쥐를 잡자! 쥐를 잡자! 찍.찍.찍. - 김소진의 「쥐잡기」
2023/11/03
쥐를 잡자! 쥐를 잡자! 찍.찍.찍. - 김소진의 「쥐잡기」
전반적인 차원에서 ‘아버지’와 ‘아들(민홍)’ 간의 이데올로기적 사유 체계 대한 감각은 김윤식을 비롯한 선배 비평가들의 논점에 동의한다. 비극적인 아버지의 운명과 자신의 삶의 모습을 ‘쥐잡기’라는 상징으로 표현한 「쥐잡기」는 ‘민홍’의 가족사를 다룬 작가의 내면 기록이지만 바로 ‘쥐잡기’로 상징되는 80년대 20대를 보냈던 청년 지식인의 90년대적 현실에 대한 맞서기가 시작된다는 점에서 단순한 가족 일상사의 기록을 넘어서고 있다고 말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쥐잡기」를 통해 읽어내야 할 것은 한국 전쟁과 분단의 비극을 거친 ‘아버지’의 현실을 ‘아들’의 90년대 상황에 어떻게 적용해 나가야 하는 점이다.
‘민홍’에게 아버지는 극복해야 할 대상이자 연민의 대상이기도 하다. 사라져버린 아버지를 찾는 일은 아버지의 역사와 만나는 일이며 아버지에 대한 애증이 교차하는 것은 끊임없는 역사의 반성과 성찰이 교차하는 지점인 셈이다. 아버지의 무기력한 삶은 어머니인 ‘철원네’를 비롯한 모든 사람들의 조롱거리가 되기도 하지만 그 초라한 삶의 이면에는 거대한 이념과 야만의 시대가 버티고 서 있다는 것을 어렵지 않게 읽어낼 수 있다. 한국전쟁이라는 이념의 횡포는 아버지의 삶을 총체적으로 규정해 놓은 추악한 괴물의 모습이었다.
“아버지는 전쟁포로로 나온 사람이었다. 아버지는 전쟁포로라는 말 대신 피 떠블유라는 말을 즐겨 사용했는데 말끝마다 우리가 뭐 앞에 총이 뭔지나 알았겠니 하며 계면쩍은 미소를 짓곤 했다. 두 손을 바짝 쳐든 덕에 죽지 않고 포로가 되었다.”
“사람 목숨이 파리 목숨과 진배없던 시절이라 살아남기 위해선 침묵으로 일관해야 했다. 수용소 안에서 좌우충돌로 양쪽에서 무수한 사람들이 쥐도 새도 모르게 사라지는 걸 목격한 아버지로서는 당연한 처신으로만 여겨졌다. 사...
김소진 좋아하는 작가인데, 여기서 이렇게 만나니 더 반갑네요. 흥미롭게 읽었습니다.
@무마 그런 점들을 캐치하셨다니 김소진 문학을 깊이 이해하고 계시는 듯 합니다. 저도 함께 읽어나가겠습니다.
@최서우 조금 뚱뚱한 쥐 말씀하시는 모양이군요. 서울에 있다는 환자(?) 말씀하시는 것으로 알아듣겠습니다.
@온앤온 한국전쟁을 경험한 부모님 세대와 민주화 세대의 가족 살이. 서민 살이. 이런 모습이 김소진 소설의 주요한 설정이죠. 감사합니다.
@파동 저도 두 작가를 동시에 읽으며 그 시절을 보냈습니다. 말씀 감사합니다.
@악담 네. 단명한게 너무 아쉽죠. 말씀하신 <열린사회와 그 적들>에 실려 있습니다. 김소진 전집 나왔을 때 사들고 좋아하던 기억이 아직도 생생합니다.
글 잘 읽었습니다. 내용과 별개로 지금 거대한 쥐를 잡아야할떄가 된것같습니다!
떠나보내야 하는 것들을 잃어버리는 것은 상실이 아니라 정리라고 하더군요. 90년대에 김소진에게 지난 시간은 바로 그런 개념이 아니었을까 싶습니다.
불안한 사회에 오염된 것들을 정화하려는 의지를 쥐잡기로 표현한 것 아닐까요. 쥐에 빈대에 요즘에도 난리죠. 잘 봤습니다.
기형도와 함께 1990년대를 상징하는 작가였는데, 여기서 이렇게 보니 새삼스럽네요. 잘 읽었습니다.
글 잘 읽었습니다. 내용과 별개로 지금 거대한 쥐를 잡아야할떄가 된것같습니다!
김소진 작가 꽤 젊은 나이에 단명하지 않았나요. 김소진의 단명은 한국 문학의 거대한 비극이란 생각이 듭니다. 정말 뛰어난 문학적 성취였는데 말이죠. 두고두고 아쉬운 대목입니다. 한국어의 토속성을 가장 잘 구사한 작가가 아닐까 싶습니다. 이문구와 함께 말이죠. 정말 그의 요절은 아쉽습니다. 이 작품 열린 사회와 그 적들에 수록된 작품이죠 ?
@최서우 조금 뚱뚱한 쥐 말씀하시는 모양이군요. 서울에 있다는 환자(?) 말씀하시는 것으로 알아듣겠습니다.
떠나보내야 하는 것들을 잃어버리는 것은 상실이 아니라 정리라고 하더군요. 90년대에 김소진에게 지난 시간은 바로 그런 개념이 아니었을까 싶습니다.
불안한 사회에 오염된 것들을 정화하려는 의지를 쥐잡기로 표현한 것 아닐까요. 쥐에 빈대에 요즘에도 난리죠. 잘 봤습니다.
기형도와 함께 1990년대를 상징하는 작가였는데, 여기서 이렇게 보니 새삼스럽네요. 잘 읽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