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도시의 적당한 거리가 좋아서

서동민
서동민 · 공주 원도심 가가책방 책방지기입니다.
2024/02/29
 사람과 사람 사이에는 '적당한 거리'가 있어야 한다. 가족이나 연인도 예외가 아닌데 친구나 이웃은 말해 무엇할까. 서울에 살 때로 돌아가보면 가장 엄두가 나지 않는 게 만원 지하철에 몸을 구겨 넣고 출근하거나 퇴근하는 상상이다. 그토록 많은 사람들과 종이 한 장 틈도 없이 가까이 있어도 하나도 행복하지 않았다. 마음이 든든해지거나 어제저녁이나 오늘 아침에 있던 마음 상하는 일에 위로를 얻을 수 없었다. 서로가 여유가 없다는 걸 알면서도 왜 조금 더 양보하지 않나를 두고 눈을 흘기거나 나쁜 혼잣말을 하는 일도 비일비재. 소리 있는 아우성, 피 안 나는 전쟁터가 거기였다. 태양을 알고 난 후에는 햇볕의 따스함과 눈부심을 잊을 수 없는 것처럼 소도시의 평화에 흠뻑 젖은 후에는 그 시절로 도무지 돌아갈 수 있을 것 같다는 자신이 생기지 않는 것이다.

 밖에서 보는 서울은 거대하고 활동적이며 무한한 가능성을 품고 있는 동경의 대상이다. 하지만 거기서 나온 나는 그 안에서 사는 사람들에게 순수하게 감탄할 뿐이다. 나는 참아낼 수 없던 그 환경을 일상으로 받아들여 아무렇지 않은 듯 잊고 지내는 단단한 내구성과 사다리를 오르듯 조금씩 높고 편한 자리를 만들어 내는 인내심을 바탕으로 한 창조성을 존경한다. 기꺼이 감내하는 그들은 그 모든 것을 누릴 자격이 있다.

 N포 세대 속에 내가 있었다.
자발적인 것과 비자발적인 게 섞여있지만 대도시에 살면서 많은 걸 먼저 포기하고 편해졌다. 우선 내 집 마련의 꿈은 일찍 내려놓았고, 결혼이나 아이도 그랬다. 그 외에도 여유로운 여가 생활이나 휴가도 별로 간절하지 않았다. 주말이나 휴일이면 방 안이나 카페 한 자리에 앉아 책이나 읽을 수 있으면 만족했고, 새로 문을 연 서점이나 도서관을 찾아가거나 무작정 걷는 게 여행 같았다. 소박했다. 그리 많은 걸 욕망하지 않음으로써 마음에 평화가 왔다. 이제 와서 그때의 삶이 자발적이었는가 아닌가를 얘기하는 건 별 의미 없다고 생각하고 실제로 그 시간에 의미가 있고 즐거웠으니 지금도 만족하고...
얼룩패스
지금 가입하고
얼룩소의 모든 글을 만나보세요.
이미 회원이신가요? 로그인
이방인의 로컬에서의 삶, 소도시에서 작은 책방하기, 책과 사람들의 이야기를 주로 씁니다.
20
팔로워 38
팔로잉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