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09/21
모든 문제는 연결되어 있다:
한국 사회의 모든 병폐가 저출생 사회를 만든다
저는 30대 초반 미혼 여성입니다.
한국에서 '가임기 여성'이라고 일컫는 20대-30대 여성 인구에 속하며
한국 사회에서 흔히 '결혼 적령기'라고 말하는 나이대에 속해 있기도 합니다.
저는 '안정적인 직장', '여성에게 좋은 직장',
'임신/출산/육아'에 좋은 직장이라고 불리는
교직에 있다가 사직서를 내고
프리랜서로 전향한 사람이기도 합니다.
저출생 문제에 대해 할 말이 너무 많은 관계로
이어지는 글을 쓸까(말을 얹을까 말까)
고민이 많았지만,
'재생산 인구'에 속하는 '젊은 여성' 당사자로서
생애에 걸쳐 고민해온 내용들을
공유해볼까 합니다.
'재생산 가능 인구', 그 중에서도
임신과 출산 과정을 감내하거나 감내하지 않기로 선택하는 당사자인
(*육아는 부부 공동의 문제이며 전적으로 여성의 몫이 아닙니다.
육아에 관한 위 명제가 사회적으로
그리고 가정 내에서 당연하게 받아들여질 때
저출생 문제가 조금이나마 해결될 것이라고 봅니다.)
여성 인구의 목소리를 귀기울여 듣고
문제를 분석하고 해결하지 않는 이상,
저출생 문제 해결은
앞으로도 더욱 요원할 것입니다.
저는 한때 교제하던 상대와 결혼을 준비하다가 결별한 적도 있습니다.
당시 결혼을 하더라도 아이를 낳지 않고 '딩크'로 살기로 상대방과 합의하였고
해당 문제에 대해 남성인 상대방은 당사자인 저보다 회의적인 편이었습니다.
저와 제 또래 주변인들은 '결혼' 또는 '아이를 낳을 수 없는 이유' 라는 주제로
모두 비슷한 이야기를 나누곤 합니다.
결혼을 하더라도 아이는 낳지 않겠다는 인구는 가시적으로도 점점 늘어나고 있으며
결혼 자체에도 회의적인 젊은 인구 또한 크게 늘어나고 있습니다.
개인적으로는, 한때 결혼을 준비하고 고민해 본 이후 현재로선
결혼을 하지 않는 선택이 스스로의 상황에 더 합리적이라고 여겨집니다.
결혼 제도에 대한 이야기는 일단 차치하고,
저 그리고 제 주변의 평범한 또래 여성들이
'임신'과 '출산'에 대해 회의적인
대표적인 이유들을
원글에 이어지는 글로써 정리...
한국 사회에서 흔히 '결혼 적령기'라고 말하는 나이대에 속해 있기도 합니다.
저는 '안정적인 직장', '여성에게 좋은 직장',
'임신/출산/육아'에 좋은 직장이라고 불리는
교직에 있다가 사직서를 내고
프리랜서로 전향한 사람이기도 합니다.
저출생 문제에 대해 할 말이 너무 많은 관계로
이어지는 글을 쓸까(말을 얹을까 말까)
고민이 많았지만,
'재생산 인구'에 속하는 '젊은 여성' 당사자로서
생애에 걸쳐 고민해온 내용들을
공유해볼까 합니다.
'재생산 가능 인구', 그 중에서도
임신과 출산 과정을 감내하거나 감내하지 않기로 선택하는 당사자인
(*육아는 부부 공동의 문제이며 전적으로 여성의 몫이 아닙니다.
육아에 관한 위 명제가 사회적으로
그리고 가정 내에서 당연하게 받아들여질 때
저출생 문제가 조금이나마 해결될 것이라고 봅니다.)
여성 인구의 목소리를 귀기울여 듣고
문제를 분석하고 해결하지 않는 이상,
저출생 문제 해결은
앞으로도 더욱 요원할 것입니다.
저는 한때 교제하던 상대와 결혼을 준비하다가 결별한 적도 있습니다.
당시 결혼을 하더라도 아이를 낳지 않고 '딩크'로 살기로 상대방과 합의하였고
해당 문제에 대해 남성인 상대방은 당사자인 저보다 회의적인 편이었습니다.
저와 제 또래 주변인들은 '결혼' 또는 '아이를 낳을 수 없는 이유' 라는 주제로
모두 비슷한 이야기를 나누곤 합니다.
결혼을 하더라도 아이는 낳지 않겠다는 인구는 가시적으로도 점점 늘어나고 있으며
결혼 자체에도 회의적인 젊은 인구 또한 크게 늘어나고 있습니다.
개인적으로는, 한때 결혼을 준비하고 고민해 본 이후 현재로선
결혼을 하지 않는 선택이 스스로의 상황에 더 합리적이라고 여겨집니다.
결혼 제도에 대한 이야기는 일단 차치하고,
저 그리고 제 주변의 평범한 또래 여성들이
'임신'과 '출산'에 대해 회의적인
대표적인 이유들을
원글에 이어지는 글로써 정리...
전직 고등학교 교사(~2023. 8.)
교원평가 성희롱 사건을 공론화(2022.12.) 했습니다.
악성민원을 빌미로 한 교육청 감사실의 2차 가해(2023.4.)로 인해 사직원을 제출했습니다.(2023.9.1.~ 프리랜서)
@블랙독 약자의 인권이 보장되지 않는 사회, 약자를 보호할 시스템이 부재하는 사회에서 재생산은 점점 무모한 선택지가 되어갑니다. 아이를 낳아 기르기 척박한 사회에서 저출생 현상은 가속화될 수 밖에 없어 안타깝습니다.
너무 공감가는 글입니다. 아이를 낳고 기르고 싶냐는 물음에는 저 역시 no로 답하며 사는 중이지요. 원인이야 무궁무진하지만 약자의 인권이 보장되지 않는 사회적 의식과 시스템의 부재가 혁신 되지 않는 한 해결의 길도 요원해보입니다.
@최성욱 동감합니다. 국가 자멸의 길로 가고 있다는 전문가의 평가가 너무 와닿습니다.
노인은 늙어서도 일하고 젊은이도 일자리를 제대로 구하지 못하고 기껏 눈을 낮춰 공장을 가면 몸이 축나서 병원비가 더 드는 이런 상황에 무슨 아이일까요? 아이라는 이슈를 이용해 해야할 일을 미뤄두는 것으로 보입니다. 요즘에는.....중국에 탕핑족이 남의 일이 아닌 것 같아요.
일어설 수도 무릎을 숙이는 것도 힘드니 그냥 드러눕자!
왜 사냐 물으면 그저 웃지요!
너무 공감가는 글입니다. 아이를 낳고 기르고 싶냐는 물음에는 저 역시 no로 답하며 사는 중이지요. 원인이야 무궁무진하지만 약자의 인권이 보장되지 않는 사회적 의식과 시스템의 부재가 혁신 되지 않는 한 해결의 길도 요원해보입니다.
노인은 늙어서도 일하고 젊은이도 일자리를 제대로 구하지 못하고 기껏 눈을 낮춰 공장을 가면 몸이 축나서 병원비가 더 드는 이런 상황에 무슨 아이일까요? 아이라는 이슈를 이용해 해야할 일을 미뤄두는 것으로 보입니다. 요즘에는.....중국에 탕핑족이 남의 일이 아닌 것 같아요.
일어설 수도 무릎을 숙이는 것도 힘드니 그냥 드러눕자!
왜 사냐 물으면 그저 웃지요!
@블랙독 약자의 인권이 보장되지 않는 사회, 약자를 보호할 시스템이 부재하는 사회에서 재생산은 점점 무모한 선택지가 되어갑니다. 아이를 낳아 기르기 척박한 사회에서 저출생 현상은 가속화될 수 밖에 없어 안타깝습니다.
@최성욱 동감합니다. 국가 자멸의 길로 가고 있다는 전문가의 평가가 너무 와닿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