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일관계: 모방 시대의 논리, 극복 시대의 논리, 그리고 경쟁 시대의 논리
2024/06/05
한국과 일본과의 관계는 늘 복잡하다. 세계 식민지의 역사에서 가장 특이한 관계가 아마 한국과 일본의 역사 아닌가 싶다.
식민지는 늘 있었지만, 본국의 엘리트들이 식민지의 모든 자원을 자본화할 수 있는 대상으로 여긴다는 점, 그리고 이를 위해서 식민지 주민들에게 문화적 동질성을 요구한다는 점에서 근대 식민주의는 특이점을 지닌 역사다. 근대 식민주의는 근대 시대이기에 필요한 역사였으며, 근대 시대에만 가능한 역사였다. 그런데 그 특이점을 지닌 역사의 한 국면에서 가장 특수한 관계 중 하나는 한국과 일본의 관계였을 것이다. 한국과 일본은 근대 이전부터 서로 알던 사이였으며, 고대 사회에서는 오히려 한국이 일본에게 문물을 전해주는 입장에 있었다. 중세와 근세 시대에는 서로 경쟁하는 사이까지 갔으며, 임진년의 전쟁은 두 사회의 성질을 근본적으로 바꾸어내는 데 일조했다는 점에서 아주 깊은 연관성을 지닌 나라였다.
그랬던 두 나라의 관계가 바뀐 것은 해양을 통해 팽창하던 서구 제구주의 세력과 어떻게 조우하는지에 의하여 바뀌었다. 두 나라 모두 왕권이 보장받지 못하는 사회였다. 그랬던 조선에서 왕권을 강화하고 나선 흥선대원군은 서구를 배척함으로써 왕권이 보장받는다고 생각했다. 반면에, 일본에서 왕권을 강화하고 나선 메이지 유신 주도 세력들은 서구를 적극적으로 수용함으로써 왕권을 보장받을 수 있다고 생각했다. 이 차이가 영국과 러시아 사이에서...
식민지는 늘 있었지만, 본국의 엘리트들이 식민지의 모든 자원을 자본화할 수 있는 대상으로 여긴다는 점, 그리고 이를 위해서 식민지 주민들에게 문화적 동질성을 요구한다는 점에서 근대 식민주의는 특이점을 지닌 역사다. 근대 식민주의는 근대 시대이기에 필요한 역사였으며, 근대 시대에만 가능한 역사였다. 그런데 그 특이점을 지닌 역사의 한 국면에서 가장 특수한 관계 중 하나는 한국과 일본의 관계였을 것이다. 한국과 일본은 근대 이전부터 서로 알던 사이였으며, 고대 사회에서는 오히려 한국이 일본에게 문물을 전해주는 입장에 있었다. 중세와 근세 시대에는 서로 경쟁하는 사이까지 갔으며, 임진년의 전쟁은 두 사회의 성질을 근본적으로 바꾸어내는 데 일조했다는 점에서 아주 깊은 연관성을 지닌 나라였다.
그랬던 두 나라의 관계가 바뀐 것은 해양을 통해 팽창하던 서구 제구주의 세력과 어떻게 조우하는지에 의하여 바뀌었다. 두 나라 모두 왕권이 보장받지 못하는 사회였다. 그랬던 조선에서 왕권을 강화하고 나선 흥선대원군은 서구를 배척함으로써 왕권이 보장받는다고 생각했다. 반면에, 일본에서 왕권을 강화하고 나선 메이지 유신 주도 세력들은 서구를 적극적으로 수용함으로써 왕권을 보장받을 수 있다고 생각했다. 이 차이가 영국과 러시아 사이에서...
감사합니다..저는 강하지 않지만 엄마라 강한것같아오..
@JACK alooker 좋은 말씀 감사합니다!
제가 생각했던 경쟁은 아주 상호대립적인 경쟁은 아니었습니다. 친밀한 친구들끼리도 성적을 두고 서로를 의식하듯이 경쟁을 한다는 의미였습니다. 그러나 말씀하신대로 동시대의 범국가적 상호협조와 인식개선이 필요합니다.
그러나 그를 위해서는 근대국민국가체제가 혁파되어야 할 것 같습니다. 그렇지 않고서는 경쟁을 염두에 두고 모든 것을 자원화, 자본화하려는 사람들의 생각이 변하지 않을 것 같습니다. 그러나 말씀하신대로 경쟁시대의 논리도 특수논리이며, 근대국민국가 체제 안에서만 의미를 가진다고 생각합니다. 그러나 근대국민국가 체제가 극복되지 않았는데, 무조건적인 공시대의 상호협조만을 생각한다면 naive한 생각일 수 있다는 건 현실을 무시해서는 안 된다는 저에게는 중요한 생각인 것 같습니다.
경쟁시대 논리는 폐기되어야할 논리일 겁니다. 공존공생의 시대에는 기후 변화를 대비하고 미래세대를 위해 현재 세대가 해야할 경쟁은 오로지 온전한 지구 환경을 물려주는 일에 적극 동시대의 범국가적 상호 협조와 인식개선과 실천에 중점을 두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저는 강하지 않지만 엄마라 강한것같아오..
경쟁시대 논리는 폐기되어야할 논리일 겁니다. 공존공생의 시대에는 기후 변화를 대비하고 미래세대를 위해 현재 세대가 해야할 경쟁은 오로지 온전한 지구 환경을 물려주는 일에 적극 동시대의 범국가적 상호 협조와 인식개선과 실천에 중점을 두면 좋겠습니다.
@JACK alooker 좋은 말씀 감사합니다!
제가 생각했던 경쟁은 아주 상호대립적인 경쟁은 아니었습니다. 친밀한 친구들끼리도 성적을 두고 서로를 의식하듯이 경쟁을 한다는 의미였습니다. 그러나 말씀하신대로 동시대의 범국가적 상호협조와 인식개선이 필요합니다.
그러나 그를 위해서는 근대국민국가체제가 혁파되어야 할 것 같습니다. 그렇지 않고서는 경쟁을 염두에 두고 모든 것을 자원화, 자본화하려는 사람들의 생각이 변하지 않을 것 같습니다. 그러나 말씀하신대로 경쟁시대의 논리도 특수논리이며, 근대국민국가 체제 안에서만 의미를 가진다고 생각합니다. 그러나 근대국민국가 체제가 극복되지 않았는데, 무조건적인 공시대의 상호협조만을 생각한다면 naive한 생각일 수 있다는 건 현실을 무시해서는 안 된다는 저에게는 중요한 생각인 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