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느 성미급한 미국인에 대하여
2022/12/24
어느 성미 급한 미국인에 대하여
.
6.25를 겪은 세대가 미국을 바라보는 태도는 임진왜란 후 조선 사람들이 두고두고 섬겼던 ‘재조지은’의 개념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는 듯하다. 기실 미국이 개입하지 않았다면 6.25는 북한의 일방적인 ‘국토 완정’으로 끝날 가능성이 높았다. 북한은 스탈리의 승인 하에 치밀한 전쟁 준비를 해 온데다 소련의 기갑 전력과 완전무장한 조선족 사단까지 받아들인 상황이었고, 남한 군대는 그렇지 못했다. 낙동강 원진을 구성했더라도 한국군으로서는 인민군의 파상공세를 막기란 불가능했을 것이다. 이 절체절명의 위기에서 오늘날 대한민국의 이름을 잇게 만들어준 것은 역시 미군의 지원이었다. 흔히 우리는 그 최대 공로자로 맥아더 원수를 꼽지만 더하여 한 명의 이름을 빼놓기 어렵다. 월턴 해리스 워커 중장 (1889~1950)
.
따로이 관상에 식견이 없더라도, 인상만 보고도 파악되는 사람이 있다. 워커 중장은 그런 류의 사람이었다. 그의 생전 사진을 보면 딱 불독상이다. (실제 별명이 그랬다.) 물면 안놔줄 것 같은 투쟁심 그득한 무골의 인상이라는 뜻이다. 그 분위기에 걸맞게 그는 저 유명한 ‘패튼대전차 군단’의 주요 지휘관이었다. 기갑부대를 이끌고 독일 깊숙이 들어가 나치 만행의 중요한 증거가 된 부헨발트 수용소를 해방시키고 히틀러의 고향 오스트리아 린츠까지 손에 넣었던 것이 그였다.
.
유럽 전선이 끝난 후 그는 태평양 지역으로 배치돼 일본 주둔 미 8군 사령관으로 취임하는데 쇼맨쉽 하나는 끝내주고 사진 촬영을 위해서라면 몇 번이고 재연도 서슴지 않았던 더글라스 맥아더와는 당연히 서먹서먹했다. 반면 태평양에서 죽어라고 덤비는 일본군에게 무진 고생을 겪었던 맥아더는 유럽 전선에서 온 워커를 무시했다. 같은 유럽 전선 출신이라도 맥아더의 입안의 혀같이 굴 줄 알았던 알몬드 소장 (인천 상륙작전 중 기함에서 파이프 물고 앉은 맥아더 앞에서 비서처럼 허리 숙이고 전황 설명하는 이가...
사학과는 나왔지만 역사 공부 깊이는 안한 하지만 역사 이야기 좋아하고 어줍잖은 글 쓰기 좋아하는 50대 직장인입니다.
문득 6.25 전쟁사를 조금 더 구체적이고 자세하게 배우는 부분이 공교육 현장에 필요하다는 생각이 드네요. 현대사를 조금 더 세련되게 잘 가르치는 한국 사회가 되기를 빕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