등 좋은 일로 세련되게 포장하는 이데올로그 교수들, 도시재생 회사, 로컬크리에이터 회사, 그 뒤에 숨어있는 부동산 자본 등이 추가된 것 같습니다.
저도 이 부분은 세세하게 모르지만 한 번 정리할 필요는 있을 것 같습니다.
로컬 젠트리파이어로 인해 로컬이 위협을 겪고 있는 서울 홍대상권과 경주 황리단길 이야기를 세세하게 들려주셔서 감사합니다.
로컬 크리에이터가 젠트리피케이션을 일으켜 발생되는 경제적 이익을 과연 누가 누리고 있는지도 조명해 보면 좋겠습니다.
후속 기대됩니다.
‘로컬 젠트리파이어’ 때문에 지역의 고유한 정체성들이 살라져가고 있는 거 같습니다.
로컬을 위한 길이 무엇인지 고민해볼 글이네요. 후속 글도 기대하겠습니다.
잘 읽었습니다. 후속 글도 기대합니다.
공감합니다. 앞으로 계속 연재 부탁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