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쟁에 미친 것 같은 인간들 - 한강 작가 노벨상 수상 이후 미디어들의 보도 행태를 보고
2024/10/12
한국의 공영방송이 둘 다 진영으로 나뉘었다. KBS는 현 정부 친화적, MBC는 전정부 친화적.
둘 다 한강 작가의 노벨상 수상 이후 보도가 이상했다.
한강 소설가는 노벨상 수상 작가 중에서 상당히 젊은 축에 속한다. 원래 원로쯤 되어야 받는 상을 50대에 받았으니 정말 대단한 성취임에 분명하다.
원로에게 주는 상인만큼 한림원에서 수상자에 대한 코멘트를 할 때 어떤 작품에 의해서 수상이 이루어졌는지 특정하도록 코멘트를 주기보다는, 그 사람의 작품을 통틀어서 부합할 수 있도록 말해주는 게 관례였던 것 같다.
그러나 50대의 작가, 아직은 작품 세계가 변화하고 있는 비교적 젊은 작가에게 주는 일만큼이나 특별하게도, 어떤 작품들로 인해서 수상이 이루어졌는지를 유추할 수 있게끔 선정 이유를 코멘트했다. "역사적 트라우마에 맞서며 인간 삶의 연약함을 드러내는 강력한 시적 산문"이라고 선정 이유를 발표함으로써 이번 노벨상 수상이 분명히 '소년이 온다'와 '작별하지 않는다'에 의한 것임을 분명히 밝히고 있다. 왜냐하면 이 두 작품 이외에 특별히 역사적 트라우마와 관련된 일이 없기 때문이다.
KBS는 이 선정 이유를 보고도 사사건건 프로그램을 한강의 노벨상 수상에 대한 특집으로 마련하면서 프로그램의 대부분을 채식주의자를 소개하는 데 할애했다. 이 작자들은 도대체 노벨상 위원회에서 특별하...
@최성욱 넵! 광장민주주의에는 분명히 허점이 있습니다. 광장에 올 수 있는 여유가 있는 사람들은 비교적 먹고 살만한 사람들이고, 그렇지 않은 사람들의 고민이 소외된다는 허점이 분명히 있는 것 같습니다. 말씀하신 4050들의 고충 또한 그러한 면이 있는 것 같습니다. 먹고 살만하지 않은 사람들은 고민이 있더라도 정치 이야기를 할 때에 그 이야기를 곁들여 할 수조차 없는 형국이 되고 있습니다.
이제는 그 허점을 아는 사람들은 정치 이야기를 하기 싫어하고, 널리고 널린 '깨시민 호소인'들이 선민 의식을 갖고 정쟁에 힘을 싣고 있는 것은 아닌가 싶습니다.
시민을 배신하지 않는 것은 시민 뿐입니다. 정당은 정치인의 편이 아닐까 싶습니다. 정당인이 아니라, 사인들이 고민과 사회적 대책을 논의할 수 있는 공론의 장이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이유는 그때문입니다. 이러한 자리에서는 소위 엘리트에 속하는 이들이 '말하기보다 듣기가 중요'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그러나 우리나라 엘리트들은 듣기보다 말하기를 중요하게 생각하죠. 일론 머스크도 그렇고, 에휴.... 뭣들 하는 건지... 지들이 잘 났으면 얼마나 잘난 인간이라고 말입니까, 모든 걸 다 자기 머릿속에서 해법을 찾을 수 있다고 생각하는지...
정치계는 젊은이들은 물론이고 4050들의 고충 그러한 여러 민심이 전달이 잘 안 되는 것 같아 보기 좋지 않습니다
저는 그럴 때는 과거 군사정권 일제시대 북보다는 뭐 이렇게 위로하고 분을 삭혀버리지만
서형우님 글을 보니 저는 혹시 기대 심리나 희망이나 개선의 의지도 내려논것 아닌가? 하는 생각도 듭니다
어느 당에서 나오건 민주시민을 배신할리가 없다는 굳건한 믿음이 주류가 되는 세상이 오면 좋겠습니다
@최성욱 호호호호! 최론 머스크님이 되어보시는 건 어떨지요? ㅎㅎㅎ
과거를 바라보는 것은 필요한데, 과거를 정쟁을 위해 활용하는 짓은 그만했으면 좋겠습니다. 2010년대에 비해 사람들이 지금 삶이 더욱 팍팍한데, 먹고 살만한 사람들끼리 모여서 옛날의 일을 꺼내며 누가 덜 못났네 하며 싸우는 것 같아 절망스럽기도 합니다...
분명히 지금 정권이 박근혜 정부보다 비상식적이라는 데에 많은 2030들이 동의할 것 같지만 그들이 더 이상 촛불에 동참한다거나, 대통령 퇴진에 동의하지 않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5년만에 막 내린 촛불민주주의가 너무 허망했고, 실제로 더욱 나은 세상을 만들었다고 느껴지지 않기 때문이 아닐까 싶습니다.
그 전에 어떤 나라를 우리가 원하는지 공론을 모을 여유도 없었고요... 저는 명사가 아니라 공론장이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ㅎㅎㅎㅎ.
Kbs 수신료 자동결제 꼼수라는 기사가 생각나네요
방송들이 참 거시기 합니다
문득 미래를 바라보는 관점은 알겠는데
과거를 적당히 바라본다는 기준은 어떻게 정해야 할지 어디까지 어느정도 바라봐야 하는지 기준이 사람들마다 다르겠구나 싶다는 생각이 드네요
뭐 젊은 정치인 수가 너무 적으니 과거에 더 집중하는 것은 당연하다고 말해봐야 소용 없다라는 생각을 하고 있었음을 깨달았습니다
우리도 일론 머스크 같은 타입의 명사가 나오면 달라지려나
@최성욱 넵! 광장민주주의에는 분명히 허점이 있습니다. 광장에 올 수 있는 여유가 있는 사람들은 비교적 먹고 살만한 사람들이고, 그렇지 않은 사람들의 고민이 소외된다는 허점이 분명히 있는 것 같습니다. 말씀하신 4050들의 고충 또한 그러한 면이 있는 것 같습니다. 먹고 살만하지 않은 사람들은 고민이 있더라도 정치 이야기를 할 때에 그 이야기를 곁들여 할 수조차 없는 형국이 되고 있습니다.
이제는 그 허점을 아는 사람들은 정치 이야기를 하기 싫어하고, 널리고 널린 '깨시민 호소인'들이 선민 의식을 갖고 정쟁에 힘을 싣고 있는 것은 아닌가 싶습니다.
시민을 배신하지 않는 것은 시민 뿐입니다. 정당은 정치인의 편이 아닐까 싶습니다. 정당인이 아니라, 사인들이 고민과 사회적 대책을 논의할 수 있는 공론의 장이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이유는 그때문입니다. 이러한 자리에서는 소위 엘리트에 속하는 이들이 '말하기보다 듣기가 중요'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그러나 우리나라 엘리트들은 듣기보다 말하기를 중요하게 생각하죠. 일론 머스크도 그렇고, 에휴.... 뭣들 하는 건지... 지들이 잘 났으면 얼마나 잘난 인간이라고 말입니까, 모든 걸 다 자기 머릿속에서 해법을 찾을 수 있다고 생각하는지...
정치계는 젊은이들은 물론이고 4050들의 고충 그러한 여러 민심이 전달이 잘 안 되는 것 같아 보기 좋지 않습니다
저는 그럴 때는 과거 군사정권 일제시대 북보다는 뭐 이렇게 위로하고 분을 삭혀버리지만
서형우님 글을 보니 저는 혹시 기대 심리나 희망이나 개선의 의지도 내려논것 아닌가? 하는 생각도 듭니다
어느 당에서 나오건 민주시민을 배신할리가 없다는 굳건한 믿음이 주류가 되는 세상이 오면 좋겠습니다
@최성욱 호호호호! 최론 머스크님이 되어보시는 건 어떨지요? ㅎㅎㅎ
과거를 바라보는 것은 필요한데, 과거를 정쟁을 위해 활용하는 짓은 그만했으면 좋겠습니다. 2010년대에 비해 사람들이 지금 삶이 더욱 팍팍한데, 먹고 살만한 사람들끼리 모여서 옛날의 일을 꺼내며 누가 덜 못났네 하며 싸우는 것 같아 절망스럽기도 합니다...
분명히 지금 정권이 박근혜 정부보다 비상식적이라는 데에 많은 2030들이 동의할 것 같지만 그들이 더 이상 촛불에 동참한다거나, 대통령 퇴진에 동의하지 않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5년만에 막 내린 촛불민주주의가 너무 허망했고, 실제로 더욱 나은 세상을 만들었다고 느껴지지 않기 때문이 아닐까 싶습니다.
그 전에 어떤 나라를 우리가 원하는지 공론을 모을 여유도 없었고요... 저는 명사가 아니라 공론장이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ㅎㅎㅎㅎ.
Kbs 수신료 자동결제 꼼수라는 기사가 생각나네요
방송들이 참 거시기 합니다
문득 미래를 바라보는 관점은 알겠는데
과거를 적당히 바라본다는 기준은 어떻게 정해야 할지 어디까지 어느정도 바라봐야 하는지 기준이 사람들마다 다르겠구나 싶다는 생각이 드네요
뭐 젊은 정치인 수가 너무 적으니 과거에 더 집중하는 것은 당연하다고 말해봐야 소용 없다라는 생각을 하고 있었음을 깨달았습니다
우리도 일론 머스크 같은 타입의 명사가 나오면 달라지려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