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집을 바라보는 우리의 시선과 제도에 달려있다

서준수
서준수 · 꿈꾸는 현실주의자
2022/01/30

이제 부동산 뉴스를 보면 자괴감과 분노를 넘어서, 허탈함에 집 하나 때문에 인간의 삶이 근본적으로 무엇인지 되묻는 지경에 이르게 됐다. 대출로 집을 산 사람도, 대출은 꿈도 못꿔서 무주택자로 남아 있는 사람도, 아무 관심조차 없었던 사람도, 내 몸 하나 거할 공간을 가지고 심각하게 고민하게 되는 것은 이 시대적 환경이 낳은 특이한 현상이다. 오죽하면 영혼을 끌어모아 집을 산다는 말이 등장하게 됐을까.

한 사람, 혹은 가족 전체의 삶을 수십 년간 저당잡히게 하는 집의 문제는 개인의 능력 문제인걸까. 당연히 아니다. 대한민국에서 순수하게 월급만 착실히 모아서 대출 하나 끼지 않고 10년 안에 집을 살 수 있는 사람이 몇이나 있을까를 생각하면 단연코 정상이라 볼 수 없다.

영혼을 끌어모으지 않아도 되는 싱가포르의 주택 구매

자가 보유율이 90%에 육박하는 싱가포르가 참고할 만한 예시가 될 것이다.(이미 언론에 조명되었기 때문에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물론 싱가포르와 대한민국은 경우가 다르기 때문에 똑같이 적용할 수는 없지만, 적어도 정책을 만드는 과정에 있어서의 접근 방식, 즉 주택을 바라보는 시각의 차이에서부터 변화가 필요하다는 점을 강조하고 싶다. 그 차이는 다음과 같다.
Photo by Seth Merlo on Unsplash
첫째, 싱가포르의 토지는 대체로 국가의 소유이다. 국가가 토지 소유권을 가지고 99년 같은 임대형식으로 주택을 공급한다. 따라서 아파트 건설에 막대한 토지비를 개인에게 부담시킬 필요가 없기 때문에 민간주택보다 분양가가 45%정도 낮게 책정된다고 한다. 

둘째, 공공주택의 시세차익을 전면으로 차단한 것이다. 거주요건을 채운 거주자가 공공주택은 개인간 거래가 불가능하며, 한국의 LH에 해당하는 HDB(주택개발청)에만 판매할 수 있다.

셋째, 공공주택의 상속을 금지한 것이다. 당연한 이야기지만 싱가포르의 공공주택은 국가의 토지를 임대하여 거주권을 얻은 것이기 때문에 부의 되물림 형태로 상속이 불가능...
얼룩패스
지금 가입하고
얼룩소의 모든 글을 만나보세요.
이미 회원이신가요? 로그인
Ph. D. in International Relations
51
팔로워 192
팔로잉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