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02/28
항공 분야는 글로벌 온실가스 배출량의 2%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나아가, 항공 분야의 온실가스는 높은 곳에서(하늘에서) 항공유를 태우며 발생하므로 지상에서 배출하는 온실가스보다 기후 영향이 큽니다. 기후에 미치는 영향은 4~5%로 추정되고 있습니다.
항공 산업이 기후변화에 미치는 영향이 크니 추가 공항 신설을 최대한 줄여야 한다는 말은 얼핏 자연스러워 보입니다.
하지만, 이 주장에는 약간의 맹점이 있다고 생각합니다.
신공항의 건설을 막거나 기존 공항을 폐쇄한다고 전체 온실가스 배출량이 줄 것이라는 보장이 없기 때문입니다.
가령 국내선 공항을 김포와 제주 빼고 다 없애면 어떻게 될까요?
제주로 가기 위해 부산 시민은 김포까지 가야합니다.
공항까지 이동과정에서 발생하는 온실가스, 부산~제주와 김포~제주와의 거리 차이에서 나오는 추가 연료 사용에 따른 온실가스를 계산하면 결과는 온실가스의 상승일 것입니다.
다음으로 신공항 건설의 예를 한번 살펴볼까요?
가덕도 공항이 생기고, 거기에 미주(뉴욕) 노선이 생긴다면 어떻게 될까요?
부산 시민이 인천까지 자동차를 이용해서 가고, 인천에서 다시 항공편을 탑승하여 뉴욕으로 가는 것보다는 그냥 가덕도에서 바로 뉴욕으로 가는 것이 훨씬 더 온실가스 배출 측면에서 경제적입니다.
한편 국내선의 경우 우리나라는 도로가 매우 잘 닦여 있으며 고속철도라는 엄청난 대체재가 존재하므로 제주를 제외한 국내 항공선의 수요가 높지 않습니다. 공항이 생긴다고 원래 KTX를 타고 다니던 사람이 비행기로 바꿔타는 경우는 높지 않을 것이라고 예상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어떤 공항이 새로 신설된다고 하더라도 전체 온실가스 배출 변화에 미치는 영향은 매우 미미할 것이라고 생각하며, 가치사슬과 전과정을 고려하면 신공항 건설이 오히려 전체 탄소배출량 감축을 가져올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이는 탄소를 약간 감축할 ...
나아가, 항공 분야의 온실가스는 높은 곳에서(하늘에서) 항공유를 태우며 발생하므로 지상에서 배출하는 온실가스보다 기후 영향이 큽니다. 기후에 미치는 영향은 4~5%로 추정되고 있습니다.
항공 산업이 기후변화에 미치는 영향이 크니 추가 공항 신설을 최대한 줄여야 한다는 말은 얼핏 자연스러워 보입니다.
하지만, 이 주장에는 약간의 맹점이 있다고 생각합니다.
신공항의 건설을 막거나 기존 공항을 폐쇄한다고 전체 온실가스 배출량이 줄 것이라는 보장이 없기 때문입니다.
제주로 가기 위해 부산 시민은 김포까지 가야합니다.
공항까지 이동과정에서 발생하는 온실가스, 부산~제주와 김포~제주와의 거리 차이에서 나오는 추가 연료 사용에 따른 온실가스를 계산하면 결과는 온실가스의 상승일 것입니다.
다음으로 신공항 건설의 예를 한번 살펴볼까요?
가덕도 공항이 생기고, 거기에 미주(뉴욕) 노선이 생긴다면 어떻게 될까요?
부산 시민이 인천까지 자동차를 이용해서 가고, 인천에서 다시 항공편을 탑승하여 뉴욕으로 가는 것보다는 그냥 가덕도에서 바로 뉴욕으로 가는 것이 훨씬 더 온실가스 배출 측면에서 경제적입니다.
한편 국내선의 경우 우리나라는 도로가 매우 잘 닦여 있으며 고속철도라는 엄청난 대체재가 존재하므로 제주를 제외한 국내 항공선의 수요가 높지 않습니다. 공항이 생긴다고 원래 KTX를 타고 다니던 사람이 비행기로 바꿔타는 경우는 높지 않을 것이라고 예상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어떤 공항이 새로 신설된다고 하더라도 전체 온실가스 배출 변화에 미치는 영향은 매우 미미할 것이라고 생각하며, 가치사슬과 전과정을 고려하면 신공항 건설이 오히려 전체 탄소배출량 감축을 가져올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이는 탄소를 약간 감축할 ...
꺼꾸로 생각
편리해서 공항을 만든다기 보다
불편하고 그 불편함이 또다른 비용을 만든다는 생각
차가 막히고, 멀어서 다른 운송기관을 이용하고 그로 인해서
발생하는 비용과 배출가스, 늘어나는 내 시간 죽이기 등등
신공항은 꼭 필요하다고 봅니다.
우리에게 어떤게 이득일지 길거리에 뿌려지는 수없이
새어나가는 손실비용, 그로 인한 환경파괴가 더심각해 보입니다.
UAM은 '에반에어모빌리티' 라고 해서 말 그대로
도심형항공이란 뜻인데요.
우리나라 도심이 위낙 많이 막히고 복잡하다 보니
이런 새로운 페러다임에 이목이 집중되는거
같습니다.
출근길,퇴근길,약속시간 늦을때면 누구나
한번쯤 생각하신적 있으시죠?
그대로 공중에 떠서 날아갔으면 좋겠다고...
이 꿈이 바로 현실로 다가오는것이죠^^
우리나라 공항이 땅 덩어리에 비해 과다하다는
생각이 드시죠?
저도 그렇게 생각하는 한사람 입니다만
우리나라 경제규모가 글로벌 10위권이라면
과하지 않다는 생각도 들지만
문제는 그 경제가 수도권에 집중되어 있다는게
문제네요 ㅠ
탄소세 부과는 항공료를 올리고 탄소를 발생시키는 여러 활동들과 물건들의 값을 올리는 것이겠군요. 당연한 일이겠지만, 다시 그렇구나 하게 되네요.
bookmaniac 님, 기억나는 기내식의 비밀은 높은 곳에서는 미각이 둔화되어서 좀 더 양념을 강하게 한다는 걸 어디선가 들은 것 같습니다 ^^
스리야 님, 네. 때로 편리함은 환경을 악화시킬 수 있습니다. 조금 불편하더라도 감수하는 게 필요하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
행운 님, UAM이란 것이 있었네요! 이건 단거리나 장거리 항공편을 대체하는 건 아닌 것 같아보이고, 택시와 같은 도시 내 이동수단을 대체할 수 있을 것 같은데요, 가솔린 차를 대체하는 경우 온실가스 감축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
Uam의 발달도 해당문제를 어느정도 완화 시킬 수 있을 듯 합니다. 제가 쓴 글을 보면 아시겠지만 전기로 운용하여 친환경적이고 소음이 적습니다.
편리함만 알았지 이렇게 환경에 대해서 생각해보지는 못했네요 !
이 문제가 정말 항공편가격 상승으로 가겠네요ㅜㅜ
아하. 뭔가 기내식만의 비밀 같은게 있는건가하고 잠시 흥미진진 했었습니다. ㅎㅎ
네, 말씀하신 대로 소고기보다 식물을 제조하는 것이 탄소배출량이 낮기 때문입니다. 소 등 가축의 똥은 메탄가스를 내뿜는데요, 축산 분야는 글로벌 온실가스 배출량의 14%를 차지한다는 추정이 있습니다.
미드솜마르님 잘 읽었습니다. 생각해보지 못했던 것들이 많네요. 그런데 기내식 채식은 무슨 연관이 있을까요? 육식보다 채식이 탄소배출을 덜해서인지 아니면 다른 이유가 있는건지요?
미드솜마르님 잘 읽었습니다. 생각해보지 못했던 것들이 많네요. 그런데 기내식 채식은 무슨 연관이 있을까요? 육식보다 채식이 탄소배출을 덜해서인지 아니면 다른 이유가 있는건지요?
탄소세 부과는 항공료를 올리고 탄소를 발생시키는 여러 활동들과 물건들의 값을 올리는 것이겠군요. 당연한 일이겠지만, 다시 그렇구나 하게 되네요.
Uam의 발달도 해당문제를 어느정도 완화 시킬 수 있을 듯 합니다. 제가 쓴 글을 보면 아시겠지만 전기로 운용하여 친환경적이고 소음이 적습니다.
편리함만 알았지 이렇게 환경에 대해서 생각해보지는 못했네요 !
이 문제가 정말 항공편가격 상승으로 가겠네요ㅜㅜ
아하. 뭔가 기내식만의 비밀 같은게 있는건가하고 잠시 흥미진진 했었습니다. ㅎㅎ
네, 말씀하신 대로 소고기보다 식물을 제조하는 것이 탄소배출량이 낮기 때문입니다. 소 등 가축의 똥은 메탄가스를 내뿜는데요, 축산 분야는 글로벌 온실가스 배출량의 14%를 차지한다는 추정이 있습니다.
bookmaniac 님, 기억나는 기내식의 비밀은 높은 곳에서는 미각이 둔화되어서 좀 더 양념을 강하게 한다는 걸 어디선가 들은 것 같습니다 ^^
스리야 님, 네. 때로 편리함은 환경을 악화시킬 수 있습니다. 조금 불편하더라도 감수하는 게 필요하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
행운 님, UAM이란 것이 있었네요! 이건 단거리나 장거리 항공편을 대체하는 건 아닌 것 같아보이고, 택시와 같은 도시 내 이동수단을 대체할 수 있을 것 같은데요, 가솔린 차를 대체하는 경우 온실가스 감축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