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사역사학 끝판왕의 등장

이문영
이문영 인증된 계정 · 초록불의 잡학다식
2024/05/22
이덕일의 한가람역사문화연구소에서는 <온 국민을 위한 대한민국 역사교과서>라는 책을 내놓았다. 1권은 선사시대에서 고려시대까지, 2권은 조선시대에서 현대사까지 다루고 있다.
온 국민을 위한 대한민국 역사교과서 1권 (예스24)
유사역사학의 가장 큰 특징은 어떻게든 과거의 영토를 더 크게 만들어야 한다는 것에 있다. 이 사람들의 고대 영토 지도를 한번 보자.
1권 204쪽
백제가 중국 땅을 한반도보다 더 크게 차지하고 있다. 고구려 영토는 대체 어디까지인지도 알 수가 없다. 백제는 일본에도 터무니없을 영토를 가지고 있다. 가야 역시 한반도보다 일본 영토가 더 크다. 이쯤 되면 이 나라들은 한반도의 국가가 아니라 하겠다.

그럼 이번에는 통일신라(이 책에서는 "대신라"라고 쓴다) 지도를 보자.
1권 303쪽

영토가 저 정도면 고구려 영토까지 모두 차지한 셈이 된다. 그럼 어떻게 이렇게 큰 신라 영토가 가능했을까? 이 책에서는 이렇게 설명한다.

대신라의 북방강역은 신라의 태종 무열와과 당 태종이 두 나라를 무너뜨릴 경우"평양 이남과 백제 땅은 신라가 차지한다."고 영토분할 협정을 맺은 데서 비롯되었다.

이덕일 일당은 <요사>를 근거로 요동의 요양 또는 하북성 노룡현이 평양이었다고 주장한다. 어처구니가 없다.

그럼 지금의 평양은? 여기는 고구려의 한성이라고 주장한다. 그 근거로 평양성에서 발견된 "각자성석"을 든다.

각자성석이라는 것은 성벽을 이룬 돌에 글자가 새겨진 것을 가리킨다. 조선 한양 성벽에도 이 각자성석이 여럿 있다. 여기에 성을 쌓은 책임자를 명기하는 것이다. 

평양성 각자성석은 지금까지 모두 5개가 발견되었다. 그중 제 4석에는 이런 말이 적혀 있다.
"병술년 12월 중 한성 아래 후부의 소형 문달이 맡아 여기부터 서북쪽 방향으로 나아갔다."
이덕일 일당은 "한성 아래 후부의 소형"이라는 말에서 한성이 나오니까 여기가 고구려의 한성이라는 것이다....
이문영
이문영 님이 만드는
차별화된 콘텐츠, 지금 바로 만나보세요.
이미 회원이신가요? 로그인
하이텔·이글루스에서 사이비•유사역사학들의 주장이 왜 잘못인지 설명해온 초록불입니다. 역사학 관련 글을 모아서 <유사역사학 비판>, <우리가 오해한 한국사>와 같은 책을 낸 바 있습니다. 현재 우리나라 역사를 시민에게 쉽게 전달할 수 있는 책들을 쓰고 있습니다.
158
팔로워 828
팔로잉 3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