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06/08
좋은 글 감사합니다. 강제 공산화 과정이 있었다니 소련에 대해서 반감을 갖을 수 밖에 없었겠네요. 결국 이러한 반감과 근본적인 경제위기를 극복하지 못해 소련에 의해서 강제로 전파된 체제가 동부유럽 국민들을 잘 살게 하지 못했다는 이유도 포함될 것 같습니다.
1989년 공산체제가 붕괴되면서 탈 공산주의는 자유화, 민주화로 전환되었고 민주화와 경제 개혁의 상관 관계에 따라 민주화 수준이 높은 국가일수록 경 개혁을 적극 추진하여 성과가 두각 되는 게 일반적이라고 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성공 요소 중 하나가 EU에 가입했다는 것으로 볼 수 있겠네요 '코펜하겐 규정' 충족을 위한 개혁이 성공 되어 EU에 가입할 수 있었던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EU도 1990년대 초반부터 EU가입이라는 유인책을 통해 정치적 민...
1989년 공산체제가 붕괴되면서 탈 공산주의는 자유화, 민주화로 전환되었고 민주화와 경제 개혁의 상관 관계에 따라 민주화 수준이 높은 국가일수록 경 개혁을 적극 추진하여 성과가 두각 되는 게 일반적이라고 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성공 요소 중 하나가 EU에 가입했다는 것으로 볼 수 있겠네요 '코펜하겐 규정' 충족을 위한 개혁이 성공 되어 EU에 가입할 수 있었던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EU도 1990년대 초반부터 EU가입이라는 유인책을 통해 정치적 민...
러시아가 물러나야겠죠.
미소 냉전 시기에 강제적으로 공산화 과정이 있었고 민주화를 요구하는 국가에 군대를 투입하여 이를 제지하니 소련 붕괴 시 하나 둘 씩 소련(러시아)으로부터 떨어져 나갔고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인하여 많은 국가들이 떨어져 나가는 거 같습니다. 러시아도 외교 전략을 변화하여 세계화에 동참을 하여 평화를 유지하기를 바랍니다.
미소 냉전 시기에 강제적으로 공산화 과정이 있었고 민주화를 요구하는 국가에 군대를 투입하여 이를 제지하니 소련 붕괴 시 하나 둘 씩 소련(러시아)으로부터 떨어져 나갔고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인하여 많은 국가들이 떨어져 나가는 거 같습니다. 러시아도 외교 전략을 변화하여 세계화에 동참을 하여 평화를 유지하기를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