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11/24
이 글을 읽으시기 전에 원글을 아직 안 읽으셨다면 한 번 원글에서 인용한 기사를 읽어보고 잠깐 어떤 생각이 드셨는지 정리를 해 보셨으면 합니다.
그럼 이제 저의 생각한 내용을 말씀드리겠습니다.
먼저 원글에도 인용했던 기사의 일부를 다시 인용해 보겠습니다.
그럼 이제 저의 생각한 내용을 말씀드리겠습니다.
먼저 원글에도 인용했던 기사의 일부를 다시 인용해 보겠습니다.
정부는 ‘2050 탄소 중립 시나리오’를 완성하는 데 필요한 태양광 발전량을 총 623.5테라와트시(TWh)로 잡고 있다. 설비 용량으로는 464GW가 필요하다. 통상 태양광 1GW를 생산하는 데 필요한 면적은 13.2㎢, 이를 정부 목표량으로 계산하면 6124㎢다. 국내 전체 농지(1만5650㎢)의 39% 규모, 국토 면적(10만413㎢)의 6.1%를 태양광으로 온통 뒤덮겠다는 것이다.
이 같은 비현실적인 발상이 나오게 된 것은 정부의 ‘원전 없는 탄소 중립’ 기조 때문이다. 탈원전 정책의 부작용은 산과 숲을 파괴하는 것부터 시작됐다. 국민의힘 윤영석 의원이 산림청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2017~2020년 태양광 발전시설 목적의 산지 전용으로 인해 훼손된 산림 면적은 총 5131헥타르(㏊), 벌채된 입목은 총 259만8000여 그루다. 태양광발전 시설로 대체된 산림 면적이 여의도 면적의 17.6배 수준이다.
이 내용이 설득력 있게 여겨지셨나요?
464GW라고 하는 설비용량 필요 수치도 맞고 1GW 당 13.2제곱키로미터의 면적이 필요하다는 것이 맞다면, 정부목표치를 달성하기 위해서 전 국토면적의 6.1%를 태양광으로 덮어야 하게 됩니다.
이를 근거로 조선일보 기자는 태양광 발전 확대에 관한 정부 계획을 비현실적인 발상으로 단정합니다.
할 말을 하는 일등신문답게 정확한 팩트와 엄밀한 논리에 기반한 객관적인 비판일까요?
트릭은 간단합니다. 아마 논리 퀴즈라고 여기고 잠시 생각해 보시면 답을 찾으실 수 있을 것입니다.
기자의 계산은 어디가 잘못되었을까요? 생각이 나셨나요?
조선일보 기자와 그가 인용한 전문가들은 기사가 쓰여진 2021년 당시의 태양광 발전 효율이 2050년까지 변하지 않는다는 가정...
궁금하고 의미있다고 생각하는 주제에 대해 배우고자 노력하고, 깨달아지는 것이 있으면 공유하고 공감을 구하는 평범한 사람입니다.
몬스님, 요즘 얼룩소에 대한 기대가 높아지고 있어요. 오피니언 리더들이 얼룩소에서 주장을 펼치면 그에 대한 다양한 의견들이 이어지면서 말씀하신 것처럼 논리가 축적되어 가는 구조가 될 수도 있겠지요.
댓글 감사합니다. ^^
몬스님의 퀴즈(?)도 기대해보겠습니다.
낮에 올리신 글을 읽고 태양광 말고 다른 발전..? 이런 생각을 하고 있었는데, 효율은 생각치 못했군요! 확실히 재생에너지 관련 기술이 빠르게 발전하고 있으니, 그 기울기를 종합한 계획이 이뤄질 필요가 있을 것 같습니다. 발전된 태양광 기술이 문제 없이 기존 태양광 기술을 대체할 수 있도록 토지나 전력망들을 유연하게 설계할 필요가 있을 것 같아요.
또 말씀하신 것처럼, 정답을 정해놓고 찾아가는 이야기는 선전에 불과한 것 같습니다. 이런 내용일 수록 '반론' 가능성을 두고 이야기가 진척이 되어야 하는데, 자극적이고 일발적인 '평'만 가득하니 논리구조가 축적되는 것이 아니라 산개된다는 느낌을 받아요. 얼룩소처럼 이어쓰기로 반박을 할 수 있는 구조가 대안이 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이렇게 미리 소재를 던져주시고 나중에 글 올려주시는 거 너무 재미있네요ㅎㅎ)
낮에 올리신 글을 읽고 태양광 말고 다른 발전..? 이런 생각을 하고 있었는데, 효율은 생각치 못했군요! 확실히 재생에너지 관련 기술이 빠르게 발전하고 있으니, 그 기울기를 종합한 계획이 이뤄질 필요가 있을 것 같습니다. 발전된 태양광 기술이 문제 없이 기존 태양광 기술을 대체할 수 있도록 토지나 전력망들을 유연하게 설계할 필요가 있을 것 같아요.
또 말씀하신 것처럼, 정답을 정해놓고 찾아가는 이야기는 선전에 불과한 것 같습니다. 이런 내용일 수록 '반론' 가능성을 두고 이야기가 진척이 되어야 하는데, 자극적이고 일발적인 '평'만 가득하니 논리구조가 축적되는 것이 아니라 산개된다는 느낌을 받아요. 얼룩소처럼 이어쓰기로 반박을 할 수 있는 구조가 대안이 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이렇게 미리 소재를 던져주시고 나중에 글 올려주시는 거 너무 재미있네요ㅎ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