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10/01
2010년대 초반을 강타했던 한병철 '피로사회'를 다시 꺼내보았습니다. "시대마다 그 시대에 고유한 주요 질병이 있다"라고 선언한 도입부가 최근 계속 머릿속을 맴돌아서 인데요. 한병철은 이 책에서 20세기의 전유물이라고 할 수 있는 '박테리아적 질병'을 면역학적 기술에 힘입어 "이미 졸업했다"고 진단했죠. 21세기적 질병이라는 것은 우울증, ADHD, 번아웃증후군처럼 무언가(면역력)가 부족해서 생기는 질병이 아니라, 무언가가 과잉돼서 생기는 질병이라는게 그의 통찰이었습니다.
2020년대 들어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온 지구가 2년 가까이 고통하고 있는 이 시점에서 그의 진단이 자연스럽게 다시 생각날 수 밖에 없었어요. 20세기적 질병과 21세기적 질병의 정의가 여전히 유효할까? 코로나19야말로 면역력이 부...
2020년대 들어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온 지구가 2년 가까이 고통하고 있는 이 시점에서 그의 진단이 자연스럽게 다시 생각날 수 밖에 없었어요. 20세기적 질병과 21세기적 질병의 정의가 여전히 유효할까? 코로나19야말로 면역력이 부...
ㅎㅎ 김민지님 댓글 감사합니다! 소개해 주신 논문 너무 재밌을 거 같아요. 면역학에 대한 지식이 0에 가까운 저 같은 사람도 저 논문 주제와 같은 생각이 들기는 하더라고요. 조만간 꼭 읽어보겠습니다!
재밌게 읽었습니다😂 관련해서 한국의철학회에 황임경 선생님이 쓰신 '자기 방어와 사회 안전을 넘어' 라는 논문이 있는데, 단지 면역을 타자 부정의 기획으로 보고 면역학의 논리를 자기긍정성 과잉 시대에는 적용할 수 없다고 보는 관점은 면역에 대한 짧은 이해(?) 라고 거침없이 이야기하는 텍스트에요. 이거랑은 별개로, 피로사회 포스트 코로나 에디션으로다가 개정판이 나오는 상상을 하니 재밌네요 ㅎㅎㅎ
재밌게 읽었습니다😂 관련해서 한국의철학회에 황임경 선생님이 쓰신 '자기 방어와 사회 안전을 넘어' 라는 논문이 있는데, 단지 면역을 타자 부정의 기획으로 보고 면역학의 논리를 자기긍정성 과잉 시대에는 적용할 수 없다고 보는 관점은 면역에 대한 짧은 이해(?) 라고 거침없이 이야기하는 텍스트에요. 이거랑은 별개로, 피로사회 포스트 코로나 에디션으로다가 개정판이 나오는 상상을 하니 재밌네요 ㅎㅎ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