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12/23
카카오톡에 불만 있는 사람은 많습니다. 저를 포함해서요. 덕지덕지 붙은 광고에 무거운 구동 속도, 왜 있는지 모를 탭까지 이유는 많습니다. 그런데도 우리는 왜 쓸까요? 아마 '모두가 쓰고 있기 때문'이라고 답할 겁니다. 플랫폼의 네트워크 효과는 이제 상식이 됐죠.
그런데 메신저의 네트워크 효과는 정말 절대적일까요? 적어도 '메신저=카톡'의 룰이 통하지 않는 곳이 있습니다. 보안이 중요한 몇몇 업계에선 이미 텔레그램으로 소통하는 게 당연한 일입니다. 업무시간에는 내내 텔레그램만 쓰다가 퇴근하고선 카톡으로 가족과 친구를 찾곤 합니다. 즉 '보안' 같이 중요한 포인트만 있다면 네트워크 효과는 무력화됩니다. 영원불멸의 철옹성은 아아니란 거죠.
근본적으로 카톡의 '독점'이 유지되는 이유는 공짜여서입니다. 카톡이 월 이용료 1000원만 받는다 해도 내일이면 라인 혹은 텔레그램이 국민 메신저의 반열에 오릅니다. 이 말은 카카오의 입장에서 해석하면, 이런 큰 서비스를 만들고도 단 돈 1000원도 소비자의 주머니에서 빼낼 우위가 없다는 의미입니다. 카톡은 네트워크 효과로 소비자를 '지배'하는 게 아닙니다. 무료이기 때문에 양해 받고 있는 1등 서비스에 가깝습니다. 독점이란 말에 따옴표를 붙인 이유입니다.
만약 독점 기업이라면 가격 결정권을 전적으로 휘두를 수 있어야 합니다. 이정도 횡포는 당해야 소비자에게 '노예'라는 명패를 붙일 수 있겠죠.
#1. 카카오모빌리티는 착취하고 있는가?
카카오의 서비스 가운데 메신저(의 문제는 뒤에서)를 빼고 가장 확실한 시장 점유율을 확보한 건 카카오모빌리티(카모)입니다. 법인택시 가운데 39%를 가맹하고 있고 앱호출은 95%를 차지합니다. '앱 호출 택시' 시장에선 확실히 시장 지배자입니다. 일단은 카모 얘기를 해보겠습니다.
그런데 메신저의 네트워크 효과는 정말 절대적일까요? 적어도 '메신저=카톡'의 룰이 통하지 않는 곳이 있습니다. 보안이 중요한 몇몇 업계에선 이미 텔레그램으로 소통하는 게 당연한 일입니다. 업무시간에는 내내 텔레그램만 쓰다가 퇴근하고선 카톡으로 가족과 친구를 찾곤 합니다. 즉 '보안' 같이 중요한 포인트만 있다면 네트워크 효과는 무력화됩니다. 영원불멸의 철옹성은 아아니란 거죠.
근본적으로 카톡의 '독점'이 유지되는 이유는 공짜여서입니다. 카톡이 월 이용료 1000원만 받는다 해도 내일이면 라인 혹은 텔레그램이 국민 메신저의 반열에 오릅니다. 이 말은 카카오의 입장에서 해석하면, 이런 큰 서비스를 만들고도 단 돈 1000원도 소비자의 주머니에서 빼낼 우위가 없다는 의미입니다. 카톡은 네트워크 효과로 소비자를 '지배'하는 게 아닙니다. 무료이기 때문에 양해 받고 있는 1등 서비스에 가깝습니다. 독점이란 말에 따옴표를 붙인 이유입니다.
만약 독점 기업이라면 가격 결정권을 전적으로 휘두를 수 있어야 합니다. 이정도 횡포는 당해야 소비자에게 '노예'라는 명패를 붙일 수 있겠죠.
#1. 카카오모빌리티는 착취하고 있는가?
카카오의 서비스 가운데 메신저(의 문제는 뒤에서)를 빼고 가장 확실한 시장 점유율을 확보한 건 카카오모빌리티(카모)입니다. 법인택시 가운데 39%를 가맹하고 있고 앱호출은 95%를 차지합니다. '앱 호출 택시' 시장에선 확실히 시장 지배자입니다. 일단은 카모 얘기를 해보겠습니다.
"실제로 카카오의 독점 이후 수많은 문제가 일어나고 있는 모빌리티 분야의 경우..."
(앞에 글 <...
무료이기때문에 힘이 있다라는 말에공감이 되요.
유료 전환을 할 수 없다는걸 알기때문에 수많은 광고를 붙이는것 같네요 ㅠ
반대 의견이 다소 길어져 이어진 글로 병렬했습니다. 다소 딱딱할 수 있지만 참고해 보세요.
https://alook.so/posts/mbtExjB
무료라서 가지는 보편성이 있다고 저도 생각해요. 모든 이에게 열려있으니까요.
판교사태 때 카카오를 비판하며 카카오모빌리티에 대한 비난으로 번지는 걸 보고 이상하다는 생각을 했어요. 택시 해비유저로서 전혀 사실이 아닌 이야기가 주장의 근거로 둔갑해 돌아다니더만요. (걍 카카오가 싫었다고 말해…..)
전 카카오 펠로우십과 메이커스 친환경 소비(뭐 사면 산과 바다 중 골라서 기부할 수 있어요.), 우리 농산물 활성화를 위한 제가버치 프로그램을 되게 좋게 보는 사람이거든요. 영향력 있는 회사가 밀고 나가는 선한 사업이 많아질수록, 그 사업을 유지할 수 있는 수익구조 개선이 따라준다면 사회에는 도움이 된다고 믿거든요.
하지만 수익을 위해 어쩔 수 없었다고는 해도 카카오쇼핑은 메이커스와 대척점에 있어서 불편하기도 해요. 결국 두 마리 토끼를 다 잡겠다는 건가. 카카오는 무엇이 되려 하는건가 싶기도 하고요. 이런 부분에 대한 소비자나 활동가들의 비판이 이어져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수익을 두고는 갈팡질팡하는 회사의 뒤통수를 때려주는 뭐 그런…;;;
공개적으로 회사가 이런 방향으로 나아간다고 말하고 실천의 증거를 하나하나 보여주는 회사들이 많아지면 좋겠어요. 그런 의미에서 저도 카카오를 응원하는 편입니다. 대표의 의지가 없으면 구호는 말만 남고 실천은 흩어지기 마련인데 거긴 꾸준한 뭔가가 있는 것 같아요.
잘 읽었습니당.
무료라서 가지는 보편성이 있다고 저도 생각해요. 모든 이에게 열려있으니까요.
판교사태 때 카카오를 비판하며 카카오모빌리티에 대한 비난으로 번지는 걸 보고 이상하다는 생각을 했어요. 택시 해비유저로서 전혀 사실이 아닌 이야기가 주장의 근거로 둔갑해 돌아다니더만요. (걍 카카오가 싫었다고 말해…..)
전 카카오 펠로우십과 메이커스 친환경 소비(뭐 사면 산과 바다 중 골라서 기부할 수 있어요.), 우리 농산물 활성화를 위한 제가버치 프로그램을 되게 좋게 보는 사람이거든요. 영향력 있는 회사가 밀고 나가는 선한 사업이 많아질수록, 그 사업을 유지할 수 있는 수익구조 개선이 따라준다면 사회에는 도움이 된다고 믿거든요.
하지만 수익을 위해 어쩔 수 없었다고는 해도 카카오쇼핑은 메이커스와 대척점에 있어서 불편하기도 해요. 결국 두 마리 토끼를 다 잡겠다는 건가. 카카오는 무엇이 되려 하는건가 싶기도 하고요. 이런 부분에 대한 소비자나 활동가들의 비판이 이어져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수익을 두고는 갈팡질팡하는 회사의 뒤통수를 때려주는 뭐 그런…;;;
공개적으로 회사가 이런 방향으로 나아간다고 말하고 실천의 증거를 하나하나 보여주는 회사들이 많아지면 좋겠어요. 그런 의미에서 저도 카카오를 응원하는 편입니다. 대표의 의지가 없으면 구호는 말만 남고 실천은 흩어지기 마련인데 거긴 꾸준한 뭔가가 있는 것 같아요.
잘 읽었습니당.
반대 의견이 다소 길어져 이어진 글로 병렬했습니다. 다소 딱딱할 수 있지만 참고해 보세요.
https://alook.so/posts/mbtExj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