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5/14
유창선 선생님이 제기하신 논점은 타당합니다. ‘페미사이드’의 시각에서 이 사건을 봐야 합니다. 그런데 이 사건에서 가해자의 서사도 면밀히 살펴봐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왜냐하면 이 사건의 가해자 서사를 면밀히 살피면 우리나라의 일부 엘리트들 기저에 깔려있는 권력 중독의 측면을 보게되는 것 같아서입니다.
흔히들 한국 교육을 비판할 때 학벌주의에 대한 비판, 그리고 과도한 경쟁에 대한 비판을 하곤 합니다. 그 비판 모두 타당한 요소가 있지만, 저는 한국 교육 문제를 문화적 관점에서도 살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한국에서 지나치게 공부 잘하는 학생을 칭찬하고 편의를 봐주려 하는 문화가 있다는 것입니다. 결국 그것은 하나의 권력이 되고, 그속에서 자란 엘리트들이 권력을 탐하게 되는 경향성을 만들어내는 것 같다는 인상을 남기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그것은 이 사건에서는 공부 잘해서 얻은 권력을 잃어버렸을 때 권력에 중독되었던 학생이 사람을 괴롭히고 죽이는 일까지도 만들어내지 않았나 하고 생각하게 됩니다.
흔히들 한국 교육을 비판할 때 학벌주의에 대한 비판, 그리고 과도한 경쟁에 대한 비판을 하곤 합니다. 그 비판 모두 타당한 요소가 있지만, 저는 한국 교육 문제를 문화적 관점에서도 살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한국에서 지나치게 공부 잘하는 학생을 칭찬하고 편의를 봐주려 하는 문화가 있다는 것입니다. 결국 그것은 하나의 권력이 되고, 그속에서 자란 엘리트들이 권력을 탐하게 되는 경향성을 만들어내는 것 같다는 인상을 남기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그것은 이 사건에서는 공부 잘해서 얻은 권력을 잃어버렸을 때 권력에 중독되었던 학생이 사람을 괴롭히고 죽이는 일까지도 만들어내지 않았나 하고 생각하게 됩니다.
가해자는 공부를 잘했을 때 사람들에게 칭찬 받았을 것입니다. 가정에서도 그의 말을 잘 들어주었을 것입니다. 그리고 수능 만점을 받은 후에는 미디어까지 나왔죠. 그는 “많은 사람들의 생명을 살리는 좋은...
@최성욱 아... 제가 사건 발생의 복합적 배경 중 하나를 단정적으로 서술한 측면이 있습니다 ㅠㅠ 사실 단정적으로 말할 수 있는 원인이 페미사이드이고, 유창선 선생님이 이를 지적하신 글에 덧붙여 쓰는 글을 쓰다보니 단정적 서술이 된 측면이 있는 것 같습니다 ㅎㅎㅎㅎ
제가 요새 글쓰기를 새로 배운다는 심정으로 글을 써보고 있는데, 항상 글을 읽은 후에 댓글을 남겨주시니 감사할 따름입니다 ㅎㅎㅎ 덕분에 어떻게 사람들에게 읽힐 줄 알게되는 것 같습니다 ㅎㅎㅎ
일리 있는 말씀이군요. 딱 잘라서 원인이 이거다 라고 말하기는 어려운 문제이기는 합니다.
원인이 뭐든 좀 둥그런 방향으로 흘러가면 좋겠습니다.
저도 글을 쓰다가 사족으로 붙인 것 같아 지운 내용입니다. 경쟁이 강하다는 것으로 이 문제가 생긴 것은 아닌 것 같습니다. 우리나라 전체가 지적 능력에 대해 과도하게 천착하고, 그것이 뛰어난 사람들에게 과한 관심과 편의를 봐주는 것이 있다는 것이 이 글의 주요 비판이고요, 그러다 보니 과도한 권력욕과 그것에 대한 집착이 우수한 성적을 거두었던 한 학생에게 생긴 것이 아니냐는 것이 이글의 골자였습니다.
이전의 한국 교육에 대한 비판들과 잘 구분이 안 되는 점을 독자에게 잘 설명해주지 않은 점은 제가 글을 불친절하게 쓴 것 같네요 ㅎㅎㅎ 그 점 짚어낼만한 코멘트를 남겨주셔서 감사합니다 ㅎㅎㅎ
수정 좀 더 해보려고요 ㅎㅎㅎ
김누리 교수 유투브 영상 보니까 경쟁을 과도하게 권장하는 교육 시스템이 민주적인 사람이 아닌 자본주의 순기능만 바라보고 추구하는 종류의 엘리트를 낳고 그 결과 이런 공감 능력 없는 엘리트들이 득세한다. 뭐 그런 말씀을 하시던데....그 양반의 해결책은 일단 교육 시스템을 손보는 독일의 교육 혁명을 모델로 삼더군요.
교육을 바꾸면 뭐가 되려나?
너무 우회하는 것 같기도 하고 맞는 말 같기도 하고....저는 일리가 있다고 생각해요.
확실히 이웃을 사랑하라 보다는 사람을 경계하는 교육이었으니까요.
저도 글을 쓰다가 사족으로 붙인 것 같아 지운 내용입니다. 경쟁이 강하다는 것으로 이 문제가 생긴 것은 아닌 것 같습니다. 우리나라 전체가 지적 능력에 대해 과도하게 천착하고, 그것이 뛰어난 사람들에게 과한 관심과 편의를 봐주는 것이 있다는 것이 이 글의 주요 비판이고요, 그러다 보니 과도한 권력욕과 그것에 대한 집착이 우수한 성적을 거두었던 한 학생에게 생긴 것이 아니냐는 것이 이글의 골자였습니다.
이전의 한국 교육에 대한 비판들과 잘 구분이 안 되는 점을 독자에게 잘 설명해주지 않은 점은 제가 글을 불친절하게 쓴 것 같네요 ㅎㅎㅎ 그 점 짚어낼만한 코멘트를 남겨주셔서 감사합니다 ㅎㅎㅎ
수정 좀 더 해보려고요 ㅎㅎㅎ
@최성욱 아... 제가 사건 발생의 복합적 배경 중 하나를 단정적으로 서술한 측면이 있습니다 ㅠㅠ 사실 단정적으로 말할 수 있는 원인이 페미사이드이고, 유창선 선생님이 이를 지적하신 글에 덧붙여 쓰는 글을 쓰다보니 단정적 서술이 된 측면이 있는 것 같습니다 ㅎㅎㅎㅎ
제가 요새 글쓰기를 새로 배운다는 심정으로 글을 써보고 있는데, 항상 글을 읽은 후에 댓글을 남겨주시니 감사할 따름입니다 ㅎㅎㅎ 덕분에 어떻게 사람들에게 읽힐 줄 알게되는 것 같습니다 ㅎㅎㅎ
일리 있는 말씀이군요. 딱 잘라서 원인이 이거다 라고 말하기는 어려운 문제이기는 합니다.
원인이 뭐든 좀 둥그런 방향으로 흘러가면 좋겠습니다.
김누리 교수 유투브 영상 보니까 경쟁을 과도하게 권장하는 교육 시스템이 민주적인 사람이 아닌 자본주의 순기능만 바라보고 추구하는 종류의 엘리트를 낳고 그 결과 이런 공감 능력 없는 엘리트들이 득세한다. 뭐 그런 말씀을 하시던데....그 양반의 해결책은 일단 교육 시스템을 손보는 독일의 교육 혁명을 모델로 삼더군요.
교육을 바꾸면 뭐가 되려나?
너무 우회하는 것 같기도 하고 맞는 말 같기도 하고....저는 일리가 있다고 생각해요.
확실히 이웃을 사랑하라 보다는 사람을 경계하는 교육이었으니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