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대 초기 조선의 상공을 지난 비행기 - 식민지 시기 매체에 등장한 비행기 표상들

강부원
강부원 인증된 계정 · 잡식성 인문학자
2024/01/20
운남육군항공학교에서 권기옥이 첫 단독비행에 성공한 직후 찍은 기념사진. 출처 국가보훈처

근대 초기 조선의 상공을 지난 비행기 - 식민지 시기 매체에 등장한 비행기 표상들
   
과학-기술의 총화로 여겨지던 비행기에 대한 관심은 1930년대 말에 갑작스럽게 나타난 현상이 아니다. 유럽에서는 이미 19세기 말부터, 조선에서도 1910년대부터 비행기는 강력한 테크놀로지의 집합체로 대중들에게 인식되기 시작한다. 비행기는 과학-기술이 가장 집약적으로 응축된 형태의 기계로 대중들에게 깊은 인상을 심어주었다. 즉 비행기는 인간의 과학-기술이 자연을 정복하는 거대한 힘을 환유하는 이미지로 작동했다. 

유럽과 일본에서처럼 식민지 조선에서도 비행기를 통해 과학과 힘을 상징적으로 불러내는 시도는 이미 1910년대의 매체에서 발견된다. 최남선이 발행한 잡지 『소년』과 『청춘』뿐만 아니라 1910∼30년대를 아우르며 계속적으로 등장하는 『매일신보』의 광고들에서 이와 같은 사례를 찾아 볼 수 있다. 

『소년』(1908. 8. ∼ 1911. 5.) 과 『청춘』(1914. 10. ∼ 1918. 9.)은 아직 근대 매체가 활발하게 등장하기 이전인 1910년대에 만들어진 종합교양지이다. 인쇄매체가 흔하지 않았던 시기였지만 『소년』(최남선)과 『청춘』에는 여느 잡지보다도 시각 자료가 많이 집적되어 있다. 『소년』(최남선)과 『청춘』은 “‘읽는’ 잡지라기보다 ‘보는’ 잡지를 표방”했다고 말할 수 있을 정도로 사진과 도판, 기호, 도형 등이 많이 실려 있다. 또한 『소년』(최남선)은 이러한 방식을 통해 1910년대 조선의 잡지가 감당할 수 있는 과학의 최대치를 보여줬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강부원
강부원 님이 만드는
차별화된 콘텐츠, 지금 바로 만나보세요.
이미 회원이신가요? 로그인
옛날 신문과 오래된 잡지 읽기를 즐기며, 책과 영상을 가리지 않는 잡식성 인문학자입니다.학교와 광장을 구분하지 않고 학생들과 시민들을 만나오고 있습니다. 머리와 몸이 같은 속도로 움직이는 연구자이자 활동가로 살고 싶습니다.
172
팔로워 2.2K
팔로잉 6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