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 속 정치학] 발전의 논리에 가장자리로 밀려난 삶

아홉시
아홉시 · 일상에 영감을 더하는 지식 채널
2022/08/03
 

[문학 속 한 장면] 앨리스 먼로 단편, 『휘황찬란한 집』


 
메리는 달걀 장수 풀러턴 할머니네 뒤란 층계에 앉아 이야기를 하고 있었다. 아니 사실은 듣고 있었다. […] 할머니들과 아주머니들이 살아온 이야기를 깊이 파고들었던 예전, 메리는 이미 들어서 알고 있는 이야기도 시치미를 뚝 떼고 청하고 또 청해 들었었다. 그렇게 새로 들을 때마다 기억 속에 남았던 일화들은 내용과 의미와 색채가 조금씩 다르면서도 순수한 실재로 거듭나서 대개 전설의 끄트머리에 붙게 된다.

앨리스 먼로, 『휘황찬란한 집』, <행복한 그림자의 춤>, 웅진지식하우스, 89쪽

메리라는 젊은 여성이 달걀 장수 할머니의 이야기를 듣는 장면에서 소설은 시작한다. 노인들의 이야기란 대개 같은 이야기의 반복이지만, 화자는 시치미를 떼고 몇 번이고 이야기를 다시 청해 듣곤 했다고 말한다. 그런 이야기는 들을 때마다 조금씩 다르게 들리며 일종의 ‘전설’의 지위를 갖게 된다고 화자는 말한다.

할머니가 하는 이야기는 12년 전 홀연히 집을 떠난 남편 이야기이다. 나무에서 체리를 따고 있던 양반이 지나가던 어떤 사람하고 체리를 나눠먹으며 이야기를 나누더니 옷을 챙겨 입고 잠깐 시내에 다녀오마고 나가더란다. 얼마나 걸리냐고 물었더니 오래 안 걸린다고 대답하더란다. 그 대화를 마지막으로 남편은 돌아오지 않았다는 이야기다. 혼자 사는 사연을 할머니는 이렇게 설명한다. 그러면서 내년 여름엔 체리를 싸게 팔 테니 와서 양껏 따가라고 얘기한다.

얼룩패스
지금 가입하고
얼룩소의 모든 글을 만나보세요.
이미 회원이신가요? 로그인
교수, 평론가, 시인, 라디오 DJ, 작가, 전문 연구원, 기자, 에세이스트…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들이 전하는 깊이 있는 지식과 통찰을 아홉시에서 만나보세요.
28
팔로워 126
팔로잉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