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의 혼과 예술을 지켜냈다 - 간송 전형필

강부원
강부원 인증된 계정 · 잡식성 인문학자
2024/05/23
보화각 1938 - 간송미술관 재개관전

종로 배오개 출신 문화재수집가 전형필
  
수년간 문을 닫아 걸고 있던 간송미술관이 최근 새단장을 하고 <보화각 1938 - 간송미술관 재개관전>을 열었습니다. 이에 맞춰 간송 전형필과 간송미술관의 전신인 보화각에 대해 써봤는데요. 혜원, 단원, 오원, 겸재, 추사는 물론 여러 서화 및 골동 등 볼만한게 많지만, 짧게만 열기로 유명한 간송미술관에 긴 줄을 불사하고 대기했다 다녀오기도 했습니다. 간송 전형필에 대해 한 번 읽어보시죠. 

40대 시절의 간송 전형필의 모습. 출처-간송미술문화재단
대부호의 상속자, 조선 골동에 눈을 뜨다
   
‘간송미술관’의 간송(澗松)은 전형필(全鎣弼 1906~1962)의 호를 따 지은 이름이다. 전형필은 일제강점기 유실 위기에 처한 우리나라의 문화재를 샅샅이 수집한 인물이다. 그는 경성 대부호 전명기(全命基)의 아들로 태어나 10만석 자산을 물려받은 상속권자였다. 그의 증조부 전계훈(全啓勳)은 정3품 무관직인 중군(中軍)을 지낸 관료였으나, 한양 배오개(현 종로4가 인의동)에 터를 잡은 뒤 조선 최고의 거리인 운종가, 즉 종로의 상권을 장악해 부를 일궜다. 현재 종로의 광장시장이 바로 전씨 집안이 활약했던 배오개시장의 역사를 이은 곳이다. 
전형필은 물려받은 전 재산을 일평생 문화재를 사 모으고 보호하는 데 사용했다. 그의 업적은 오랫동안 묻혀 있었다. 이름난 골동과 질 높은 서화를 수집한 행적이 세상 사람들에게 알려지고 난 뒤에도 그다지 대단한 일로 평가받지 못했다. 그의 문화재 수집과 보존 활동을 대부호의 호사 취미 정도로 폄하하는 사람들이 있었기 때문이다. 

전형필은 휘문고보를 졸업한 뒤, 일본으로 유학을 떠나 와세다 대학 법과를 졸업했다. 학업을 마치고 경성으로 돌아온 뒤, 곧바로 가문의 재산을 상속했다. 후사가 없던 작은아...
강부원
강부원 님이 만드는
차별화된 콘텐츠, 지금 바로 만나보세요.
이미 회원이신가요? 로그인
옛날 신문과 오래된 잡지 읽기를 즐기며, 책과 영상을 가리지 않는 잡식성 인문학자입니다.학교와 광장을 구분하지 않고 학생들과 시민들을 만나오고 있습니다. 머리와 몸이 같은 속도로 움직이는 연구자이자 활동가로 살고 싶습니다.
179
팔로워 2.2K
팔로잉 67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