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04/11
이전에 다른 아동학대 사건에서 가해자인 친부를 향해 기자가 한 질문이 아직도 기억에 남습니다.
"아이를 학대하고 폭행했습니까?"
자신의 혐의를 인정하지 않느냐는, 기자라면 현장에서 응당 할 법한 질문입니다. 하지만 저는 여기서 묘한 궁금증이 일었어요. 아이를 폭행하는 것은 그 자체로 학대 아닌가? 왜 학대와 폭행을 구분해서 쓰는 거지?
애써 학대와 폭행을 구분하는 이유
김희경 인권정책연구소 이사가 쓴 <이상한 정상가족>(2018, 개정증보 2022)은 내 궁금증에 해답을 주었습니다. 제목에서도 알 수 있듯 이 책은 '정상가족'이라는 이데올로기가 한국사회에서 어떻게 작동하는지를 규명하고자 하는 책이라고 볼 수 있죠.
아동학대 사건이 일어날 때마다 언론은 해당 가해자가, 그리고 그 가족이 얼마나 '비정상적'인지에 주목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특정한 비정상적인 요소 때문에 일어났다는 둥.
그런데 기억을 되살려보면 '애는 때리면서 키워야 한다'라든가, '나도 맞으면서 자랐다'며 부모의 폭력을 정당화하는 경우도 많이 보지 않았나요? 저자 김현경은 아동학대 사망사건 관련 토론회에서 저처럼 비슷한 문제의식을 가진 사람들의 사례를 소개합니다.
누구나 아이를 한두 번은 때리는데 어디까지가 체벌이고 어디부터가 학대인지 구분해야 할 필요가 있지 않느냐고 묻는 검사들, 체벌에 대한 인식전환을 요구하는 캠페인...
"아이를 학대하고 폭행했습니까?"
자신의 혐의를 인정하지 않느냐는, 기자라면 현장에서 응당 할 법한 질문입니다. 하지만 저는 여기서 묘한 궁금증이 일었어요. 아이를 폭행하는 것은 그 자체로 학대 아닌가? 왜 학대와 폭행을 구분해서 쓰는 거지?
애써 학대와 폭행을 구분하는 이유
김희경 인권정책연구소 이사가 쓴 <이상한 정상가족>(2018, 개정증보 2022)은 내 궁금증에 해답을 주었습니다. 제목에서도 알 수 있듯 이 책은 '정상가족'이라는 이데올로기가 한국사회에서 어떻게 작동하는지를 규명하고자 하는 책이라고 볼 수 있죠.
아동학대 사건이 일어날 때마다 언론은 해당 가해자가, 그리고 그 가족이 얼마나 '비정상적'인지에 주목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특정한 비정상적인 요소 때문에 일어났다는 둥.
그런데 기억을 되살려보면 '애는 때리면서 키워야 한다'라든가, '나도 맞으면서 자랐다'며 부모의 폭력을 정당화하는 경우도 많이 보지 않았나요? 저자 김현경은 아동학대 사망사건 관련 토론회에서 저처럼 비슷한 문제의식을 가진 사람들의 사례를 소개합니다.
누구나 아이를 한두 번은 때리는데 어디까지가 체벌이고 어디부터가 학대인지 구분해야 할 필요가 있지 않느냐고 묻는 검사들, 체벌에 대한 인식전환을 요구하는 캠페인...
5년차 오마이뉴스 시민기자고, 다양한 이슈에 대한 글을 씁니다. 청년정책 및 거버넌스 관련해서 활동하는 활동가이기도 하고요, 정당에도 몸담고 있는 중이에요.
instagram @minjun7682
공감합니다.
저도 동반자살이란 말은 정말 잘못된 말이라 생각해요. 그리고 부모라고 해서 자녀의 목숨을 앗아갈 자격은 당연히 없구요.
체벌이라고 부모님들이 표현은 하지만 1단계 강도로 혼을 내서 아이들이 적응이 되고 또 말을 안들으면 결국 2단계 그러다 결국 10단계까지 가고 결국 폭력이 되는게 아닌가라는 생각이 들더라구요
오은영 박사님은 아이를 때림으로써 체벌하는 것은 정말 아이의 성장에 좋지 않다고 하셨죠... 누군가는 '맞아서 잘 컸다'라고 한 사람은 진작에 잘 클 사람이었다고 하더라고요.
동반자살에 대한 이야기. 꼬꼬무에서 봤습니다. 저도 그 부분이 의문이었습니다. 동반자살이라는 건 다같이 죽음을 동의하고 자발적으로 하는 것 아닌가? 그런데 어린 애들이 자발적으로 죽자고 생각했을까? 하고요. 우리나라는 이런 가족주의가 심한 것 같습니다. 그래서 애들을 죽이고 자살을 택하는 것 같습니다. 아이들도 아이들의 삶이 있는데 말이죠. 이런 잘못된 가족주의에서 벗어나야 합니다.
동반자살이 아닌 살해 후 자살 맞는 말이네요. 언론에서 다루는 폭력에 대한 것에 많은 의문을 가진 사람 중 한 사람이었는데, 이 글에서 또 하나 알고 지나갑니다 감사해요 :)
동반자살. 살해 후 자살. 단어의 선택이 주는 느낌이 정말 확 다르네요..
좋은 책 소개해주셔서 감사해요. 폭행은 학대입니다. 폭행과 학대가 다르지 않습니다. 자의적인 구분은 이제 그만 해야 해요. 아이들이 그 자체로 하나의 인격체라는 사실을 잊지 않았으면 좋겠어요. 개인적으로는 학교 수업에 육아가 들어갔으면 해요. 모두가 부모가 되진 않지만 아이는 분명 한 마을이 함께 키우는 거니까요.
좋은 책 소개해주셔서 감사해요. 폭행은 학대입니다. 폭행과 학대가 다르지 않습니다. 자의적인 구분은 이제 그만 해야 해요. 아이들이 그 자체로 하나의 인격체라는 사실을 잊지 않았으면 좋겠어요. 개인적으로는 학교 수업에 육아가 들어갔으면 해요. 모두가 부모가 되진 않지만 아이는 분명 한 마을이 함께 키우는 거니까요.
오은영 박사님은 아이를 때림으로써 체벌하는 것은 정말 아이의 성장에 좋지 않다고 하셨죠... 누군가는 '맞아서 잘 컸다'라고 한 사람은 진작에 잘 클 사람이었다고 하더라고요.
동반자살에 대한 이야기. 꼬꼬무에서 봤습니다. 저도 그 부분이 의문이었습니다. 동반자살이라는 건 다같이 죽음을 동의하고 자발적으로 하는 것 아닌가? 그런데 어린 애들이 자발적으로 죽자고 생각했을까? 하고요. 우리나라는 이런 가족주의가 심한 것 같습니다. 그래서 애들을 죽이고 자살을 택하는 것 같습니다. 아이들도 아이들의 삶이 있는데 말이죠. 이런 잘못된 가족주의에서 벗어나야 합니다.
동반자살. 살해 후 자살. 단어의 선택이 주는 느낌이 정말 확 다르네요..
동반자살이 아닌 살해 후 자살 맞는 말이네요. 언론에서 다루는 폭력에 대한 것에 많은 의문을 가진 사람 중 한 사람이었는데, 이 글에서 또 하나 알고 지나갑니다 감사해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