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개토왕비>(414)의 안라인수병安羅人戍兵은 어느 나라 사람인가

노영식 · 석기시대 언어학자
2023/08/13
가야 세력인 안라가 비문[<광개토왕비>(414)]에 기록되지 않았다고 파악하였다.
영락 10년조가 고구려와 신라의 관계를 보여주기 위한 기록이라는 점과 `安羅人戍兵`이 기술된 위치 그리고 `安羅人戍兵`이 세 군데 기록된 점에서 볼 때 `安羅人戍兵`은 “신라인을 두다”로 해석하는 것이 가장 합리적이라고 이해된다. 
<광개토왕비문의 `안라인수병(安羅人戍兵)`에 대한 재해석>
Reinterpretation of the “Anlainsubyong(安羅人戍兵)” on the Gwanggaeto Stele
신가영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2017.03
동방학지  178권  1-26(26pages)
UCI I410-ECN-0102-2018-900-000408144

고대 지명에 大를 뜻하는 단어에 한자 차용 표기가 있다.
건길지鞬吉支는 백제왕 표기로 길지吉支와 건鞬[큰 대大]이 결합한 단어로 보고 있다.

신평현新平縣은 본래 백제百濟의 사평현沙平縣이었는데, 경덕왕景德王이 이름을 고쳤다. 
신량현新良縣은 본래 백제百濟의 사시량현沙尸良縣이었는데, 경덕왕景德王이 이름을 고쳤다.
<삼국사기> 권36.
수지현首知縣 신지新知라고도 한다.
<삼국사기> 권37.
신성주新城州는 본래 구차홀仇次忽(혹은 돈성敦城이라고도 이른다.)이다.
<삼국사기> 권37.

새 신新이 沙, 沙尸(살), 수首,  구仇, 돈敦과 대응한다. 신라新羅가 사로斯盧에서 발달하고 신라新羅가 새 新은 새(닭 계鷄)와 동음(이의)어로, 林(림. 일본어 한자음 rin, 광동어 lam, 민난어 nan)에 보이는 nan은 계림을  *신(새)난 > *신(새)란 독음 가능성을 열어준다. 고대 금석문에는 계림이 보이지 않아 계림은 후대에 생긴 것으로 보인다.

안라인수병安羅人戍兵은 安에 大 뜻이 있어 안라인수병安羅人戍兵은 신라인수병新羅人戍兵의 이표기로 보인다.

🐮 🐄 🥛

지금 가입하고
얼룩소의 모든 글을 만나보세요.

얼룩소 시작하기

만 년 전 구대륙 인류의 신대륙 확산 이후 단절된 언어 비교로 석기 시대의 언어를 발굴한다. 특히 남미 안데스 산중 티티카카 호반의 언어와 아시아 언어를 비교한다. 각 언어 전문가 논저와 DB를 이용해 신뢰성을 높인다.
1.1K
팔로워 252
팔로잉 94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