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민수
이민수 · 나도 노는게 제일 좋다...
2022/08/03
인공지능이 지능을 가질 수 있냐, 없냐 판단하는 것은 아직은 시기상조라고 생각합니다.

얼룩소 시리즈를 보던 중, 1년전 봤던 괴델의 불완전성의 정리에 대한 유튜브 영상이 떠오름과 동시에, 튜링 기계가 이 문제와 관련이 있을 수 있겠다는 직감이 들었습니다. 그래서 급하게 괴델의 불완전성 정리를 유튜브보다는 조금 더 자세히 느낌만 알아보자, 하는 생각과 1930년대부터 기계가 지능을 가질 수 있다고 주장했던 튜링의 논문과 강연록을 읽어보고 있습니다. (자세히 찾아보니 주목할만한 관계가 있어서 스스로에게 대견스러워하고 있습니다. ㅎㅎㅎ) 또, 다행히 친구 중에 인지심리학을 공부함에도 행동심리학을 어느 정도 알고 있기도하고, 특히 인공지능에 관심이 많지는 않지만 적당히 있는 친구가 있어서 여러 가지 물어보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일단, 저는 뇌과학을 전공하지 않는 비전공자이며, 전공자인 친구에게(그래봤자 학부생이고, 연구실에서 연구를 1개 진행해본게 전부인) 들은 내용이 전부입니다.

1. 아직 우리 신체 기관(뇌를 포함해)을 완벽히 모방한 적이 없고, 완벽히 밝혀지지도 않았습니다.
지능에 가장 연관된, 아니 모든 부분을 담당하는 뇌의 메커니즘은 아직 모두 밝혀지지 않았습니다. 친구의 말에 따르면, 현재 인공신경망처럼, 뉴런 사이의 연결 강도와 연결 관계가 지능에 상당 부분 기여하는 것은 맞다고 합니다. 그러나, 이러한 신경망 이외의 많은 메커니즘이 있다고 추측되며, 뒤에서도 다루겠지만, 감정의 원리는 아직까지 깔끔하게 밝혀지지 않은 상태입니다.

즉, 지능이 "있을 수 없다"라고 말하기 전에, 뇌의 구조와 역할부터 분명히 규명하는게 우선되어야 하는게 아닌가 궁금합니다.

2. 지능과 의식은 단지 신경 세포의 총합에 불과합니다.
마음(영혼)이 있고, 몸이 따로 있다고 주장하는...
얼룩패스
지금 가입하고
얼룩소의 모든 글을 만나보세요.
이미 회원이신가요? 로그인
192
팔로워 248
팔로잉 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