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의 국유화, 어떤 의미를 갖는가

몬스
몬스 · 네트워크 과학을 공부/연구합니다.
2023/08/11
어떤 사람들이 나를 좋아해준다면, 그건 내가 그 사람들에게 나의 장점을 어필했기 때문이 아니라, 그동안 보여진 나의 행동 때문이다. 관계라는 것이 그렇다. 어떤 사람이 의도한 대로 생각하게 되는 것은 언제나 거부감을 느끼게 한다. 슬픈 감정선을 적나라하게 설계하는 신파나, 국가나 인류애를 선전적으로 제시한 작품들을 꺼리게 되는 이유다.

시선을 집단으로 옮기더라도 같은 설명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일본 응원단이 경기 후 쓰레기를 치우는 것은 언제나 국제적인 화제가 된다. 하지만, 어렸을 때부터 경기장에서 쓰레기 를 치우는 것이 습관이었다는 설명에는 박수를 치지만, 일본 응원단이어서 치운다라는 설명에는 거부감을 느낀다. 똑같이 쓰레기를 치운 어떤 집단을 보고도, 자연스럽게 묻어나오는 행동에는 호감을, 보여주기식 행동에는 거부감을 느낀다. 

정말 모든 관계가 ...
얼룩패스
지금 가입하고
얼룩소의 모든 글을 만나보세요.
이미 회원이신가요? 로그인
복잡계 과학에 관심이 많고, 그 중 주로 네트워크 과학을 공부/연구/덕질 하고 있습니다.
652
팔로워 1.2K
팔로잉 6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