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신의 피로감은 어떻게 사용될 것인가

오찬호
2023/01/10
전국을 돌아다니며 강연을 하기에 고속(시외) 버스를 자주 이용한다. 서울에 살 때는 목적지에 따라 아침 일찍 동서울, 센트럴시티, 남부터미널로 향했고 같은 곳으로 돌아오곤 했다. 인구가 10만도 안 되는 지역일지라도 서울로 향하는 버스 몇 대는 반드시 있으니 ‘어딜 가더라도’ 당일치기로 일정을 소화할 수 있었다. 새벽 2시가 넘어서 도착한 들, 서울에는 늦은 밤을 책임지는 심야버스가 또 돌아다닌다. 서울 사람들에게는 너무나 당연한 기본값이었다.

제주로 이사를 하니 서울을 떠난 불편함이 약간은 있지만, 역시나 지역 거점 터미널의 가치를 크게 느낀다. 김해공항에 내려 부산 서부(사상) 터미널로 이동 후 경남 어디론가 가고, 광주공항에서 터미널(유스퀘어)로 가면 전남의 구석구석으로 가는 버스가 즐비하다. 기차가 갈 수 없는 곳까지 버스는 방방곡곡 종횡무진이다. 덕분에 나는 먹고산다. 어디든지 이동하는 게 너무나 당연한 기본값이어서.

기본값의 차이는 어마어마하다

놀라운 사실이 있다. 나는 단 한 번도 휠체어를 이용하여 고속버스를 탄 장애인을 본 적이 없다. 작가 생활 십여 년이면 천여 번은 전국의 터미널을 이용했을 거다. 한 번도, 한 번도 휠체어가 45인승 버스의 앞문을 오르는 것을 본 적이 없다. 갓난아기도, 100세는 되어 보이는 노인도 보았다. 불편한 정도는 다르겠지만 세대 간 차별이 없는 게 버스다.

명품으로 온몸을 치장한 이들도 투덜거리면서 시외버스를 탄다. 옷차림새에서부터 고단함이 묻어나는 이들은 오르자마자 잠든다. 계층에 따라 사용 빈도 차이는 있겠으나 진입장벽은 비교적 평등하다. 성, 인종, 종교, 외모에 따른 차별도 드러나지 않는다. 버스의 이치는 간단하다. 탈 사람은 돈만 내면 누구든지 탄다. 돈을 안 내면 누구라도 탈 수 없다.

그런데 그러한가? 평등함 넘실거리는 대중교통이지만, 누군가에는 아무리 돈을 내겠다고 한들 거대한 벽일 뿐이다. 경사는 90도, 높이는 바벨탑 수준이다. 자신의 다리를 이용할 수 있는 자와, 바퀴에 의지해야 하는 자...
오찬호
오찬호 님이 만드는
차별화된 콘텐츠, 지금 바로 만나보세요.
이미 회원이신가요? 로그인
오찬호
오찬호 인증된 계정
작가
여러 대학에서 오랫동안 사회학을 강의했고, 사회가 개인을 어떻게 괴롭히는지를 추적하는 글을 씁니다. <우리는 차별에 찬성합니다>(2013)를 시작으로 최근작 <민낯들>(2022)까지 열세 권의 단독 저서를 출간했습니다.
15
팔로워 1.2K
팔로잉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