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연’, ‘지연’, ‘혈연’ 등 연고주의 인간관계의 합리성

이주형
2023/04/09

MZ세대 등 현대사회의 사람들은 ‘취향’을 기반으로 관계를 맺는다고 합니다. 자신의 의사와 관련 없이 선천적으로 형성된 학연, 지연, 혈연 기반의 관계가 아닌 분명한 목적성을 띈 관계를 형성하는 것이죠. 

예를 들어, 올해 나온 주요 트렌드 책들을 보면 현대인들의 커뮤니케이션 방법을 아래와 같이 묘사하고 있습니다. 

(예시 1) MZ세대는 학연, 지연 등 소속에 기반을 둔 끈끈한 관계가 아닌 취향을 토대로 한 느슨하고 가벼운 관계를 맺는다. 관심사와 취향만 맞는다면 나이, 학교, 직장 같은 신상정보는 중요하지 않다. (Z세대 트렌드 2023, 대학내일연구소 저)

(예시 2) 인덱스 관계는 ① 만들기, ② 분류하기, ③ 관리하기의 3단계로 나뉜다. 먼저 관계 만들기는 과거처럼 학연·지연 같은 인연에 의해 자연스럽게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분명한 목적을 가지고 의도적으로 만들어지거나 혹은 완전히 우연에 기대는 ‘랜덤’ 방식으로 형성된다. (트렌드코리아 2023, 서울대 소비트렌드 분석센터)

이런 변화 속에서 학연, 지연, 혈연 등 기성세대의 연고주의 인간관계는 ‘꼰대’의 상징이 되고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그동안 당연했던 구성원들의 단합을 위한 퇴근 이후 저녁회식은 청년 세대에게는 이해할 수 없는 불필요한 행위로 간주되고 있습니다. 또한 공정함이 무엇보다 중요한 시점에서 같은 고향이라고, 같은 학교 출신이라고 혜택을 주는 것은 그야말로 부정의함의 화신이 되었죠.

물론 몇몇 사례에서 연고주의 인간관계는 한계를 나타냅니다. 하지만 과연 연고주의를 기반으로 한 커뮤니케이션 방법은 납득할 수 없는 비합리적인 행동일 뿐일까요? 이 질문에 답을 해보고자 합니다.
출처 : pixabay
베이비붐세대, X세대 등 기성세대는 MZ세대 보다 ...
얼룩패스
지금 가입하고
얼룩소의 모든 글을 만나보세요.
이미 회원이신가요? 로그인
이주형
이주형 인증된 계정
Trend Reader
식품업계를 거쳐 현재 AI, 빅데이터 전문기업에서 소셜 빅데이터 분석 및 활용법을 공유하고 있다. 현재 마케팅 뉴스레터 ‘위픽레터’, 글로벌 미디어 ‘모바인사이드’ 등에서 초빙 필진으로 활동하고 있다. (이메일 주소 : ejuhyle@gmail.com)
81
팔로워 595
팔로잉 16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