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12/27
혁신이라는 무형의 자원에 접근해 가는 과정이 무척 인상적이었습니다!
최근 카오스 사이언스 재단의 '진화가 필요한 순간'이라는 컨텐츠를 정주행 중인데요. 그래서 그런지, 기술혁신의 과정이 다위니즘의 관점에서 읽혔던 것 같습니다. 원글 도중 마침 등장한 공진화(co-evolution)이라는 단어 때문에 더 그랬던 것 같아요.
맞는 비유일지는 모르겠지만, 기술-조직-제도의 공진화 관계가 DNA-다세포-신경망의 공진화 관계로 읽혔습니다. 자기복제자(DNA)가 생명활동을 위한 세포를 구성하고, 이들이 생명활동을 더 원활히 이어나가기 위해 진화한 다세포성, 여러 세포를 목적에 기반하여 더 효율적으로 움직이기 위한 신경망이 기술-조직-제도와 일부 대응되는 면이 있어 보여요.
아래 강연을 보면 다세포성은 선택압 속에서 세포가 뭉친 환경이 선택되며 진화한다고 하는데요. 특히 포식자가 있는 환경(다세포성 녹조류가 잡아먹히지 않기 때문)에서 단세포성 녹조류가 다세포성으로 빠르게 진화한다는 내용이 인상적이었습니다.
또, 동물의 신경망의 발전에는 깃편모충류라는 원시 신경 세포가 관여했을 수도 있다는 이야기가 나오는데요...
최근 카오스 사이언스 재단의 '진화가 필요한 순간'이라는 컨텐츠를 정주행 중인데요. 그래서 그런지, 기술혁신의 과정이 다위니즘의 관점에서 읽혔던 것 같습니다. 원글 도중 마침 등장한 공진화(co-evolution)이라는 단어 때문에 더 그랬던 것 같아요.
맞는 비유일지는 모르겠지만, 기술-조직-제도의 공진화 관계가 DNA-다세포-신경망의 공진화 관계로 읽혔습니다. 자기복제자(DNA)가 생명활동을 위한 세포를 구성하고, 이들이 생명활동을 더 원활히 이어나가기 위해 진화한 다세포성, 여러 세포를 목적에 기반하여 더 효율적으로 움직이기 위한 신경망이 기술-조직-제도와 일부 대응되는 면이 있어 보여요.
아래 강연을 보면 다세포성은 선택압 속에서 세포가 뭉친 환경이 선택되며 진화한다고 하는데요. 특히 포식자가 있는 환경(다세포성 녹조류가 잡아먹히지 않기 때문)에서 단세포성 녹조류가 다세포성으로 빠르게 진화한다는 내용이 인상적이었습니다.
또, 동물의 신경망의 발전에는 깃편모충류라는 원시 신경 세포가 관여했을 수도 있다는 이야기가 나오는데요...
혁신이 디폴트라는 말은 어떻게 보면 자기모순적인 개념일 수 있겠군요! 디폴트가 된 혁신을 혁신이라고 할 수 있는가.. 심오하네요ㅎㅎ
예전 어디서 과학 기술과 자본주의가 '짝꿍'이라는 이야기를 들었는데 (출처가 기억이 안나네요..), 투자한 자본 이상의 무언가를 만들어내야 이윤을 창출할 수 있고, 그래야 자본의 증식하는 이자를 감당할 수 있다고.. 서로가 서로를 드라이브하는 짝꿍이라는 내용이었어요.
다만, 정말 가장 기본으로 돌아와서, 식량과 환경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혁신의 계층이 깊어지는 정도가 결정되는 게 아닐까 싶어요. 이를 초과하는 범위에서 무한히 혁신을 가속할 수도, 무한히 새로운 가치를 만들어낼 수도 없으니 말이죠..
말씀하신 것처럼 더 빠른 혁신으로 파이를 늘리는 일과 함께, 큰 변화 없이도 영속성을 가지는 것들을 찾아가는 과정이 미래의 주요 과제가 되지 않을까 싶어요. 우리의 정체성이 '사회'도 '개인'도 아닌 중간 지점에 있는 것처럼, 인류 사회도 혁신과 영속성의 중간에 안착할 수 있어야 하지 않을까 하는 추상적인 생각을 해봅니다..ㅎ
단기 시간내 혁신이 성장을 위한 디폴트라면 혁신을 지속하지 않고도 의미있는 성장을 끌어내는 것들이 되려 주목을 받기도 하겠다 싶어요. 변화가 익숙한데 클러스터 수준의 변화를 제외한 큰 규모의 변화를 동반하지 않고도 영속성을 가지는 것은 무엇이 있을까용???
혁신이 디폴트라는 말은 어떻게 보면 자기모순적인 개념일 수 있겠군요! 디폴트가 된 혁신을 혁신이라고 할 수 있는가.. 심오하네요ㅎㅎ
예전 어디서 과학 기술과 자본주의가 '짝꿍'이라는 이야기를 들었는데 (출처가 기억이 안나네요..), 투자한 자본 이상의 무언가를 만들어내야 이윤을 창출할 수 있고, 그래야 자본의 증식하는 이자를 감당할 수 있다고.. 서로가 서로를 드라이브하는 짝꿍이라는 내용이었어요.
다만, 정말 가장 기본으로 돌아와서, 식량과 환경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혁신의 계층이 깊어지는 정도가 결정되는 게 아닐까 싶어요. 이를 초과하는 범위에서 무한히 혁신을 가속할 수도, 무한히 새로운 가치를 만들어낼 수도 없으니 말이죠..
말씀하신 것처럼 더 빠른 혁신으로 파이를 늘리는 일과 함께, 큰 변화 없이도 영속성을 가지는 것들을 찾아가는 과정이 미래의 주요 과제가 되지 않을까 싶어요. 우리의 정체성이 '사회'도 '개인'도 아닌 중간 지점에 있는 것처럼, 인류 사회도 혁신과 영속성의 중간에 안착할 수 있어야 하지 않을까 하는 추상적인 생각을 해봅니다..ㅎ
단기 시간내 혁신이 성장을 위한 디폴트라면 혁신을 지속하지 않고도 의미있는 성장을 끌어내는 것들이 되려 주목을 받기도 하겠다 싶어요. 변화가 익숙한데 클러스터 수준의 변화를 제외한 큰 규모의 변화를 동반하지 않고도 영속성을 가지는 것은 무엇이 있을까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