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01/20
저는 중학생때 학교폭력 피해자였던지라, 여전히 학교폭력에 연관된 작품을 보지 못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더 글로리> 라는 작품과 같은 내용은 보지 않게 됩니다.
벌써 10년이 넘어가는 일이지만 여전히 그 여학생들의 이름과 얼굴, 목소리와 일진 흉내내던 말투, 숨소리, 하다 못해 입냄새까지 기억합니다. 폭력 당하는 사람만 고단한 삶을 살게 되는 이 현실 속에서 창작물이 표현하는 '사적제재' 의 달콤함을 논하는 연출은 대중에게 '카타르시스' 를 느끼게 만들어줍니다. 그러나 저는 그러한 느낌조차 받고 싶지 않을 정도로 보기가 싫습니다.
벌써 10년이 넘어가는 일이지만 여전히 그 여학생들의 이름과 얼굴, 목소리와 일진 흉내내던 말투, 숨소리, 하다 못해 입냄새까지 기억합니다. 폭력 당하는 사람만 고단한 삶을 살게 되는 이 현실 속에서 창작물이 표현하는 '사적제재' 의 달콤함을 논하는 연출은 대중에게 '카타르시스' 를 느끼게 만들어줍니다. 그러나 저는 그러한 느낌조차 받고 싶지 않을 정도로 보기가 싫습니다.
법적으로도 솜방망이
학교도, 형사도 안 지켜주는 '피해자'
학생은 보편적으로 사회 경험이 없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법적인 분쟁이 휘말리거나 가해 학생에게 '법적 조치' 가 내려지는 행위 자체가 '보복' 으로 돌아오기 쉽다는 생각을 하기도 쉬워지게 됩니다. 저 또한 그러했습니다. 학폭위가 열리는 과정을 무마하려는 담임선생님의 행동과 귀찮다는 말투에서 느꼈습니다. 가해 학생에게 아무런 처벌을 안 주게 되면 또 뒷말 나올 것 같으니까 교내 쓰레기 줍기 봉사 일주일 시키더군요.
일종의 '솜방망이' 처벌입니다. 그 이후에 교내 경찰이 학교에 자리잡게 되었습니다. 그러나 경찰이 있어봤자 폭력은 꾸준히 발생했고, 학교는 피해 학생을 감언으로 구슬리며 어떻게...
일종의 '솜방망이' 처벌입니다. 그 이후에 교내 경찰이 학교에 자리잡게 되었습니다. 그러나 경찰이 있어봤자 폭력은 꾸준히 발생했고, 학교는 피해 학생을 감언으로 구슬리며 어떻게...
사회적 현상과 변화를 알기 쉽게 다룹니다. 언론의 순기능으로 산출된 유익한 글을 기고하며, 질문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