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성주님이 아래 쓴 글과는 다른 관점에서 TBS는 과연 지킬 필요가 있는 미디어인지 한번 생각해보려고 합니다. TBS가 미디어 기업의 노동문제에 대해서 전향적인 접근을 했고 다른 방송사들에 비해서 좋은 노동환경을 만들고 방송사 전반의 노동환경 변화에 큰 역할 했으니까 지켜야 한다는 것이 조성주님의 관점인 것 같습니다.
답변 잘 보았습니다. 결은 다르지만 국가, 지자체 의도의 방송국이 필요한가에 대한 고민이라면 이해가 가네요. 반면 기존에 있는 공적 미디어 채널에 '시사프로그램'이 필요한가에 대한 것이라면 저는 '필요하다'입니다.
미디어의 주체가 공영인지 민영인지를 떠나 미디어의 존재는 공공의 기여와 부담으로 가능하니까요. 바로, 광고, 구독, 시청 등의 행위는 공공의 기여에 해당한 것이지요. '공중파'라는 개념이 그러한 것이니까요. 구독료를 받는 신문이나, 잡지도 자신의 유불리에 따른 편성만 한다면 어렵지 않을까요.
서로의 입장에서 좋은 토론이 될 소재 같습니다.
나중에 제 의견을 정리해 볼테니 나중에 한반 들려주세요.
미디어로서의 가치를 이야기합니다. 이미 공영방송이 과점한 라디오 뉴스정보시장에 TBS가 들어가서 KBS, MBC의 점유율을 빼앗아 오는 것이 어떤 의미가 있는 것일까요? 라디오로 듣는 교통정보는 이미 정보로서의 가치가 많이 떨어졌죠 물론 필요한 분들이 있으니 그 분들을 위해서 최소한으로 제공하는 것이 의미는 있을 지 모르겠지만 전반적으로는 저물어가는 시장이 아닐까요? 저는 뉴스공장을 비롯한 시사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것 자체가 가치가 없다는 이야기입니다. 물론 MBC, KBS가 못하니까 더 잘하는 공영방송이 필요하지 않느냐는 의견이 있을 수 있겠지만, 세금으로 운영되거나 국가가 소유한 공영방송이 잘 못한다고 해서 다시 세금을 투입해 새로운 공영방송을 만드는 것이 과연 해법일까요? 물론 이번 서울시정부의 결정이 김어준때문이라는 것은 알고 있지만, 한번 같이 고민해봐야할 부분은 그 김어준이 아니더라도 시영미디어 기업이 필요했느냐는 점이라는 것을 이야기해보고 싶었는데, 제가 좀 글이 부족했나 봅니다.
"지금 뉴스공장의 편파성 문제를 따지고 할 게 아니라 뉴스공장이 아무리 독립적이라고 하더라도 국민의 세금을 쓰는 만큼 국민에게 가치를 주느냐를 우선 따져봐야 할 것입니다."
이 문제제기의 의의는 알 수 있습니다만, 어떤 기준으로 '가치가 없다'라고 판단하시는지 여러 번 읽어도 알 수가 없어서 여쭈어 봅니다. 그 '가치의 기준'이 내 성향, 내 마음, 내 가치관인지 아니면 가치를 판단할 수 있는 근거와 조사의 결과, 그리고 예시가 있으면 좋겠는데 찾을 수가 없어서요.
저는 '뉴스공장'과 'TBS'는 별개로 살펴 볼 필요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TBS의 경우 동시간 주파수 점유율이 2위입니다. (수도권 기준) 물론 '뉴스공장'이라는 견인 장치가 있어서도 그러하지만, 여전히 교통정보와 뉴스에 충실한 몇 안되는 주파수이기에 그렇다고 생각이 들지요.
뉴스공장 때문에 찬반이 일어나는 것 자체가 '정치적'입니다. 존치의 이유가 '뉴스공장'이라면 정치적인 것이고, 반대로 폐지의 이유가 단지 '뉴스공장' 때문이라면 이도 역시 정치적입니다.
공영방송익에 정치적 상황과 독립된 환경이었으면 한다는 생각에 동의합니다. 하지만 '정치적 편파성' 때문이라는 지적 또한 매우 '정치적'인 것이지요. '가치가 없다'의 기준이 필요한 지점입니다.
저는 개인적으로 '뉴스공장'의 진행이 치우침이 있다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그것을 빌미로 TBS라는 주파수 점유 우위의 방송국을 사실상 폐지하는 것도 매우 정치적인 결정이라 생각합니다. 다른 방법들이 충분히 있는데도 말이지요. 자칫 언론과 싸우는 정치세럭이라는 오해가 생기기 딱 좋은 빌미가.되겠지요.
"지금 뉴스공장의 편파성 문제를 따지고 할 게 아니라 뉴스공장이 아무리 독립적이라고 하더라도 국민의 세금을 쓰는 만큼 국민에게 가치를 주느냐를 우선 따져봐야 할 것입니다."
이 문제제기의 의의는 알 수 있습니다만, 어떤 기준으로 '가치가 없다'라고 판단하시는지 여러 번 읽어도 알 수가 없어서 여쭈어 봅니다. 그 '가치의 기준'이 내 성향, 내 마음, 내 가치관인지 아니면 가치를 판단할 수 있는 근거와 조사의 결과, 그리고 예시가 있으면 좋겠는데 찾을 수가 없어서요.
저는 '뉴스공장'과 'TBS'는 별개로 살펴 볼 필요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TBS의 경우 동시간 주파수 점유율이 2위입니다. (수도권 기준) 물론 '뉴스공장'이라는 견인 장치가 있어서도 그러하지만, 여전히 교통정보와 뉴스에 충실한 몇 안되는 주파수이기에 그렇다고 생각이 들지요.
뉴스공장 때문에 찬반이 일어나는 것 자체가 '정치적'입니다. 존치의 이유가 '뉴스공장'이라면 정치적인 것이고, 반대로 폐지의 이유가 단지 '뉴스공장' 때문이라면 이도 역시 정치적입니다.
공영방송익에 정치적 상황과 독립된 환경이었으면 한다는 생각에 동의합니다. 하지만 '정치적 편파성' 때문이라는 지적 또한 매우 '정치적'인 것이지요. '가치가 없다'의 기준이 필요한 지점입니다.
저는 개인적으로 '뉴스공장'의 진행이 치우침이 있다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그것을 빌미로 TBS라는 주파수 점유 우위의 방송국을 사실상 폐지하는 것도 매우 정치적인 결정이라 생각합니다. 다른 방법들이 충분히 있는데도 말이지요. 자칫 언론과 싸우는 정치세럭이라는 오해가 생기기 딱 좋은 빌미가.되겠지요.
미디어로서의 가치를 이야기합니다. 이미 공영방송이 과점한 라디오 뉴스정보시장에 TBS가 들어가서 KBS, MBC의 점유율을 빼앗아 오는 것이 어떤 의미가 있는 것일까요? 라디오로 듣는 교통정보는 이미 정보로서의 가치가 많이 떨어졌죠 물론 필요한 분들이 있으니 그 분들을 위해서 최소한으로 제공하는 것이 의미는 있을 지 모르겠지만 전반적으로는 저물어가는 시장이 아닐까요? 저는 뉴스공장을 비롯한 시사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것 자체가 가치가 없다는 이야기입니다. 물론 MBC, KBS가 못하니까 더 잘하는 공영방송이 필요하지 않느냐는 의견이 있을 수 있겠지만, 세금으로 운영되거나 국가가 소유한 공영방송이 잘 못한다고 해서 다시 세금을 투입해 새로운 공영방송을 만드는 것이 과연 해법일까요? 물론 이번 서울시정부의 결정이 김어준때문이라는 것은 알고 있지만, 한번 같이 고민해봐야할 부분은 그 김어준이 아니더라도 시영미디어 기업이 필요했느냐는 점이라는 것을 이야기해보고 싶었는데, 제가 좀 글이 부족했나 봅니다.
답변 잘 보았습니다. 결은 다르지만 국가, 지자체 의도의 방송국이 필요한가에 대한 고민이라면 이해가 가네요. 반면 기존에 있는 공적 미디어 채널에 '시사프로그램'이 필요한가에 대한 것이라면 저는 '필요하다'입니다.
미디어의 주체가 공영인지 민영인지를 떠나 미디어의 존재는 공공의 기여와 부담으로 가능하니까요. 바로, 광고, 구독, 시청 등의 행위는 공공의 기여에 해당한 것이지요. '공중파'라는 개념이 그러한 것이니까요. 구독료를 받는 신문이나, 잡지도 자신의 유불리에 따른 편성만 한다면 어렵지 않을까요.
서로의 입장에서 좋은 토론이 될 소재 같습니다.
나중에 제 의견을 정리해 볼테니 나중에 한반 들려주세요.
답변 잘 보았습니다. 결은 다르지만 국가, 지자체 의도의 방송국이 필요한가에 대한 고민이라면 이해가 가네요. 반면 기존에 있는 공적 미디어 채널에 '시사프로그램'이 필요한가에 대한 것이라면 저는 '필요하다'입니다.
미디어의 주체가 공영인지 민영인지를 떠나 미디어의 존재는 공공의 기여와 부담으로 가능하니까요. 바로, 광고, 구독, 시청 등의 행위는 공공의 기여에 해당한 것이지요. '공중파'라는 개념이 그러한 것이니까요. 구독료를 받는 신문이나, 잡지도 자신의 유불리에 따른 편성만 한다면 어렵지 않을까요.
서로의 입장에서 좋은 토론이 될 소재 같습니다.
나중에 제 의견을 정리해 볼테니 나중에 한반 들려주세요.
미디어로서의 가치를 이야기합니다. 이미 공영방송이 과점한 라디오 뉴스정보시장에 TBS가 들어가서 KBS, MBC의 점유율을 빼앗아 오는 것이 어떤 의미가 있는 것일까요? 라디오로 듣는 교통정보는 이미 정보로서의 가치가 많이 떨어졌죠 물론 필요한 분들이 있으니 그 분들을 위해서 최소한으로 제공하는 것이 의미는 있을 지 모르겠지만 전반적으로는 저물어가는 시장이 아닐까요? 저는 뉴스공장을 비롯한 시사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것 자체가 가치가 없다는 이야기입니다. 물론 MBC, KBS가 못하니까 더 잘하는 공영방송이 필요하지 않느냐는 의견이 있을 수 있겠지만, 세금으로 운영되거나 국가가 소유한 공영방송이 잘 못한다고 해서 다시 세금을 투입해 새로운 공영방송을 만드는 것이 과연 해법일까요? 물론 이번 서울시정부의 결정이 김어준때문이라는 것은 알고 있지만, 한번 같이 고민해봐야할 부분은 그 김어준이 아니더라도 시영미디어 기업이 필요했느냐는 점이라는 것을 이야기해보고 싶었는데, 제가 좀 글이 부족했나 봅니다.
"지금 뉴스공장의 편파성 문제를 따지고 할 게 아니라 뉴스공장이 아무리 독립적이라고 하더라도 국민의 세금을 쓰는 만큼 국민에게 가치를 주느냐를 우선 따져봐야 할 것입니다."
이 문제제기의 의의는 알 수 있습니다만, 어떤 기준으로 '가치가 없다'라고 판단하시는지 여러 번 읽어도 알 수가 없어서 여쭈어 봅니다. 그 '가치의 기준'이 내 성향, 내 마음, 내 가치관인지 아니면 가치를 판단할 수 있는 근거와 조사의 결과, 그리고 예시가 있으면 좋겠는데 찾을 수가 없어서요.
저는 '뉴스공장'과 'TBS'는 별개로 살펴 볼 필요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TBS의 경우 동시간 주파수 점유율이 2위입니다. (수도권 기준) 물론 '뉴스공장'이라는 견인 장치가 있어서도 그러하지만, 여전히 교통정보와 뉴스에 충실한 몇 안되는 주파수이기에 그렇다고 생각이 들지요.
뉴스공장 때문에 찬반이 일어나는 것 자체가 '정치적'입니다. 존치의 이유가 '뉴스공장'이라면 정치적인 것이고, 반대로 폐지의 이유가 단지 '뉴스공장' 때문이라면 이도 역시 정치적입니다.
공영방송익에 정치적 상황과 독립된 환경이었으면 한다는 생각에 동의합니다. 하지만 '정치적 편파성' 때문이라는 지적 또한 매우 '정치적'인 것이지요. '가치가 없다'의 기준이 필요한 지점입니다.
저는 개인적으로 '뉴스공장'의 진행이 치우침이 있다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그것을 빌미로 TBS라는 주파수 점유 우위의 방송국을 사실상 폐지하는 것도 매우 정치적인 결정이라 생각합니다. 다른 방법들이 충분히 있는데도 말이지요. 자칫 언론과 싸우는 정치세럭이라는 오해가 생기기 딱 좋은 빌미가.되겠지요.
"지금 뉴스공장의 편파성 문제를 따지고 할 게 아니라 뉴스공장이 아무리 독립적이라고 하더라도 국민의 세금을 쓰는 만큼 국민에게 가치를 주느냐를 우선 따져봐야 할 것입니다."
이 문제제기의 의의는 알 수 있습니다만, 어떤 기준으로 '가치가 없다'라고 판단하시는지 여러 번 읽어도 알 수가 없어서 여쭈어 봅니다. 그 '가치의 기준'이 내 성향, 내 마음, 내 가치관인지 아니면 가치를 판단할 수 있는 근거와 조사의 결과, 그리고 예시가 있으면 좋겠는데 찾을 수가 없어서요.
저는 '뉴스공장'과 'TBS'는 별개로 살펴 볼 필요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TBS의 경우 동시간 주파수 점유율이 2위입니다. (수도권 기준) 물론 '뉴스공장'이라는 견인 장치가 있어서도 그러하지만, 여전히 교통정보와 뉴스에 충실한 몇 안되는 주파수이기에 그렇다고 생각이 들지요.
뉴스공장 때문에 찬반이 일어나는 것 자체가 '정치적'입니다. 존치의 이유가 '뉴스공장'이라면 정치적인 것이고, 반대로 폐지의 이유가 단지 '뉴스공장' 때문이라면 이도 역시 정치적입니다.
공영방송익에 정치적 상황과 독립된 환경이었으면 한다는 생각에 동의합니다. 하지만 '정치적 편파성' 때문이라는 지적 또한 매우 '정치적'인 것이지요. '가치가 없다'의 기준이 필요한 지점입니다.
저는 개인적으로 '뉴스공장'의 진행이 치우침이 있다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그것을 빌미로 TBS라는 주파수 점유 우위의 방송국을 사실상 폐지하는 것도 매우 정치적인 결정이라 생각합니다. 다른 방법들이 충분히 있는데도 말이지요. 자칫 언론과 싸우는 정치세럭이라는 오해가 생기기 딱 좋은 빌미가.되겠지요.
미디어로서의 가치를 이야기합니다. 이미 공영방송이 과점한 라디오 뉴스정보시장에 TBS가 들어가서 KBS, MBC의 점유율을 빼앗아 오는 것이 어떤 의미가 있는 것일까요? 라디오로 듣는 교통정보는 이미 정보로서의 가치가 많이 떨어졌죠 물론 필요한 분들이 있으니 그 분들을 위해서 최소한으로 제공하는 것이 의미는 있을 지 모르겠지만 전반적으로는 저물어가는 시장이 아닐까요? 저는 뉴스공장을 비롯한 시사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것 자체가 가치가 없다는 이야기입니다. 물론 MBC, KBS가 못하니까 더 잘하는 공영방송이 필요하지 않느냐는 의견이 있을 수 있겠지만, 세금으로 운영되거나 국가가 소유한 공영방송이 잘 못한다고 해서 다시 세금을 투입해 새로운 공영방송을 만드는 것이 과연 해법일까요? 물론 이번 서울시정부의 결정이 김어준때문이라는 것은 알고 있지만, 한번 같이 고민해봐야할 부분은 그 김어준이 아니더라도 시영미디어 기업이 필요했느냐는 점이라는 것을 이야기해보고 싶었는데, 제가 좀 글이 부족했나 봅니다.
답변 잘 보았습니다. 결은 다르지만 국가, 지자체 의도의 방송국이 필요한가에 대한 고민이라면 이해가 가네요. 반면 기존에 있는 공적 미디어 채널에 '시사프로그램'이 필요한가에 대한 것이라면 저는 '필요하다'입니다.
미디어의 주체가 공영인지 민영인지를 떠나 미디어의 존재는 공공의 기여와 부담으로 가능하니까요. 바로, 광고, 구독, 시청 등의 행위는 공공의 기여에 해당한 것이지요. '공중파'라는 개념이 그러한 것이니까요. 구독료를 받는 신문이나, 잡지도 자신의 유불리에 따른 편성만 한다면 어렵지 않을까요.
서로의 입장에서 좋은 토론이 될 소재 같습니다.
나중에 제 의견을 정리해 볼테니 나중에 한반 들려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