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규렴 가문의 한글편지 (1) : 조정에 나가면 '쓰리송'의 일환이지만, 노비에게는 호구였던 건에 대하여
2023/04/03
17세기의 조선에는 ‘쓰리송’이 있었습니다. 당시 조정은 예송논쟁으로 대표되는 정치철학의 대결이 치열했었는데요. 기호학파의 중심으로서 그 논의를 주도한 은진 송씨 3인방, 송시열(宋時烈, 1607~1689)·송준길(宋浚吉, 1606~1672)·송규렴(宋奎濂, 1630~1709)이 바로 그들입니다.
그중 송규렴은 관료로서 승문원(承文院) 부임으로 첫 커리어를 시작하고, 훗날 극소수의 엘리트 관료만이 받을 수 있던 기로소(耆老所, 나라에 공이 많은 연로한 신하들의 명예 기구)에 드는 영예도 거머쥐었습니다. 그는 이조판서 송상기(宋相琦)라는 든든한 아들을 두었고, 송시열처럼 사약으로 생애를 마감하지도 않았으니, 조선의 모든 사대부와 관료가 꿈꿨던 이상적인 삶을 살았다고도 볼 수 있죠.
그런 송규렴이 사망하자, 사람들은 그의 성격을 이렇게 평합니다.
“공은 성품이 단정하고 온화하며 효도와 우애에 돈독하였다. 평생 과격한 말이나 심한 비평을 하지 않았다. 특히, 모두가 이름을 날리기 위해 애쓰는 가운데, 오직 공만이 40세가 되기도 전에 물러나 은둔하니, 조정의 신하들이 모두 공이 다시 나오기만을 바라였다.”
- 『도곡집(陶谷集)』 「예조 판서 송공 시장〔禮曹判書宋公諡狀〕」
사람됨이 태연하고 차분했으며, 물러나는 때가 많고 진출하는 때는 적었다.
- 『숙종실록(肅宗實錄)』 1709년 6월 4일
아무래도 그의 성격은 ‘점잖은 양반 그 잡채’였나 봅니다. 행장과 실록에 적힌 그의 졸기(卒記)에서 모두 입을 모아 그의 너그러운 성격을 이야기하고 있으니까요. 그러면서도 한번 결심한 건 무슨 일이 있어도 지키는 결기까지 있으니, 과연 한때 정국을 주도했던 이름난 사대부라 할만합니다.
그런데 그 ‘잘 나가는’ 엘리트 관료가 남긴 한글편지에는 무언가 언밸런스한 면도 있습니다. 때는 신분제 사회, 게다가 그의 말 한...
조선사를 유영하는 역사교양서 작가, 박영서입니다. 『시시콜콜한 조선의 편지들』, 『시시콜콜한 조선의 일기들』, 『시시콜콜 조선복지실록』을 썼으며, 딴지일보에서 2016년부터 역사, 문화재, 불교, 축구 관련 기사를 써오고 있습니다.
@Guybrush 송규렴은 날선 말이 오가는 마당에도 유독 말이 완곡해서, 주변 사람들이 그에 대해 불만을 토로했다곤 하는데요. 기본적으로 누구든 존중하려는 마음이 있었던 것 같아요. 비록 뒤통수치는 사람들도 있었지만, 전체적으로 보면 그래도 그가 보였던 선의만큼의 안온한 삶을 산 것은 정말 다행스러운 일입니다. ㅎㅎ
나랏일을 할 때와 자기 집안 경영을 하는 건 분명 또 다른 문제겠지요. 잘은 모르지만 정계에서 되도록 멀어지려 했던 것도 비정한 정치 세계, 삐끗하면 목이 날아가는 곳에서 멀어지고 싶은 마음 아니었을까 합니다. 아마도 마음이 좀 약하고 여린 분이 아니었을까 싶네요. 그럼 노비들도 알아서 잘 하면 좋을 텐데 그걸 또 이용해 먹으려고 드니 그게 세상 돌아가는 이치인가 봅니다.
@최성욱 그러게 말입니다. 관계의 역전은 무언가 위태로우면서, 또 통쾌한 면이 있는 듯합니다. 그것이 또 새로운 역사를 만드는 원동력이겠죠. 읽어주셔서 고맙습니다:)
공적인 이야기가 아닌 서민의 이야기네요. 어딘 유투브 사연에서 졸부 집 아들이 사업 하다가 건달한테 걸려서 사업채 다 빼앗기는 이야기를 본적이 있는데 설마? 라고 생각했는데 이런 자료를 보니 그런 일이 있을 수도 있겠구나 싶네요. 허, 거참.
@Guybrush 송규렴은 날선 말이 오가는 마당에도 유독 말이 완곡해서, 주변 사람들이 그에 대해 불만을 토로했다곤 하는데요. 기본적으로 누구든 존중하려는 마음이 있었던 것 같아요. 비록 뒤통수치는 사람들도 있었지만, 전체적으로 보면 그래도 그가 보였던 선의만큼의 안온한 삶을 산 것은 정말 다행스러운 일입니다. ㅎㅎ
나랏일을 할 때와 자기 집안 경영을 하는 건 분명 또 다른 문제겠지요. 잘은 모르지만 정계에서 되도록 멀어지려 했던 것도 비정한 정치 세계, 삐끗하면 목이 날아가는 곳에서 멀어지고 싶은 마음 아니었을까 합니다. 아마도 마음이 좀 약하고 여린 분이 아니었을까 싶네요. 그럼 노비들도 알아서 잘 하면 좋을 텐데 그걸 또 이용해 먹으려고 드니 그게 세상 돌아가는 이치인가 봅니다.
@최성욱 그러게 말입니다. 관계의 역전은 무언가 위태로우면서, 또 통쾌한 면이 있는 듯합니다. 그것이 또 새로운 역사를 만드는 원동력이겠죠. 읽어주셔서 고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