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도특설대가 독립운동? - 우리가 당황한 한국사

이문영
이문영 인증된 계정 · 초록불의 잡학다식
2023/09/05
간도특설대에 대한 연구는 의외로 많지 않은 것 같다. 논문을 찾아봐도 몇 편 나오질 않는다.

간도특설대라고 하면 대체로 그 유명한 백선엽을 떠올릴 텐데, 76년부터 유사역사학의 기관지 노릇을 한 월간 <자유>의 발행인 박창암도 간도특설대 출신이다.
간도특설대 출신들은 이렇게 자랑스럽게 모임 사진도 찍는 사이였다 (창암-만주 박창암 장군 논설집에서)
그는 만주를 회복해야 할 고토로 생각하고 호도 만주라고 지었다. 1985년 김태영이 쓴 소설 <다물>의 주인공은 최만주인데, 박창암을 모델로 해서 쓴 것이다.

이 책에 박창암의 어린 시절 이야기가 나오는데 처음 책이 나왔을 때 왜곡된 부분이 있다 하여 박창암이 항의했고 그에 따라 수정하기까지 했다. 여기에 박창암이 간도특설대에 들어간 이유가 나온다.

이청천 장군은 일본군을 떠나서 직접 왜적과 무장투쟁을 벌였기 때문에 크게 부각되었지만 홍사익 장군은 끝까지 일군 안에 남아서 미래의 항일 독립군을 양성하려고 했기 때문에 표면에서 감추어진 것이죠. 바로 그분이 심사원려 끝에 관동군 고위층을 움직여 만들어 낸 것이 만주군 내의 한인 특수 부대였는데 만주 선생은 바로 이 부대에 입대하여 분대장으로 계셨답니다. 

그후 해방되기 2년 전 12월에는 홍사익 장군이 일찍부터 큰 뜻을 품고 길러낸 박대붕 대위(만주 구제군관학교 7기생)가 이끄는 <건국동맹 군사부>라는 지하조직 요원으로 선임되었죠. 바로 이들을 근간으로 한 신병 교육대가 창설되어 앞으로 비상 시에 사병은 하사관으로 하사관은 장교로 편성될 수 있도록 간부화 교육이 진행되었죠. (86쪽)

그런데 제1중대 김백일 대위의 반란 사건이 일어나 한인 특수부대가 해체나 다름없게 되었고 4개월 뒤에 8.15를 맞이했다고 이 소설에는 나온다. 과연 그럴까?

소설에 나오는 박대붕은 박승환(1918~1948?)을 가리킨다. 박승환은 여운형의 지시로 만주군에 투신했다고 하는데, 어느 정도까지 믿을 수 있는 이야기...
이문영
이문영 님이 만드는
차별화된 콘텐츠, 지금 바로 만나보세요.
이미 회원이신가요? 로그인
하이텔·이글루스에서 사이비•유사역사학들의 주장이 왜 잘못인지 설명해온 초록불입니다. 역사학 관련 글을 모아서 <유사역사학 비판>, <우리가 오해한 한국사>와 같은 책을 낸 바 있습니다. 현재 우리나라 역사를 시민에게 쉽게 전달할 수 있는 책들을 쓰고 있습니다.
160
팔로워 847
팔로잉 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