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성희 · 세상에 긍정적 영향을 주고픈 사람
2021/10/01
“오징어게임”이 문화권을 뛰어넘어 글로벌 시청자들을 사로잡을 수 있었던 “오징어게임”만의 비결을 분석해 보기에 앞서 먼저 꼭 짚고 넘어가야 할 지점이 있다. 그것은 바로 “오징어게임” 신드롬은 지금까지 K POP, K Drama, 봉준호 감독의 “기생충”과 같은 “K”가 쌓아놓은 성취에 대한 글로벌 팬덤이 있었기 때문에 가능했다는 점이다. 지금의 폭발적 반응에 “오징어게임”의 작품적 성취가 기반에 있다는 것은 말할 것도 없지만 K콘텐츠에 대한 글로벌 시청자의 이해와 관심이 없었다면 지금과 같은 신드롬이 만들어지기는 어려웠을 것이다. 

이제 본격적으로 “오징어게임”이 글로벌 시청자를 사로잡은 비결은 무엇이었는지 살펴보자. 

#1 가장 황동혁 다운 이야기
사실 드라마 시리즈가 감독 한 사람의 작품일 수 있는지에 대해서는 논의의 여지가 있을 수 있다. 하지만 “오징어게임”처럼 작가와 연출, 그리고 제작까지 한 사람이 했을 경우에는 온전히 그 한 사람의 작품이라고 해도 무리가 없을 것 같다. “오징어게임”은 내가 아는 한 가장 황동혁 감독 다운 작품이었다. 황감독과 나는 함께 대학을 다녔다. 황감독은 그 때부터 놀라운 이야기꾼이었다. 황감독이 “썰”을 풀기 시작하면 시간 가는 줄 몰랐다. 황당한 얘기건, 사실적 얘기건 그의 입을 거치면 재미난 이야기로 바뀌었다. “오징어게임”을 보면서 그 때 황감독을 다시 만난 듯했다.  그가 옆에서  “썰”을 풀고, 시간 가는 줄 모르고 그의 “썰”에 푹 빠져 있다 보면 어느새 막차 시간이 지나 있었던 그 시절처럼 그렇게 “오징어게임”을 봤다. 

황동혁 감독의 필모그래피를 보면, 그는 2007년 “마이파더”로 장편 상업영화 데뷔를 한다. 그 다음 작품이 공지영 작가의 동명 소설을 영화화한 “도가니(2011)” 였고 2014년 “수상한 그녀”로 흥행 감독의 반열에 오른다. 그 다음 영화가 김훈 작가의 동명 소설을 영화화한 “남한산성 (2017)”이다. 2020년에는 자신의 조감독 출신인 박정배 감독의 데뷔작 “도굴”이라는 코미디 영화의...
얼룩패스
지금 가입하고
얼룩소의 모든 글을 만나보세요.
이미 회원이신가요? 로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