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03/28
출생율이 증가하는 건 본능적이며, 감소하는 건 사회적인 문제로 보는 경향이 있다. 일종의 엔지니어링적 마인드셋인데, 문제를 해결하면 자연스럽게 출생율이 증가할 것이라는 기대를 가져볼 수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논의에 토를 달고 싶은 생각은 없다. 실제로 사회적인 문제가 낮은 출생율의 트리거가 되고 있다는 것을 부정할 생각은 없다. 가속화되는 경쟁 사회, 지나친 교육열, 사회적 성장의 걸림돌처럼 느껴지는 육아, 보금자리를 마련할 수 없는 젊은 세대의 고충... 이 모든 문제들이 복합적으로 전통적인 개념으로써의 '출생'에 태클을 걸고 있다는 문제 인식에 공감한다.
하지만, 문제를 해결하면 출생율이 증가할 것이라는 기대는, 출생율 증가가 본능적이라는 가정을 배경으로 하고 있다. 그리고 상대적으로 이러한 가정은 당연하다거나 꽤 가벼운 것으로 치부되는 경향이 있다는 걸 느낀다. 과연 출생에 대한 욕구는 본능일까?
이러한 논의에 토를 달고 싶은 생각은 없다. 실제로 사회적인 문제가 낮은 출생율의 트리거가 되고 있다는 것을 부정할 생각은 없다. 가속화되는 경쟁 사회, 지나친 교육열, 사회적 성장의 걸림돌처럼 느껴지는 육아, 보금자리를 마련할 수 없는 젊은 세대의 고충... 이 모든 문제들이 복합적으로 전통적인 개념으로써의 '출생'에 태클을 걸고 있다는 문제 인식에 공감한다.
하지만, 문제를 해결하면 출생율이 증가할 것이라는 기대는, 출생율 증가가 본능적이라는 가정을 배경으로 하고 있다. 그리고 상대적으로 이러한 가정은 당연하다거나 꽤 가벼운 것으로 치부되는 경향이 있다는 걸 느낀다. 과연 출생에 대한 욕구는 본능일까?
- 본능에서 성행위까지
재생산 메커니즘은 아주 작은 단세포 생물부터 커다란 다세포 생물까지 모든 생명체의 공통되는 특징이다. 따라서 재생산 메커니즘이 본능의 영역에 코딩되어 있다는 것은 당연한 전제로 보인다. 적어도 본능에 충실할 수 있는 조건만 주어진다면 말이다.
그런데, 사람은 본능에 충실할 수 있는가? 사전지식 없이 마음이 끌리는 상대를 만나 본능적인 욕구만으로 성행위를 해낼 수 있을까? 바꿔 말하면 성행위와 출생에 대해 아무것도 알지 못하는 인류가 모여 성공적인 성행위와 출생을 이뤄낼 수 있는지에 대한 질문과도 같다. 개인적인 예상이지만 굉장히 많은 본능적인 시도와 노력, 토론 없이는 안정적인 출생의 과정까지 도달하는 데 꽤 애를 먹지 않을까 싶다.
심지어 우리는 이러한 본능에 충실하지 못할 여러 가지 사회적 이유와 문화를 가지고 있다. 사람은 강아지처럼 발정기 암컷의 냄새를 맡고 흥분한다거나, 흥분한다고 하여 마운팅을 한다는 식의 본능의 영역에서 성행위를 시도해볼 수 있는 여러 가지 가능성을 차단하고 있다. 심지어 그러한 시도는 사회적 문맥 속에서 문란...
@청자몽
헉.. 정말 감동적인 말씀입니다..ㅠ
청자몽님 글은 댓글 남겨주시기 전에 이미 잘 읽었습니다. 실제 육아를 경험하고 계신 분들의 이야기는 그저 사유 이상의 현실감이 몸에 깊게 와닿습니다. 아직 미경험자로서 많이 배우고 생각하게 되는 글이에요. 써 주셔서 제가 더 감사합니다.
저도 청자몽님을 비롯하여 얼룩커님들 글을 읽으며 글을 쓰고 싶다는 생각을 할 때가 참 많습니다. 어쩌면 대부분의 글이 다른 글을 읽고 써봐야겠다는 마음이 들어 쓴 글인 것 같기도.. 그래서 좀 중구난방이죠ㅎㅎ
댓글 정말 감사합니다. 저야말로 정말 큰 선물을 받은 기분이네요.
@몬스 글을 읽고 저도 이 주제로 글을 써봐야겠다는 마음이 들었어요. 이종혁 님이시군요 ^^. 이름을 처음 알았어요. 몬스님 몬스님.. 부르다가, 이름 보니 반갑더라구요.
누군가의 글을 읽고, 나도 한번 써봐야겠다/ 다시 좀 생각해봐야겠다는 마음이 드는게
참 귀한거 같아요. 글이 다른 글을 만들고, 생각의 가지가 더 생겨나고요.
좋은 글 감사합니다!
침울해 있었는데, 이따만한 용기상자를 선물 받은 기분이었어요.
@칭징저 길게 늘여 썼지만, 요약하자면 칭징저님의 댓글로 요약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공감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얀코 아이를 등한시 하는 경우까지는 많지 않겠지만, 주변인들에게 결혼과 육아는 또 다르다, 잘 생각해 봐야 한다는 조언은 자주 듣곤 합니다. 아이가 아무리 예뻐도 예뻐할 수만은 없는 환경을 이야기 하는 것이겠죠... 기대치 못하거나 버티지 못하면 등한시 해 버리는 비율도 높아지는 게 아닐까 싶습니다. 탁아의 목적으로 학원을 시작하게 되면서 경쟁사회로의 문턱이 더 낮아지는 건 아닐까 싶기도 하구요.
여러가지가 얽힌 복잡한 문제라 실마리를 찾아보게 됩니다. 결국엔 모든 것들이 고려 되어야 하지만, 가장 시작점에 있는 건 무엇일까 생각해보며 써본 글이었습니다. 댓글 남겨주신 덕분에 조금 더 생각해 보았네요. 감사합니다.
보고 나니 요즘 아이를 등한시 하는 부모의 기사도 떠오르네요. 아이는 낳는 욕망과 기르는 어려움에 대한 사회적 인식과 해결 방안도 중요하다는 생각이 듭니다.
어찌보면 간단한 연결이지만 중요한 말씀이라고 생각합니다. 아이라는 존재를 우리 사회와 개인들이 어떻게 인지하느냐에서부터 출발해야죠. 동의합니다.
@박현안 현안님 소개글을 씨앗으로 한 글입니다. 늘 생각케하는 주제로 글 써주셔서 감사해요.
@최서우 좋아요 100개라니..! 공감해주셔서 감사해요!
지극히 공감가는 글입니다.좋아요 100개 누를수있으면 좋겠습니다!
와 인용은 영광이고, 사유의 가지는 놀랍고 또 합리적이라 생각됩니다!! 너무 잘 봤습니다!!
어찌보면 간단한 연결이지만 중요한 말씀이라고 생각합니다. 아이라는 존재를 우리 사회와 개인들이 어떻게 인지하느냐에서부터 출발해야죠. 동의합니다.
@박현안 현안님 소개글을 씨앗으로 한 글입니다. 늘 생각케하는 주제로 글 써주셔서 감사해요.
@최서우 좋아요 100개라니..! 공감해주셔서 감사해요!
지극히 공감가는 글입니다.좋아요 100개 누를수있으면 좋겠습니다!
와 인용은 영광이고, 사유의 가지는 놀랍고 또 합리적이라 생각됩니다!! 너무 잘 봤습니다!!
@청자몽
헉.. 정말 감동적인 말씀입니다..ㅠ
청자몽님 글은 댓글 남겨주시기 전에 이미 잘 읽었습니다. 실제 육아를 경험하고 계신 분들의 이야기는 그저 사유 이상의 현실감이 몸에 깊게 와닿습니다. 아직 미경험자로서 많이 배우고 생각하게 되는 글이에요. 써 주셔서 제가 더 감사합니다.
저도 청자몽님을 비롯하여 얼룩커님들 글을 읽으며 글을 쓰고 싶다는 생각을 할 때가 참 많습니다. 어쩌면 대부분의 글이 다른 글을 읽고 써봐야겠다는 마음이 들어 쓴 글인 것 같기도.. 그래서 좀 중구난방이죠ㅎㅎ
댓글 정말 감사합니다. 저야말로 정말 큰 선물을 받은 기분이네요.
@몬스 글을 읽고 저도 이 주제로 글을 써봐야겠다는 마음이 들었어요. 이종혁 님이시군요 ^^. 이름을 처음 알았어요. 몬스님 몬스님.. 부르다가, 이름 보니 반갑더라구요.
누군가의 글을 읽고, 나도 한번 써봐야겠다/ 다시 좀 생각해봐야겠다는 마음이 드는게
참 귀한거 같아요. 글이 다른 글을 만들고, 생각의 가지가 더 생겨나고요.
좋은 글 감사합니다!
침울해 있었는데, 이따만한 용기상자를 선물 받은 기분이었어요.
보고 나니 요즘 아이를 등한시 하는 부모의 기사도 떠오르네요. 아이는 낳는 욕망과 기르는 어려움에 대한 사회적 인식과 해결 방안도 중요하다는 생각이 듭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