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년 4분기 '통매음' 판결문 21건 분석

로톡뉴스
로톡뉴스 인증된 계정 · 법, 누구나 쉽게 알 수 있도록
2023/02/10
"이거, 통매음 될까요?"

흔히 통매음으로 불리는 성폭력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특례법(성폭력처벌법)상 통신매체이용음란죄. ①컴퓨터 등 통신매체를 이용해 ②자기 또는 타인의 성적 욕망을 유발하거나 만족시킬 목적으로 ③성적 혐오감을 일으키는 말이나 글, 음향 등을 ④상대방에게 전달했을 때 성립한다.

통매음은 명예훼손이나 모욕과 달리 성범죄로 분류된다. 이에 유죄가 확정되면 형사 처벌은 물론 아동⋅청소년 관련 기관 취업제한이나 신상정보 공개⋅고지 명령 등 각종 불이익이 뒤따를 수 있다.

로톡뉴스는 작년 4분기(2022.10.01~2022.12.31) 통매음 관련 확정 판결문을 분석을 통해 처벌 수위 등 동향을 살펴봤다.

어디서 가장 많이 발생했나? 1위 SNS, 2위 게임 채팅
정확한 분석을 위해 추가 혐의 없이 '통매음으로만' 처벌된 판결문을 분석 대상으로 삼았다. 그렇게 추린 판결문 수는 총 21건, 피고인 수도 21명이었다(2월 1일 기준).
통매음 사건이 가장 많이 발생한 곳은 SNS 등으로 직접적인 메시지를 보낸 경우였다. /그래픽=조소혜 디자이너
사건 유형 중 가장 많았던 건, SNS 등으로 메시지를 보낸 경우였다. 21건 중 10건으로 절반에 가까웠다. 다음으로 많았던 건 게임 채팅으로 총 7건이었다. 그 외 온라인 커뮤니티에서 댓글을 단 경우가 2건, 모르는 사람 등에게 전화를 건 경우가 2건이었다.

어떤 내용의 메시지가 문제가 됐나?
이들은 피해자에게 다음과 같은 내용의 메시지를 전달해 유죄가 인정됐다.

"내가 너네 어무이 XX해서 화났나", "왜케 대주고 다니냐", "XX 야구공만 하고", "X슴 축 쳐지고", "X레 같은 X", "X먹어보겠다고", "잘 빨겠다 X년아", "XX하고 싶다", "X지 아늑하다",

대부분 여성의 신체 부위를 속되게 말하거나, 성관계와 관련된 단어를 직접적으로 언급하는 등이었다.

통매음 처벌 수위는? 징역형의 집행유예와 벌금이 대다수
처벌 수위는 어땠을까. 통매음 법정형은 2년 이하의 징역 또는...
얼룩패스
지금 가입하고
얼룩소의 모든 글을 만나보세요.
이미 회원이신가요? 로그인
14
팔로워 400
팔로잉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