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툰댄서
서툰댄서 · 네트워크를 꿈꾸는 자발적 실업자
2023/03/17
촘스키(와 그 공저자들)의 머신러닝 비판을 두번 읽어보았습니다.
처음 읽었을 때의 느낌은 노대가 분이 21세기 최첨단의 기술에 대해 비판을 내놓으시는 것에 대한 경탄이었습니다. 촘스키 옹께서 태어나신 해가 1928년이라고 하니, 올해 만으로 95세가 되십니다. 이 연세에 새로운 지식을 배우고 그에 대한 의견을 주장하신다니, 멋지신 것 같습니다. 처음에 대략 읽어보기엔 차분하고 논리적으로 귀담아들을 만한 주장을 펼치신다는 느낌이었습니다. 귀담아들을 만한 주장이니 뉴욕타임즈에 실리기도 하는 것이겠지요.
하지만 얼룩소 대문에 걸린 걸 보고 두번째 읽을 때의 인상은 주장의 포인트가 애매하고 논거가 불명확하다는 것이었습니다. 대문에 걸려 있는 시간이 지나가 타이밍을 좀 잃긴 했지만, 이에 대한 제 생각들을 이야기해 보고자 합니다.

주장의 포인트가 애매하다는 것은 결국 무엇을 주장하려는 것인지 메시지가 불명확하다는 것입니다. 

이런 시스템들이 윤리성은 부재하고 언어학적으로도 무능한 가짜 과학이라는 점을 생각하면, 이들의 열풍에 그저 웃거나 울 밖에 도리가 없다. 

마지막 문장을 결론으로 간주한다면, 윤리성이 부재하고 언어학적으로도 무능하다는 가짜 과학이라는 것이 무슨 뜻인지, 이들의 열풍에 웃거나 울 수밖에 없다는 것은 무슨 뜻인지 이해하기 어렵습니다. 예를 들어 1차 산업혁명을 가져온 증기기관이나 2차 산업혁명을 가져온 전기시스템을 두고 윤리성이 부재하다고 해서 그에 대해 웃거나 울 수밖에 없다고 얘기하는 것은 어색합니다. 또한 이들 시스템은 언어학적으로 아마도 무능하겠지만(증기기관한테 언어학적 능력을 기대할 수는 없겠지요) 그렇다고 무능한 가짜과학이라고 부르지는 않습니다. 도대체 이야기하고자 하는 것이 무엇일까요?
어떤 기술의 열풍에 웃거나 울 수밖에 없다는 이야기의 뜻을 짐작해 보자면, 이 기술이 많은 사람들의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는 만큼 세상에 영향을 미치지 못할 것이라는 뜻이지 않을까 합니다. ChatGPT나 그와 유사한 기술을 적용한 제품이나 서비스들이 ...
얼룩패스
지금 가입하고
얼룩소의 모든 글을 만나보세요.
이미 회원이신가요? 로그인
궁금하고 의미있다고 생각하는 주제에 대해 배우고자 노력하고, 깨달아지는 것이 있으면 공유하고 공감을 구하는 평범한 사람입니다.
806
팔로워 417
팔로잉 4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