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툰댄서
서툰댄서 · 네트워크를 꿈꾸는 자발적 실업자
2023/08/13
제대로 글을 쓰려면, 피해자가 쓴 "나는 피해호소인이 아닙니다"라는 책도 읽고, 손병관 기자의 책과 "첫변론"이라는 영화도 보고, 양쪽 입장의 근거들을 정독해야 할 것이다. 하지만, 나는 그 정도로 이 문제에 대해 시간과 정성을 쏟고 싶지는 않다. 그러면, 공개적인 장소에서 그에 대한 의견도 표현하지 않는 것이 맞을지 모르겠지만, 하고 싶은 말들이 몇 가지 있다. 

한편에는 피해자 잔디를 악마화하는 사람들이 있다. 나는 그 편에 서고 싶지 않다. 그렇지만, 피해자라고 해서 잔디의 주장을 모두 긍정해야 하는 것일까? 
여기에 어려움이 있다. 잔디의 입장을 일부라도 부정적으로 평가하는 순간 2차가해의 낙인이 찍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원글에 이런 대목이 인용되어 있다. 

기자 : 피해자가 전보를 원했다는 뜻인가?
A : 본인이 남는 게 유리하다고 생각하면 남고, 그게 아니면 떠나는 것 아니냐? 나가고 싶다고 의사를 밝히면 다 내보내 줬다. 시장이 각별하게 생각했던 것은 맞다. 하지만, 아무리 시장이라도 나가겠다고 강하게 얘기하는 직원을 막을 방법이 없다. 옆자리에서 같이 일한 비서 3명은 차례로 다 나갔다. 그 친구들도 안 나갔다면 내가 이런 얘기하지도 않는다. 

이가현 님은 이것이 비논리적인 이야기라고 하셨다. 벤다이어그램까지 그리며 설명을 하셨고, 어떤 이야기를 하시려는 건지는 이해가 간다.
하지만, 내가 보기엔 A씨의 말은 논리적이지도 않고 비논리적이지도 않다. 인터뷰는 인터뷰 대상이 사태를 바라보는 관점을 드러내 줄 뿐이다. "피해자가 전보를 원했는데도 받아들여지지 않았다."는 사실에 대해, A는 강하게 요청했으면 보내줬을 거라고 이야기를 하고 있을 뿐이다. 전보는 요청했지만 말리니까 더 이상 주장하지 않는 수준이라 안 보냈을 뿐이라는 입장이다. 내가 볼 때는 그냥 그뿐인 것 같다. A씨는 그렇게 생각했다는 것이다. 그런데 이것이 비논리적이라거나 잔디 씨를 음해하는 이야기로 평가받아야 하는 것인지 잘 모르겠다.

그런데, 그보다 더 근본적으로 이런 논...
얼룩패스
지금 가입하고
얼룩소의 모든 글을 만나보세요.
이미 회원이신가요? 로그인
궁금하고 의미있다고 생각하는 주제에 대해 배우고자 노력하고, 깨달아지는 것이 있으면 공유하고 공감을 구하는 평범한 사람입니다.
806
팔로워 417
팔로잉 4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