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짜 과학 이야기 1 넌 대문자T

박재용
박재용 인증된 계정 · 전업 작가입니다.
2024/02/04
‘쟤는 대문자T‘라는 공감보다는 논리를 앞세우는 이에게 하는 말이 유행입니다. ’MBTI’이야기죠. SNS의 프로필에 자신의 MBTI를 써놓는 경우도 꽤 되고, 어떤 사람에 대해 이야기할 때 그 사람의 MRTI를 곁들이는 것이 자연스러운 요즘입니다. MBTI는 사람의 성격을 16가지로 나누죠. 일단 논리적(T)이냐 감정적(F)이냐로 나누고, 내향적(I)이냐 외향적(E)이냐로, 판단적(J)이냐 인식적(P)이냐로, 또 감각적(S)이냐 직관적(N)이냐로 나눕니다. 그래서 이 네가지 쌍 중 하나씩을 가지면 나의 성격 유형이 나오죠. 
   
그런데 왜 명칭이 MBTI일까요? MBTI는 마이어스-브릭스 유형지표(Myers-Briggs Type Indicator)의 약자입니다. 미국의 작가인 캐서린 쿡 브릭스와 그의 딸 이자벨 브릭스 마이어스가 1944년에 개발한 성격 유형 검사라서 두 사람의 이름을 딴 것이죠. 일단 이들이 심리학자나 관련 학위를 받지 않았다는 점은 조금 접어두죠. 꼭 학위를 받지 않더라도 독학으로 열심히 공부해서 전문가가 될 수도 있으니까요. 브릭스와 마이어가 MBTI에 꽤 공을 들였고 나름대로 긴 시간 연구를 한 건 사실입니다. 
   
wikipedia
이들의 MBTI는 칼 융Carl Gustav Jung의 분석심리학에 기초를 두고 있습니다. 마이어스가 스스로 사람들의 성격에 대해 연구를 하면서 나름 성격 유형을 만들던 초기에 칼 융의 ‘심리학적 타입Psychological Types’이란 책을 접하면서 이를 받아들인 거죠. 실제로 칼 융의 분석심리학에 따르면 인간은 크게 외향적 유형과 내향적 유형으로 나뉘는데 각 유형은 다시 사고형, 감정형, 감각형, 직관형으로 나눕니다. 그래서 총 8가지 유형이 있죠. 뭔가 MBTI와 비슷하죠? 
   
사실 심리학의 역사에서 지그문트 프로이트와 칼 융은 대단히 중요한 존재이긴 합니다. 이들에 의해 심리학이 나름의 학문적 토대를 만들었죠. 또 이 둘의 여러 개념은 심리학을 넘...
박재용
박재용 님이 만드는
차별화된 콘텐츠, 지금 바로 만나보세요.
이미 회원이신가요? 로그인
과학과 사회가 만나는 곳, 과학과 인간이 만나는 곳에 대한 글을 주로 썼습니다. 지금은 과학과 함께 사회문제에 대한 통계를 바탕으로 한 글을 자주 쓰고 있습니다. 출간된 책으로는 '불평등한 선진국', '지속가능한 세상을 위한 통계 이야기', '1.5도 생존을 위한 멈춤', '웰컴 투 사이언스 월드', '과학 VS 과학' 등 20여 종이 있습니다.
93
팔로워 662
팔로잉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