돌봄과 한국의 밥상 (2)-에드바르트 베르거, <서부 전선 이상 없다>

우석영(동류실주인)
우석영(동류실주인) 인증된 계정 · 철학자. 비평가. 작가.
2023/09/17

이 전체의 그림을 생각해보면, 지구상의 생물이란 ‘완비한 자’와는 극한의 대비를 이루는 존재임이 분명하다. 살아있는 것에게 완비는 늘 순간의 경험이고, 곧이어 완비했다는 느낌이 빠져나간 자리에 결여가 찾아든다. 살아있다는 것, 산다는 것은 곧 결여 상태로 쉽게 되돌아간다는 것이다. 이것이 뜻하는 건 지극히 단순하고 냉혹한 진리인데, 생물이란 취약한 자라는 것이다. 하지만 이것은 취약성이 생물의 한 가지 면모라는 말이 아니라 취약성이야말로 생물의 결정적인 속성이라는 말이다. 물론 인간도 예외일 리 없어서 “인간이라는 것은 곧 취약하다는 것”과 다른 것이 아니다. 유령해파리든 호랑나비든 눈잣나무든 인간이든, 산 것은 누구나 제 결여를 벗어나려 애쓰는 가여운 자들인 것을. 

생물의 본질 자체라 할 만한 그 결여, 생물의 신체에서 빠져나간 것처럼 보이다가도 금세 제 자리로 돌아와 있는 그 결여는 살아달라는 요청일까, 죽이겠다는 겁박일까? 

이 결여는 대개는 ‘배고픔’이라는 형식으로 자신을 제 숙주에게 드러낸다. 하지만 음식물의 부족이 아니라 과잉이 문제가 되는 곳에서 사는 우리에게 이런 말은 도무...
얼룩패스
지금 가입하고
얼룩소의 모든 글을 만나보세요.
이미 회원이신가요? 로그인
지구철학. 탈성장 생태전환. 포스트휴먼 문학 등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기후위기행동사전>(공저) <불타는 지구를 그림이 보여주는 것은 아니지만> <걸으면 해결된다>(공저) <숲의 즐거움> <동물 미술관> <철학이 있는 도시> <낱말의 우주> 등
9
팔로워 18
팔로잉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