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 그리고 길
2024/05/24
어쩌다 보니 수업 하나를 맡아 진행하고 있다. 우리 마을은 작년부터 책과 관련한 예산을 지자체로부터 지원받고 있는데, 그 사업의 일환으로 여러 프로그램을 기획하다 그 중 하나를 내가 담당하게 됐다. 오래 전부터 머릿 속을 부유하던 꿈 하나가 있었다. 아이들과 함께 그림책을 읽고 발제해 토론을 하고, 글을 쓰는 것. 오랜 시간 머릿 속을 굴러다니던 생각은 프로그램을 기획하는 자리에서 불쑥 말이 되어 내 입밖으로 튀어나왔고, 결국 수업까지 맡게 되었다.
수업이라고는 이십 대 초중반 잠시 아르바이트로 학원강사와 과외 선생님을 해본 게 다인데, 그런 사람이 갑자기 수업을 맡다니. 글쓰기 모임도 수업이라 부른다면, 경력이 좀 늘어날까. 어린 학생들을 이끌고 수업을 진행하는 것도 낯선데, 토론을 진행하고 글쓰기를 지도해야 한다니. 이 방면으로 아무런 경력이 없는 사람이 덜컥 수업을 맡았으니, 아무래도 미친 게 틀림 없다 싶을 만큼 나는 무모한 도전을 하고 있다.
MBTI로 말하자면 나는 N이다. 나무보다 숲을 읽는 걸 더 좋아한다는 말이다. 의도가 명확하지 않으면 동기부여를 하지 못한다는 말이기도 하다. 수업 준비를 하다 보니 이런 나의 성향이 고스란히 드러난다. 첫 번째 수업은 ‘생각’에 대한 것이었다. 토론을 하고 글을 쓴다는 건 결국 생각을 표현하는 것이기에, 아이들과 수업을 진행하려면 ‘왜 생각해야 하는지’를 먼저 짚고 넘어가야 했다.
두 번째 수업은 토론에 대해 알아보았다. 인류 역사에서 토론은 언제부터 등장했는지, 민주주의 사회에서 왜 토론이 중요한지. 토론 끝판왕이었던 소크라테스를 소환해 그의 활약과 죽음을 거론하며 토론에 대해 이야기를 나누었다. 세 번째 수업에서는 선정한 그림책을 함께 읽고, 각자 궁금한 질문을 적어보았다. 이왕이면 닫힌 질문이 아니라 열린 질문으로. 함께 논의할 가치가 있는 질문들을 적고 발표했다.
네 번째 수업은 드디어 토론. 주제는 그림책에서 발제한 ‘무엇이 사람을 행복하게 만드는가...
수업이라고는 이십 대 초중반 잠시 아르바이트로 학원강사와 과외 선생님을 해본 게 다인데, 그런 사람이 갑자기 수업을 맡다니. 글쓰기 모임도 수업이라 부른다면, 경력이 좀 늘어날까. 어린 학생들을 이끌고 수업을 진행하는 것도 낯선데, 토론을 진행하고 글쓰기를 지도해야 한다니. 이 방면으로 아무런 경력이 없는 사람이 덜컥 수업을 맡았으니, 아무래도 미친 게 틀림 없다 싶을 만큼 나는 무모한 도전을 하고 있다.
MBTI로 말하자면 나는 N이다. 나무보다 숲을 읽는 걸 더 좋아한다는 말이다. 의도가 명확하지 않으면 동기부여를 하지 못한다는 말이기도 하다. 수업 준비를 하다 보니 이런 나의 성향이 고스란히 드러난다. 첫 번째 수업은 ‘생각’에 대한 것이었다. 토론을 하고 글을 쓴다는 건 결국 생각을 표현하는 것이기에, 아이들과 수업을 진행하려면 ‘왜 생각해야 하는지’를 먼저 짚고 넘어가야 했다.
두 번째 수업은 토론에 대해 알아보았다. 인류 역사에서 토론은 언제부터 등장했는지, 민주주의 사회에서 왜 토론이 중요한지. 토론 끝판왕이었던 소크라테스를 소환해 그의 활약과 죽음을 거론하며 토론에 대해 이야기를 나누었다. 세 번째 수업에서는 선정한 그림책을 함께 읽고, 각자 궁금한 질문을 적어보았다. 이왕이면 닫힌 질문이 아니라 열린 질문으로. 함께 논의할 가치가 있는 질문들을 적고 발표했다.
네 번째 수업은 드디어 토론. 주제는 그림책에서 발제한 ‘무엇이 사람을 행복하게 만드는가...
![](https://alook.so/assets/hurdle-bg-1799b769f63897f591a4ec02ca099354308b8484ea688c711bd739afa0683c96.png)
@까망콩 제가 워낙 의문이 많은 사람이라... 수업이 장황해지고 있습니다;; 도움이 될지 모르겠어요;;
@메리 오닐 앗 글쓰기 수업이 가장 걱정이에요 사실 ^^;;
@콩사탕나무 저도 글이 곧 길이라는 저 문구를 읽고 한동안 생각이 많아졌어요;; 여전히 작아집니다;; 한 명이라도 제 수업에서 길을 찾는 아이가 있을지 모르겠네요;; 응원 넘 감사해요!!
엄청난 수업이네요! 우리 아이들도 보내고 싶어요. 아니 제가 참여하고 싶어요^_^ ㅎ
-글은 곧 길(진리)이다- 생각이 많아집니다.
현안님의 수업을 통해 스스로 길을 찾는 법을 알아차리는 아이가 있을 것 같아요.
더불어 현안님의 글과 길도 응원합니다^^
선생님. 선생님. 우리 글 선생님!
무슨 일을 하던
왜? 라는 의문을 갖고 하는 것과
무작정 하는 것은 다르더군요.
@박순우(박현안) 님의 수업
저도 한 번 듣고 싶네요.
@까망콩 제가 워낙 의문이 많은 사람이라... 수업이 장황해지고 있습니다;; 도움이 될지 모르겠어요;;
@메리 오닐 앗 글쓰기 수업이 가장 걱정이에요 사실 ^^;;
@콩사탕나무 저도 글이 곧 길이라는 저 문구를 읽고 한동안 생각이 많아졌어요;; 여전히 작아집니다;; 한 명이라도 제 수업에서 길을 찾는 아이가 있을지 모르겠네요;; 응원 넘 감사해요!!
엄청난 수업이네요! 우리 아이들도 보내고 싶어요. 아니 제가 참여하고 싶어요^_^ ㅎ
-글은 곧 길(진리)이다- 생각이 많아집니다.
현안님의 수업을 통해 스스로 길을 찾는 법을 알아차리는 아이가 있을 것 같아요.
더불어 현안님의 글과 길도 응원합니다^^
선생님. 선생님. 우리 글 선생님!
무슨 일을 하던
왜? 라는 의문을 갖고 하는 것과
무작정 하는 것은 다르더군요.
@박순우(박현안) 님의 수업
저도 한 번 듣고 싶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