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연 한국은 김대중-오부치 선언을 계승하는 걸까?

하헌기
2023/03/17
한일 오므라이스 회동이 끝났다. 오므라이스 먹은 거 말고 뭘 건져온 건지는 알 수 없다. 국민의힘 인사들도 뻘쭘한 모양이다. 최선을 다해 물타기를 시전하는 중인 걸 보면. 오늘 아침 라디오에 나온 국민의힘 의원의 발언을 들어보자.

우리가 과거를 잊어서도 안 되겠습니다만 과거에 얽매여서도 안 됩니다. 물론 이번 정상회담에서 왜 반성과 사죄라는 직접적인 단어가 일본 기시다 총리 입에서 안 나오느냐 이런 비판들을 많이 하시는데 아니, 특정을 했어요. 98년 10월에 있었던 한일 공동선언, 이게 김대중, 오부치 선언이잖아요. 그 김대중, 오부치 선언에는 통렬한 반성과 사죄라는 단어가 들어가 있죠. (국민의힘 김용남 의원)

그렇지 않다. 기시다 총리의 발언은 이것이다.

일본 정부는 1918. 10 한일 공동선언을 포함해 역사인식과 관련해 역대 내각의 입장을 전체적으로 계승하고 있다.

말꼬리 잡자는 게 아니다. '통렬한 반성과 사죄'로 해석이 되려면, 김용남 의원 말대로 '김대중·오부치 선언'만 특정해서 계승한다고 표현했어야 한다. 그러나 기시다 총리는 김대중·오부치 선언을 '포함해' 역대 내각을 '전체적으로' 계승한다고 했다. 엄밀히 말해 김대중·오부치 선언을 특정해서 계승한다고 발표한 것이라 말할 수 없다. 말이 나온 김에 역대 일본 내각을 '전체적으로' 계승한다고 했으니 간략하게나마 그 '전체'를 훑어보자.

우선 1993년 | 고노 담화. 일본 정부 차원에서 처음으로 '일본군 위안부' 강제동원 문제를 인정하고 사죄했다. 다만 배상에 대한 언급은 딱히 없었다. 여기서 또 그 문제의 1965년 한일기본조약이 등장한다. 이른바 '대한민국과 일본 사이에 재산 및 청구권에 관한 문제 해결과 경제협력에 관한 협정'인데, 일본은 줄곧 이를 통해 한일 과거사 문제가 해결되었다고 주장하고 있다. 

지금 외교 현안인 '일제강점기 강제징용' 문제에 대한 쟁점도 그것이다. 우리 대법원은 1965년 한일기본조약에 따라 한일 국가 간 청구권은 소멸했으나 '피해자 개인의 청구권은 유효하다'고 판...
하헌기
하헌기 님이 만드는
차별화된 콘텐츠, 지금 바로 만나보세요.
이미 회원이신가요? 로그인
하헌기
하헌기 인증된 계정
낭인
미디어 환경의 경제정의를 바로 잡아야
20
팔로워 259
팔로잉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