읽다 보면 끄덕여지는 어휘 문해력 7. '잦다'의 두 얼굴: 잦다 – 잦다 (잦아들다 – 잦아지다)

다다르다 · 말 못한 이야기를 글로 담습니다.
2024/01/17
다들 이런 경험 있으시죠? ‘잦아들다’와 ‘잦아지다’, 분명 모두 ‘잦다’에서 온 단어인데 왜 맥락을 보면 정반대의 의미처럼 읽히는지 혼란스러웠던 경험 말입니다. 고백하자면 저도 고등학생 때 이 두 단어를 두고 고민했던 기억이 있어요. 그 생각이 나서 검색을 해 보니 여전히 그때의 저처럼 이 두 단어를 혼동하는 경우를 자주 볼 수 있었습니다. 결론부터 말하자면 ‘잦아들다’와 ‘잦아지다’는 ‘잦다’라는 형태의 단어에서 출발했지만 같은 단어가 아닙니다. 여기에는 동음이의 관계라는 언어적 배경이 또 깔려 있답니다. 
   
● 잦다1: [동사] 거친 기운이 잠잠해지거나 가라앉다.
󰃚 밤새도록 뱃전을 때리던 폭풍우의 세찬 기운은 새벽이 되자 약간 잦았다.
● 잦다3: [형용사] 잇따라 자주 있다.
󰃚 두 사람 사이에 싸움이 잦다.
   
사전에서 ‘잦다’를 검색하면 모두 3개의 단어가 나오는데 그중 혼란을 야기하는 것은 1번과 3번입니다. 
먼저 ‘잦다1’은 동사로서 어떤 것이 잠잠해지는, 즉 횟수가 적어지는 것을 나타내는 단어이고 여기서 ‘잦아들다’라는 단어가 만들어집니다...
얼룩패스
지금 가입하고
얼룩소의 모든 글을 만나보세요.
이미 회원이신가요? 로그인
가르치는 일을 하며 한 세상의 한 아이를 키워내고 있습니다. 작고 여린 것을 사랑하며 관찰하며 글로 풀어 냅니다.
20
팔로워 20
팔로잉 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