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전한 철학
지난 10년간 우리나라 일본 및 서방의 대중문화에서 가장 두드러진 변화는 새로운 금기의 출현과 보급이다. 성소수자와 소수국적 및 인종 다이아스포라, 여성에 대한 차별이 이전보다 엄격한 근거와 기준에 의거해 정해졌고 미디어와 공공장소에서 퇴출되었다. 이는 한국사회가 최근 경험한 갑질 논란, 번아웃 사회에 대한 비판, 비정규직 노동자에 대한 처우개선 등의 이슈와 평행을 그린다. 흔히 정치적 옳음 또는 PC라는 이름으로 뭉뚱그려져서 비판되었던 이 엄격한 새 기준은 이제는 인지해야 마땅한 불가피한 흐름으로 이해되는 편인 것 같다.
이렇게 새로운 금기가 수면 위로 떠오르면서 오히려 이전보다 더욱 장려되는 가치들도 있는데 내 눈에 유난히 두드러지는 것은 건강과 안전이다. 이전 사회에서 으레 받아들여지던 근면, 성실과 사회적 지위상승 등의 정형화된 중산층의 아메리칸드림 모델이 신빙성을 잃으면서, 또 물질의 풍요가 장기화되고 고소득사회를 유지하는 경제체제가 고착화되면서 우리 사회는 변화보다는 개개인의 삶에 깃들 안정, 평온, 풍요를 보편적가치로 우선하기 시작했다. "건강이 최고야", "안전제일" 등의 슬로건은 새로울 것이 전혀 없긴 하지만 먹고살만큼만 일하고 싶은 이들 사이에서 별탈없이 안부묻듯 나눌만한 덕담으로서 이전보다 더욱 좋은 위치를 누리고 있다는 점은 명료해보인다.
코로나시대를 경험하면서 전례가 없었던 차원의 사회적합의가 이루어질 때에도 외적 모토는 주로 "안전"을 명분으로 하여 정당성을 찾았다. 백신접종의 사실상 의무화와 QR코드를 통한 위치추적 등 비상사태라는 특수성 없이 감행이 어려웠을 사회실험들이 빠른 시간 안에 합의가 되면서 공공의 추구가치도 자연스럽게 보건과 안전이라는 상징성에 기댈 수 있게 되었다. 코로나시대의 규제가 완화 및 철폐되고 나서도 보건과 안전이라는 가치가 가진 항시적 정당성은 공익의 잠재적 강제성과 맞물려 있는 도구로서 여전히 유용하다. 쉽게 말하면, 애국가를 불러도, 태극기를 봐도 국뽕을 느낄 수가 없고, '국민의 단결을 통한 경제성장'...
@유영진 소중한 피드백 감사합니다. 네, 푸코, 버틀러 등이 그 기조에서 대표적인 이름들이죠. 기존언어에 대한 문제의식을 제기하고 새로운 언어의 가능성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또 그 뒷세대가 이 방법론을 응용해서 기성체제에 도전할 발판을 마련했다는 점에서 이분들의 기여는 분명 유의미합니다. 다만 국내학계에서 최근에 힘을 집중한 서양철학 읽기 및 번역이 비슷한 성과를 내고 있는지는 의문입니다. 사변적언어사용 자체가 문제라기보다는 학자의 사유가 대중의 현실과 떨어져있는 곳에서 피어나온게 문제인 것 같습니다. 복잡한 말이라도 일상의 현실과 닿는 지점이 있다면 (탈-)구조주의 명제대로 기존권력의 억압을 해체시킬 수 있습니다. 학계가 서양서적을 충분히 번역했을 시점에는 대중의 감성을 반영하는 사유를 했으면 좋겠습니다.
정확한 인용은 아니겠으나, 일부 철학자들은 '모든 언어는 그 자체로 권력이다' 를 주장하면서 언어구조를 고의로 파괴하거나 전도시킴으로써 언어의 억압에서 벗어나야 한다고 주장하는 것 같습니다. 이런 사람들은 본문에 거의 동의하지 못할 것 같지만, 요즘의 철학 용어들이 지나치게 사변적이고 현학적이라고 생각하는 저로서는 상당히 공감이 되는 글입니다. 출처가 기억나진 않지만 어떤 철학 텍스트에서는 현학적인 글쓰기를 심지어 '지적 유희' 라고까지 표현하더군요.
@유영진 소중한 피드백 감사합니다. 네, 푸코, 버틀러 등이 그 기조에서 대표적인 이름들이죠. 기존언어에 대한 문제의식을 제기하고 새로운 언어의 가능성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또 그 뒷세대가 이 방법론을 응용해서 기성체제에 도전할 발판을 마련했다는 점에서 이분들의 기여는 분명 유의미합니다. 다만 국내학계에서 최근에 힘을 집중한 서양철학 읽기 및 번역이 비슷한 성과를 내고 있는지는 의문입니다. 사변적언어사용 자체가 문제라기보다는 학자의 사유가 대중의 현실과 떨어져있는 곳에서 피어나온게 문제인 것 같습니다. 복잡한 말이라도 일상의 현실과 닿는 지점이 있다면 (탈-)구조주의 명제대로 기존권력의 억압을 해체시킬 수 있습니다. 학계가 서양서적을 충분히 번역했을 시점에는 대중의 감성을 반영하는 사유를 했으면 좋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