버추얼 아이돌이 초동 50만장? 도대체 플레이브(PLAVE)가 누군데?: 사회학적으로 분석하기
2024/03/05
플레이브(PLAVE)를 처음 알게 된 건 순전히 동네 때문이었다. 나는 나를 아는 타인들로부터 “핫플 많은 곳 사는 애”라고 이해되고 있을 정도로, 대부분 사람에게 합의된 서울의 힙하다는 그 동네에 살고 있다.
이 동네로 말할 것 같으면 언제부턴가 지하철역의 옥외광고판이 아이돌 혹은 애니메이션 캐릭터의 생일 광고 외에 다른 광고로는 채워진 적이 없는 동네다. 나는 들어 보기도 했고 들어 보지 못하기도 했던 아이돌의 이름을 지나가다 보이는 생일 카페 때문에 알게 되기도 했고, 네컷 사진 기기에서 우연히 본 생일 기념 콜라보 포토 프레임으로 그들을 알게 되기도 했다.
플레이브도 그러한 아이돌 중의 하나였다. 이 글을 쓰기 바로 전까지는 말이다.
아, 그러니까 완전히 AI는 아니란 말이네?
최근 플레이브는 데뷔 1주년을 기념해 더 현대 서울에 팝업 스토어를 열었다. 그리고 오늘, SNS에서 플레이브 팝업스토어 방문 후기를 보았다. 글에 직접적으로 설명되진 않았지만, 그 게시물에 한 가지 전제가 깔려 있다는 걸 깨달았다. 바로,
“본체가 따로 있다.”
버추얼 아이돌이라고 하길래 무지한 범부인 나는 녹음된 노래도 인공지능을 이용한 음성인 줄 알았고, 노래 자체도 인공지능으로 만든 건 줄 알았고, 영상에 나오는 움직임도 그저 애니메이션처럼 만들었을 따름이라고 생각했다. 말하자면 AR 기술로 존재하는 K/DA의 존재-감만을 상상했다. 나는 플레이브의 존재를 인지하고 있는 상태였지만, 그들을 안다고는 할 수 없었던 것이다.
그러나 플레이브는 진짜 사람이었다. 2023년에 데뷔한 5인조 남성 보이 그룹. 대표의 말을 빌리자면 이들은 ‘디지털 펭수'다. “버추얼 아이돌이고 실연자가 있”다.
진짜여야 하는 것은 진짜, 가짜여야 좋은 것은 가짜
1 | 불쾌한 골짜기(Uncanny Valley) (1) 한결같이 존잘
플레이브가 현실적인 인간의 외양이 아니라 2D ...
⦧home and nest⦦
에세이와 칼럼, 조금의 소설.
에세이 2권, 학술서 공저 1권, 한겨레 칼럼
seedsofthought.biz@gmail.com
@신예희 그쵸, 저도 이해하기 위해서 글을 쓴 것도 있어요. 도움되셨다니 감사한 마음입니다.
버추얼 아이돌이 뭔지 잘 이해가 되지 않아 받아들이기도 어려웠는데, 많은 도움이 됩니다. 말하자면 펭수처럼, 본체가 따로 있다는 말씀이 확 와닿았어요.
@유영진 네, 동의하는 부분입니다. 사실 제가 주장하고자 하는 내용이 아이돌이 팬에게 보여주는 친근함도 이상적으로 부각된다는 것이었는데, 그걸 '아이돌스러운 것'로 표현하고 논지를 끌어갔지만, 어떻게 설명해야 할지 고민했던 부분이에요. 짚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요즘 아이돌의 이상적인 이미지에 이미 인간적이고 친근한 이미지가 내포되어 있다고 생각하고 쓴 거라고 이해해주시면 좋겠어요. 무대 잘하는 것은 기본이고 여기에 팬들에 친근하고 소통을 잘해야 천상 아이돌로 표현되곤 하더라고요. 아마 이 부분이 더 설명되었어야 했을 것 같습니다. 어디까지나 주관적인 개념이니까요.
그래서 그 아이돌과 개인의 갭이라고 표현한 부분은 미디어로 노출되는 부분의 영역-무대에서 내려와서 보여지는 모습, 버블, 위버스, 자체 콘텐츠 등등을 포함-과 팬들이 알 수 없는 개인적인 영역과의 갭을 말한 것이었고, 버추얼 아이돌에게는 후자의 영역이 당연히 실제로는 있겠지만, 팬들이 그걸 타 아이돌에 비해 덜 신경쓰고 덜 의식한다는 의미에서 아이돌적인 면모만 드러난다고 표현했어요. 하지만 오히려 헷갈리게 읽혀버린듯...
만약 퇴고를 하게 된다면 ㅎㅎ 이상적인 아이돌이 갖고 있는 인간적인 면모가 버추얼로서 더 드러난다는 식으로 고치면 명료해질 듯하네요. 의견 감사합니다!
버츄얼 아이돌 산업은 여러 모로 흥미롭습니다. 말씀하신 내용만으로 보면 플레이브는 아이돌 활동에 주력하는 버츄얼 그룹인 것 같은데요, 통상의 인터넷 개인방송을 겸하여 활동하는 이세계아이돌이나 스텔라이브 같은 경우처럼, 세계적으로는 홀로라이브의 영향으로 버츄얼 방송인 겸 아이돌인 경우가 가장 대중적입니다. (니지산지처럼 아이돌 활동보다는 방송활동에 주력하는 경우도 많습니다.) 이런 경우 아이돌로서의 이미지 마케팅뿐만 아니라 방송인으로서도 시청자들과 친근하고 인간적인 관계를 나눌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즉 버츄얼 활동의 목적이 '이상적인 아이돌' 이미지를 유지하는 데 있지 않다는 의미입니다.
최근에는 AI 버츄얼 방송인들까지 등장하여 논의거리가 더욱 늘어났습니다. 엔터테인먼트 영역조차 AI 에 의해 인간이 파이를 빼앗길 수 있다는 것입니다. 세계 최초의 AI 버츄얼 계정 '뉴로사마'(Neuro-sama), 국내 최초의 AI 버츄얼 계정 '라디안'(Radian)을 들 수 있습니다. 다시 말해, 요즘 AI 들은 노래도 잘 부르고, 게임 화면을 인식하면서 적절히 조작할 수 있고, 시청자들의 채팅을 읽으며 적절히 리액션할 수 있습니다. 앞으로 5년 후, 10년 후의 콘텐츠 산업이 어디로 흘러갈지, 이제는 정말로 예측하기 어려워 보입니다.
버츄얼 아이돌 산업은 여러 모로 흥미롭습니다. 말씀하신 내용만으로 보면 플레이브는 아이돌 활동에 주력하는 버츄얼 그룹인 것 같은데요, 통상의 인터넷 개인방송을 겸하여 활동하는 이세계아이돌이나 스텔라이브 같은 경우처럼, 세계적으로는 홀로라이브의 영향으로 버츄얼 방송인 겸 아이돌인 경우가 가장 대중적입니다. (니지산지처럼 아이돌 활동보다는 방송활동에 주력하는 경우도 많습니다.) 이런 경우 아이돌로서의 이미지 마케팅뿐만 아니라 방송인으로서도 시청자들과 친근하고 인간적인 관계를 나눌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즉 버츄얼 활동의 목적이 '이상적인 아이돌' 이미지를 유지하는 데 있지 않다는 의미입니다.
최근에는 AI 버츄얼 방송인들까지 등장하여 논의거리가 더욱 늘어났습니다. 엔터테인먼트 영역조차 AI 에 의해 인간이 파이를 빼앗길 수 있다는 것입니다. 세계 최초의 AI 버츄얼 계정 '뉴로사마'(Neuro-sama), 국내 최초의 AI 버츄얼 계정 '라디안'(Radian)을 들 수 있습니다. 다시 말해, 요즘 AI 들은 노래도 잘 부르고, 게임 화면을 인식하면서 적절히 조작할 수 있고, 시청자들의 채팅을 읽으며 적절히 리액션할 수 있습니다. 앞으로 5년 후, 10년 후의 콘텐츠 산업이 어디로 흘러갈지, 이제는 정말로 예측하기 어려워 보입니다.
@신예희 그쵸, 저도 이해하기 위해서 글을 쓴 것도 있어요. 도움되셨다니 감사한 마음입니다.
버추얼 아이돌이 뭔지 잘 이해가 되지 않아 받아들이기도 어려웠는데, 많은 도움이 됩니다. 말하자면 펭수처럼, 본체가 따로 있다는 말씀이 확 와닿았어요.
@유영진 네, 동의하는 부분입니다. 사실 제가 주장하고자 하는 내용이 아이돌이 팬에게 보여주는 친근함도 이상적으로 부각된다는 것이었는데, 그걸 '아이돌스러운 것'로 표현하고 논지를 끌어갔지만, 어떻게 설명해야 할지 고민했던 부분이에요. 짚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요즘 아이돌의 이상적인 이미지에 이미 인간적이고 친근한 이미지가 내포되어 있다고 생각하고 쓴 거라고 이해해주시면 좋겠어요. 무대 잘하는 것은 기본이고 여기에 팬들에 친근하고 소통을 잘해야 천상 아이돌로 표현되곤 하더라고요. 아마 이 부분이 더 설명되었어야 했을 것 같습니다. 어디까지나 주관적인 개념이니까요.
그래서 그 아이돌과 개인의 갭이라고 표현한 부분은 미디어로 노출되는 부분의 영역-무대에서 내려와서 보여지는 모습, 버블, 위버스, 자체 콘텐츠 등등을 포함-과 팬들이 알 수 없는 개인적인 영역과의 갭을 말한 것이었고, 버추얼 아이돌에게는 후자의 영역이 당연히 실제로는 있겠지만, 팬들이 그걸 타 아이돌에 비해 덜 신경쓰고 덜 의식한다는 의미에서 아이돌적인 면모만 드러난다고 표현했어요. 하지만 오히려 헷갈리게 읽혀버린듯...
만약 퇴고를 하게 된다면 ㅎㅎ 이상적인 아이돌이 갖고 있는 인간적인 면모가 버추얼로서 더 드러난다는 식으로 고치면 명료해질 듯하네요. 의견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