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영빈
김영빈 · 사회과학 전반에 관심 많은 경제학도
2023/02/13
Sanderson & Scherbov (2007)는 기대수명이 높아지고 고령인구가 급격히 증가한 현대사회에 새로 맞는 노인연령 기준을 제시한 바 있습니다.
바로 '장래연령(Prospective age)'에 기반한 노인 기준입니다.

우리는 "지금까지 살아온" 수명이 기준되는 (예: 65세, 70세, etc.) 회고적 (retrospective) 관점으로 노인 연령을 삼았는데,
저자들은 "앞으로 남은" 기대여명, 즉 장래여명이 기준이 되는(예: 장래여명 15세, 20세) 장래적 (prospective) 시점으로 노인연령을 산정하자고 제안합니다. 

이해가 안 되시는 분들을 위해 계봉오(2020)가 든 일본 여성의 예를 들자면,
계봉오(2020).
먼저 하단의 전통적인 회고적 연령측정 방식에 따르면 1972년의 50세와 2014년 50세는 살아온 시간 기준 연령은 똑같습니다. 그러나 두 집단의 기대여명은 각각 29년과 38년으로 9년의 차이가 존재합니다.
반면에 상단의 기대여명에 기반한 연령측정 방식에 따르면 1972년의 50세와 2014년의 60세는 같은 연령입니다. 두 집단의 기대여명이 29년으로 동일하기 때문입니다. 

다시 말해 지금까지 살아온 연령과 무관하게 (노인연령까지 살아남은 노인들에 한정해서) 삶의 마지막 15년, 20년을 노인으로 보내게 하는 기준입니다.  

[* 주의: 장래여명 n세 기준 노인연령을 기대수명 - n세와 동일시하기 쉬운데, 서로 다른 개념입니다.
장래여명은 그 연령 이전에 돌아가신 분들은 제외하고 산출하므로, 수명이 낮은 분들은 기댓값 산출에 빠지게 되어 실질적으로는 기대수명 - n세보다 약간 더 높습니다.]
 


그렇게 되면 기대수명이 높아지고, 노화가 늦게 찾아오는 변화를 제때제때 반영하는 보다 현실적인 노인연령 기준을 만들 수 있습니다.   
결정적으로, 새로운 장래연령 기준으로 노인인구비율을 측정하면 기존 회고적 기준에 비해서 노인인구비율이 현저히 낮아집니다....
얼룩패스
지금 가입하고
얼룩소의 모든 글을 만나보세요.
이미 회원이신가요? 로그인
중요한 주제와 관점을 거론하려는 박사과정생. 의견은 다를지라도 대화하면서 많은 걸 배우는 사람이라는 평판을 갖고 싶습니다. 이메일: ybk0423@gmail.com
86
팔로워 347
팔로잉 13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