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방역’ 신화에 가려진 약자 목소리, 이젠 모으고 꺼낼 때
2023/01/31
청소 노동자는 대다수가 중고령에 여성이다. 하청업체 소속으로 간접고용된 비정규직 노동자이기도 하다. 노동자의 건강을 연구하는 김지환 서울대 보건대학원 연구원은 “다층적인 불안정성을 지닌 노동자”라고 표현했다.
그런 그가 한 청소 노동자와 인터뷰 중에 들은 이야기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패데믹이라는 재난 상황에서 사회가 놓친 지점이 어딘지를 잘 보여준다.
“청소 노동자 휴게 공간은 휴식과 식사를 위한 공간입니다. 그런데 코로나19로 사회적 거리두기가 시행되면서 사람이 모이는 휴게 공간을 폐쇄했습니다. 대안이 없는 상태이고, 청소 노동자는 다른 사람 눈에 띄는 곳에서 식사를 할 수 없으니 일하는 공간에서 식사를 할 수밖에 없었다고 합니다. 화장실이었죠.”
미국과 한국에서 기자상을 수상한 과학전문기자입니다. 과학잡지·일간지의 과학담당과 편집장을 거쳤습니다. '사라져 가는 것들의 안부를 묻다' '인류의 기원(공저)' 등을 썼고 '스마트 브레비티' '화석맨' '왜 맛있을까' '사소한 것들의 과학' '빌트' 등을 번역했습니다.
@홈은 어제 집담회에서도 발달장애인의 지난 3년에 대해 긴 시간 이야기가 나왔어요. 저도 더 덧붙이고 싶었지만, 자세한 내용은 나중에 나올 김승섭 교수팀의 책을 보기로 하고 간략히 정리했습니다. 이번 비대면 수업 기간이 아이들에게는 어떤 시간이었을지, 코로나19라는 재난을 이해하지 못하는 상황에서 규율만 추가로 강요받는 시간을 어떻게 느꼈을지 이런 점 눈에 보이지 않았다고 지울 수 있는 이야기는 아니라고 생각해요.
친구의 아이들 중 한 명이 중증발달장애인입니다. 주에 1-2회 찾아가는 발달치료센터에서는 감염자가 발생했을 때 선생님들은 고민 끝에 모두 마스크를 벗었다고 합니다. 집단 감염으로 함께 격리되어야 격리 기간 동안 과로로 쓰러지는 사람을 줄일 수 있을 것이라 판단했다는 말을 듣고 너무 힘들었어요. 아파서 쉴 수 있는 것도 사치라는 생각을 그때 처음 했었어요.
중증발달장애인은 백신을 맞히는 과정도 쉽지 않은데 모두 보호자의 몫으로 남겨졌어요. 너무 고통스러운 시간이어서 다른 식구들이 돌아가며 쉴 수 있는 작은 월세방을 얻어 휴식을 취했다고 하더라고요. 사회복지사들에게 선택받지 못한 아이들은 정부지원이 있어도 쓸 수가 없기 때문에 보호자들의 경제력과 역량이 크게 좌지우지 한다고 하더군요. 코로나19를 거치며 격차가 더 심해졌다는 이야기를 듣는데 뭐라 할 말이 생각나지 않더라고요.
친구의 아이들 중 한 명이 중증발달장애인입니다. 주에 1-2회 찾아가는 발달치료센터에서는 감염자가 발생했을 때 선생님들은 고민 끝에 모두 마스크를 벗었다고 합니다. 집단 감염으로 함께 격리되어야 격리 기간 동안 과로로 쓰러지는 사람을 줄일 수 있을 것이라 판단했다는 말을 듣고 너무 힘들었어요. 아파서 쉴 수 있는 것도 사치라는 생각을 그때 처음 했었어요.
중증발달장애인은 백신을 맞히는 과정도 쉽지 않은데 모두 보호자의 몫으로 남겨졌어요. 너무 고통스러운 시간이어서 다른 식구들이 돌아가며 쉴 수 있는 작은 월세방을 얻어 휴식을 취했다고 하더라고요. 사회복지사들에게 선택받지 못한 아이들은 정부지원이 있어도 쓸 수가 없기 때문에 보호자들의 경제력과 역량이 크게 좌지우지 한다고 하더군요. 코로나19를 거치며 격차가 더 심해졌다는 이야기를 듣는데 뭐라 할 말이 생각나지 않더라고요.
@홈은 어제 집담회에서도 발달장애인의 지난 3년에 대해 긴 시간 이야기가 나왔어요. 저도 더 덧붙이고 싶었지만, 자세한 내용은 나중에 나올 김승섭 교수팀의 책을 보기로 하고 간략히 정리했습니다. 이번 비대면 수업 기간이 아이들에게는 어떤 시간이었을지, 코로나19라는 재난을 이해하지 못하는 상황에서 규율만 추가로 강요받는 시간을 어떻게 느꼈을지 이런 점 눈에 보이지 않았다고 지울 수 있는 이야기는 아니라고 생각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