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도 깊이 아는 상태는 아니며, 책을 읽고 소개하는 정도 수준이라 정확하게 대답 드릴 자신은 없지만..
'유엔개발계획(UNDP)'가 발간하는 '인간개발보고서(Human Development Report)'에서 활용되는 '인간개발지수'(Human Development Report)가 역량접근법에 기초하고 있는 정량적 접근의 지표인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책에서 소개한 역량 접근법은 훨씬 많은 가능성에 대해 논의하고 있지만, 일단 활용되고 있는 인간개발지수는 세 가지 기본적인 차원인 "수명, 지식 그리고 적절한 생활수준"에 대한 국가별 성취정도를 측정하고 있다고 합니다.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2080483&cid=44547&categoryId=44547
http://www.index.go.kr/potal/main/EachDtlPageDetail.do?idx_cd=1527
인간개발보고서는 '삶의 질'을 평가하는 보고서로 여러 지표를 토대로 작성되고 있다고 합니다. 인간개발지수 외에도, 불평등 조정 인간개발지수(IHDI), 성별 개발 지수(GDI), 성 불평등 지수(GII), 다차원 빈곤 지수(MPI) 등을 발표하고 있다고 합니다.
https://blog.naver.com/indigoyo/222666555786
아래의 링크에서는 그 중 하나인 성불평등지수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https://blog.naver.com/mogefkorea/221367160947
지금 언급된 지표들을 마사 누스바움이 말한 핵심역량 전부를 포괄하고 있지는 않지만 그중 상당 부분과 관련되어 만들어져 활용되고 있습니다. 더 나은 사회를 위해서는 더 많은 역량들에 대한 논의를 통해 지표화 할 수 있는 것은 만들어나갈 필요가 있을 것 같습니다. :)
저도 깊이 아는 상태는 아니며, 책을 읽고 소개하는 정도 수준이라 정확하게 대답 드릴 자신은 없지만..
'유엔개발계획(UNDP)'가 발간하는 '인간개발보고서(Human Development Report)'에서 활용되는 '인간개발지수'(Human Development Report)가 역량접근법에 기초하고 있는 정량적 접근의 지표인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책에서 소개한 역량 접근법은 훨씬 많은 가능성에 대해 논의하고 있지만, 일단 활용되고 있는 인간개발지수는 세 가지 기본적인 차원인 "수명, 지식 그리고 적절한 생활수준"에 대한 국가별 성취정도를 측정하고 있다고 합니다.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2080483&cid=44547&categoryId=44547
http://www.index.go.kr/potal/main/EachDtlPageDetail.do?idx_cd=1527
인간개발보고서는 '삶의 질'을 평가하는 보고서로 여러 지표를 토대로 작성되고 있다고 합니다. 인간개발지수 외에도, 불평등 조정 인간개발지수(IHDI), 성별 개발 지수(GDI), 성 불평등 지수(GII), 다차원 빈곤 지수(MPI) 등을 발표하고 있다고 합니다.
https://blog.naver.com/indigoyo/222666555786
아래의 링크에서는 그 중 하나인 성불평등지수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https://blog.naver.com/mogefkorea/221367160947
지금 언급된 지표들을 마사 누스바움이 말한 핵심역량 전부를 포괄하고 있지는 않지만 그중 상당 부분과 관련되어 만들어져 활용되고 있습니다. 더 나은 사회를 위해서는 더 많은 역량들에 대한 논의를 통해 지표화 할 수 있는 것은 만들어나갈 필요가 있을 것 같습니다. :)
정대홍님, 안녕하세요!
저도 깊이 아는 상태는 아니며, 책을 읽고 소개하는 정도 수준이라 정확하게 대답 드릴 자신은 없지만..
'유엔개발계획(UNDP)'가 발간하는 '인간개발보고서(Human Development Report)'에서 활용되는 '인간개발지수'(Human Development Report)가 역량접근법에 기초하고 있는 정량적 접근의 지표인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책에서 소개한 역량 접근법은 훨씬 많은 가능성에 대해 논의하고 있지만, 일단 활용되고 있는 인간개발지수는 세 가지 기본적인 차원인 "수명, 지식 그리고 적절한 생활수준"에 대한 국가별 성취정도를 측정하고 있다고 합니다.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2080483&cid=44547&categoryId=44547
http://www.index.go.kr/potal/main/EachDtlPageDetail.do?idx_cd=1527
인간개발보고서는 '삶의 질'을 평가하는 보고서로 여러 지표를 토대로 작성되고 있다고 합니다. 인간개발지수 외에도, 불평등 조정 인간개발지수(IHDI), 성별 개발 지수(GDI), 성 불평등 지수(GII), 다차원 빈곤 지수(MPI) 등을 발표하고 있다고 합니다.
https://blog.naver.com/indigoyo/222666555786
아래의 링크에서는 그 중 하나인 성불평등지수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https://blog.naver.com/mogefkorea/221367160947
지금 언급된 지표들을 마사 누스바움이 말한 핵심역량 전부를 포괄하고 있지는 않지만 그중 상당 부분과 관련되어 만들어져 활용되고 있습니다. 더 나은 사회를 위해서는 더 많은 역량들에 대한 논의를 통해 지표화 할 수 있는 것은 만들어나갈 필요가 있을 것 같습니다. :)
정대홍님, 안녕하세요!
저도 깊이 아는 상태는 아니며, 책을 읽고 소개하는 정도 수준이라 정확하게 대답 드릴 자신은 없지만..
'유엔개발계획(UNDP)'가 발간하는 '인간개발보고서(Human Development Report)'에서 활용되는 '인간개발지수'(Human Development Report)가 역량접근법에 기초하고 있는 정량적 접근의 지표인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책에서 소개한 역량 접근법은 훨씬 많은 가능성에 대해 논의하고 있지만, 일단 활용되고 있는 인간개발지수는 세 가지 기본적인 차원인 "수명, 지식 그리고 적절한 생활수준"에 대한 국가별 성취정도를 측정하고 있다고 합니다.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2080483&cid=44547&categoryId=44547
http://www.index.go.kr/potal/main/EachDtlPageDetail.do?idx_cd=1527
인간개발보고서는 '삶의 질'을 평가하는 보고서로 여러 지표를 토대로 작성되고 있다고 합니다. 인간개발지수 외에도, 불평등 조정 인간개발지수(IHDI), 성별 개발 지수(GDI), 성 불평등 지수(GII), 다차원 빈곤 지수(MPI) 등을 발표하고 있다고 합니다.
https://blog.naver.com/indigoyo/222666555786
아래의 링크에서는 그 중 하나인 성불평등지수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https://blog.naver.com/mogefkorea/221367160947
지금 언급된 지표들을 마사 누스바움이 말한 핵심역량 전부를 포괄하고 있지는 않지만 그중 상당 부분과 관련되어 만들어져 활용되고 있습니다. 더 나은 사회를 위해서는 더 많은 역량들에 대한 논의를 통해 지표화 할 수 있는 것은 만들어나갈 필요가 있을 것 같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