찻잔 속 담론들의 시대

김영빈
김영빈 · 사회과학 전반에 관심 많은 경제학도
2023/04/24
[편의상 음슴체로 쓰겠습니다.]

윤석열이 당선되고 몇 달 지난 어느 순간부터, 사회 담론들을 보며 뭔지 모를 공허함을 느끼기 시작했다.
공허함을 느낀 건 담론이 틀려서가 아니다.
예를 들어 이재명을 당 대표로 뽑은 민주당에 대한 비판, 이태원 사고에 있어서 윤석열과 이상민의 책임을 논한 글을 보자. 분명히 맞는 말이었고 사회 개선을 위해 필요한 지적이 많다.
내가 공허함을 느낀 건 담론에서 더 이상 옛날같은 보편성과 아우라를 느끼지 못했기 때문이다.
 
옛날에는 언론이고 시민단체고 정당이고 많이들 인용하고 호응이 좋은 담론이 하나는 있었다. 
고전적인 반공 보수 담론,
민주당과 구좌파 진보정당을 대표하는 진보 담론(https://alook.so/posts/o7trxMy 참고),
유승민 이준석 등을 필두로 한 합리적 보수 담론,
2010년대 중반 이후 유행한 페미니즘 및 소수자 인권운동에 따른 신좌파 담론 등등.
시대에 따라 달랐지만 한국 사회는 어느 시대든 네 담론 중 최소 하나는 유행했다.
어떤 담론이든 과도하게 나이브했거나 틀린 주장도 분명 있었고 그래서 쇠퇴하기도 했지만,
담론들은 한때나마 사회를 지배했으며, 밝은 미래를 꿈꾸는 포부가 있었다.

그러나 지금 담론들 어디에서도 나는 시대를 개혁하는 힘을 느끼지 못한다.
과거에 하던 소리들을 맥 없이 녹음기처럼 반복하거나,
주장들이 보편성을 잃고 과격해져서 중도로의 확장성을 눈 뜨고 찾아볼 수가 없다.
그리고 과거의 보편적인 큰 꿈을 잃고 악받이에 가까운 주장만 남는다.
이들 담론이 현실이 되더라...
얼룩패스
지금 가입하고
얼룩소의 모든 글을 만나보세요.
이미 회원이신가요? 로그인
중요한 주제와 관점을 거론하려는 박사과정생. 의견은 다를지라도 대화하면서 많은 걸 배우는 사람이라는 평판을 갖고 싶습니다. 이메일: ybk0423@gmail.com
86
팔로워 328
팔로잉 138