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수민
김수민 인증된 계정 · 정치평론가
2023/11/23
영화 <서울의 봄> 스틸컷. 플러스엠 엔터테인먼트 제공

1)시민 항쟁 2) 독재 체제의 연장 3) 권력 핵심의 전면적 교체. 한국사에서 1979-1980년은 이 세 가지 모두가 겹쳐져 일어난 시기다. 신해철은 1996년 박정희 사망 발표로 시작해 전두환의 대통령 취임사로 끝나는 <70년대에 바침>이라는 곡을 발표하기도 했다. 이 시기는 드라마와 영화로도 수 차례 다뤄졌다. 다만 10.26과 5.18을 담은 작품이 여럿인 반면 12.12를 다룬 영화는 <서울의 봄>이 처음이다.

그렇다고 12.12가 널리 알려지지 않았던 것은 아니다. 1995년 드라마 <코리아게이트>(SBS), <제4공화국>(MBC)를 통해 이미 세간의 화제가 되었다. 월간조선은 그해 9월호에서 사태 당시 관계자들 사이의 통화내용을 입수해 도보하면서 독자들에게 녹음 테이프를 나눠주기도 했다. 마침 그해 전두환, 노태우 씨가 반란수괴죄 혐의로 구속되어 그 드라마들은 국민 드라마가 되었다. 특히 반란을 진압하려 했던 장태완 당시 수도경비사령관의 “야 이 반란군 놈의 새X야!“는 대유행을 일으켰는데, 이는 2005년 <제5공화국>을 통해 또다시 반복되었다.

그로부터도 오랜 시간이 지나 등장한 <서울의 봄>은 장년층 이상 관객의 다수가 결말을 뻔히 알고 있다는 난점을 극복해야 했다. 막바지 경복궁 앞 대치를 제외하고는 허구적 설정을 자제한 이 영화는 크게 세 가지로 승부했다. 첫째는 긴박하고 촘촘한 전개, 둘째는 웅장하면서도 사실적인 프로덕션 디자인, 셋째는 배우의 에너지에 맞게 재창조된 캐릭터다. 그 결과 이 영화는 12.12나 그 주체 세력을 다룬 드라마를 경험해 본 관객들, 정치와 한국 현대사에 관심이 깊은 시민들에게도 신선하게 다가온다.

특히 작중 캐릭터는 두고두고 주목받을 것이다. 이태신 사령관은 장태완 전 사령관의 투박함을 발라내고 정우성식으로 재구성되었고, 상대적으로 작게 주목받아 왔던 김진기 당시 헌병감은 김성균을 통해 대중적으로 깊이 인식될 것이다. 실존 인물인 최규하, 노태우 전 대통령에 대해 지금까지 형성된 대중 이미지와 달리, 최한규 대통령(정동환)은 강단이 있고 노태건 소장(박해준)은 터프한 것도 주목할 만하다. 오진호(고 김오랑 중령)가 정해인을 통해 <슬기로운 깜빵생활>, <디피> 나오는 군인과 접속되는 것도 이 영화의 묘미다. “전두환 영화가 되지 않았다”고 평가받는 데에는 여러 배우들의 공로가 크다.

항간에서는 이 영화가 전두환을 미화하는 건 아닌지 걱정하는 사람도 있다. 언론배급시사회에서 김성수 감독이 “전두환을 악마로 그리고 싶지 않았다”고 밝힌 것이 창작자의 의도를 떠나 오해의 소지를 키우고 있을지도 모르겠다.

얼룩패스
지금 가입하고
얼룩소의 모든 글을 만나보세요.
이미 회원이신가요? 로그인
제도권 언론에서 관심 없거나 왜곡하는 정치체제와 선거제도, 지방자치 문제가 주요 관심사입니다. 전)구미시의회 의원. <다당제와 선거제도>(전자책) 저자.
9
팔로워 78
팔로잉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